혁신성장 3대 신산업 정책/기술 분석 -시스템반도체/의약품?진단기기/미래차

$410.40
SKU
97911586220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10 - Thu 01/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7 - Thu 01/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16
Pages/Weight/Size 210*297*35mm
ISBN 9791158622008
Categories 경제 경영 > 총람/연감
Description
정부가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3대 핵심 신산업 육성과 산업구조 혁신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세계 4대 제조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신시장 창출 및 고성장이 기대되는 3대 신산업(BIG3) 분야에 기술개발(R&D) 지원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가진 중소벤처기업이 기술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고, 최대 3년간 12억원까지 지원하게 된다고 밝혔다.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고가의 설계·검증도구, 반도체 설계자산(IP)확보 등이 필요한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을 중심으로 반도체 저전력 설계, 후공정 기술개발 등 다양한 영역의 기술개발 과제가 선정됐다.

바이오헬스 분야는 3개 분야 중 중소기업 지원수요가 가장 높으며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등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과제를 중점 지원했다. 미래자동차 분야는 국내 최초 자율주행 서틀 서비스를 시작한 스프링클라우드사 등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지능형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등 친환경 및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과제들을 뽑았다. 3대 신산업(BIG3)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한국판 뉴딜, 4차 산업혁명분야 등 중점 전략 지원분야와 함께 3대 신산업(BIG3)분야의 지원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혁신성장 3대 신산업 정책/미래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여 「혁신성장 3대 신산업 정책/기술 분석 -시스템반도체/의약품?진단기기/미래차」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혁신성장 3대 신산업 정책 기술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산업의 기술/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2. 02.
Contents
제Ⅰ편 시스템반도체 산업
제1장 시스템반도체 산업 정책 기술 분석
1. 시스템반도체 정책과 비전 전략
1) 시스템반도체 산업 분석
(1) 시스템반도체 산업 개요
가. 분류 및 특성
나. 시스템반도체의 중요성
(2) 시스템반도체 산업 현황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및 트렌드
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상한 AI반도체
(3) 한국의 시스템반도체 산업 현황 진단
가. 한국의 시스템반도체 산업 현황 및 경쟁력
나. 성장전략
2) 시스템반도체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중국
마. 대만
(2) 국내 정책 동향
가. 2030 종합반도체 강국 비전 선포
나.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이후
3)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1) (팹리스) 수요 창출 및 성장단계별 지원을 통해 글로벌 수준 성장 촉진
가. 5대 전략분야(자동차, 바이오 등) 중심 수요연계 강화
나. 공공수요(에너지, 안전, 국방, 교통 등) 발굴 및 시장 창출
다. 5G+ 핵심 산업·서비스와 국내 시스템반도체 기업 연계
라. 팹리스 원스톱(One-stop) 지원 체계 구축
마. 팹리스 전용펀드, 사업화, R&D 등 수요별 맞춤형 지원
(2) (파운드리) 첨단시장 및 틈새시장 동시 공략으로 세계 1위 도약
(3) (상생협력)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가. 국내 팹리스 - 파운드리 상생협력을 위한 파운드리 적극 개방
나. 팹리스 - 파운드리 간 가교 구축을 위한 디자인하우스 육성
다. 민·관 합동 상생발전위원회 확대
(4) (인력) 민·관합동 대규모 인력 양성 (’30년까지 약 1.7만명 규모)
가. (학사) 채용조건형 반도체 계약학과 및 전공트랙 신설 (3,400명)
나. (석·박사) 기업수요 맞춤형 고급·전문인력 양성 (4,700명)
다. (실무 교육) 설계, 실제 칩제작 등 실무교육 강화 (8,700명)
(5) (기술)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차세대반도체 핵심기술 확보
가. AI 반도체 등 미래 반도체시장을 좌우할 Next-Generation 반도체 개발
나. 고효율 ? 고성능 전력반도체 핵심기술확보 및 기반 구축
다. 산?학?연 공동의 혁신적 연구거점 구축 통합연구 추진
라. 특허 빅데이터 활용, 미래 유망 반도체기술 발굴
마. 핵심기술의 해외유출 방지 시스템 정비
2. 시스템반도체 산업 분석
1) 시스템반도체 산업동향분석
(1) 메모리 반도체에서 시스템 반도체로
(2) 시스템 반도체의 분류
(3) 반도체 생태계의 분류
(4) 종합 반도체업체에서 전문성업체로 분업화
(5) 주문형 개발,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한 시스템 반도체
(6) 전문 기업들이 분업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7) 경기변화에 둔감한 시스템 반도체 산업
(8) 세계 반도체 대기업
2) 시스템반도체 국내외 시장 분석
(1) 세계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나. 세계시장 핵심플레이어 동향
⒜ 파운드리(위탁 제조 전문기업)
⒝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2) 국내 시장 분석
가.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 파운드리
⒝ 팹리스
나. 국내 생태계 현황
다. 생태계 핵심플레이어 동향
⒜ 파운드리(위탁 제조 전문기업)
⒝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3) 시스템반도체 주요 기업 분석
(1) 시스템 반도체는 4차 산업의 중추
(2) 시스템 반도체 산업은 미국 기업들이 주도
(3) 국내 시스템 반도체 업체
가. 인텔
나. 퀄컴
다. 엔비디아
라. 삼성전자
마. SK하이닉스
바. 어보브반도체
사. 텔레칩스
3. 시스템반도체 기술과 특허 현황
1) 시스템반도체 기술 분석
(1) 시스템 반도체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로 진화
(2) 구조적 한계를 맞은 기존 시스템 반도체
(3)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의 기술 분류
(4)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의 발전 방향
(5) 인공지능 구현이 가능한 뉴로모픽 반도체가 시스템 반도체의 미래
2) 시스템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특허 출원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가. 파운드리(위탁 제조 전문기업)
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다. 중국과 대만 주요 반도체 업체 협력 관계 구축
라. 해외 주요 업체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가. 국내 시스템반도체 산업 특징
나. 주요 업체 동향
3) 시스템반도체 기술혁신 지원 현황
(1) 그간의 추진 경과
(2) 2021년 R&D 추진계획
가. 팹리스 성장 지원 R&D
⒜ 글로벌 K-팹리스 육성을 위한 챌린지형 R&D 신설
⒝ 수요 연계 공동 R&D 강화
⒞ 중소 팹리스의 창업·스케일업 촉진
나. 유망시장 선점 R&D
⒜ 미래 전력 반도체 역량강화 및 기술선점
⒝ 차세대 센서 R&D 신설 및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다. 新시장 도전 R&D
⒜ AI 반도체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 세계 최고 메모리 기반 신개념 PIM 반도체 개발
⒞ 기술·사업화 장벽 해소 및 실증 지원
제2장 시스템반도체 중점분야산업 기술 현황
1. 차량용반도체 산업과 연구기술개발 동향
1) 차량용 반도체 산업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범위 및 분류
(2) 차량용 반도체 특성
(3) 시장과 기술의 변화
(4) 주도권 경쟁
2) 차량용 반도체 산업과 정책 분석
(1) 산업 분석
(2) 정책 동향
3) 차량용 반도체 시장 동향 및 전망
(1) 차량용 반도체 시장 동향
(2) 모빌리티 산업 트렌드로 본 차량용 반도체 시장 전망
가. [전장화] 차량용 반도체의 수요 확대와 밸류체인 재편
나. [연결성 심화] 반도체 및 제어장치, 분산형에서 통합형으로 전환
다. [자동화] 자율주행용 AI 반도체의 부상
(3)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가. 자체 생산역량 강화
나. 산업 포트폴리오 확장
다. 기술환경 변화 대응
4) 차량용 반도체 기술개발 동향
(1) 연구 동향
가. 최근 국산화 성공 사례
나. 관련 연구개발 추진 사례
(2) 기술 개발 이슈
(3)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2. 전력반도체 산업과 연구기술개발 동향
1) 전력반도체 산업 현황
(1) 산업 개요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가치사슬 및 용도별 분류
⒜ 가치사슬
⒝ 용도별 분류
라. 기술 및 구성요소별 분류
(2) 산업 분석
(3)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시스템반도체 기술개발 동향
(1) 관련 연구개발 추진 사례
(2) 기술개발 이슈
(3)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전력반도체 기술 응용 및 연구 현황
(1) 차세대 전력반도체 SiC MOSFET의 스위칭 특성 및 효율 연구
가. SiC 전력반도체의 특성
나. 소자 특성 비교
다. 실험 시스템 구성 및 제작
⒜ 실험 시스템 구성
⒝ 실험 구성
라. 실험 결과
마. 결론
(2) 전력 반도체용 갈륨 옥사이드(Ga₂O₃) 연구 동향
가. 갈륨 옥사이드의 특성과 연구동향
나. 전력 반도체용 갈륨 옥사이드의 에피 증착법
⒜ 분자빔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
⒝ 기상 에피택시 (Metal-organic Vapor Phase Epitaxy)
다. 갈륨 옥사이드 전력 반도체의 기술 현황 및 응용
⒜ Metal-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 Field-Plated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3) 전력모듈의 소형화 및 GaN 기반 전력반도체의 모노리식 집적화 기술
가. GaN 기반 전력반도체
나. 기생인덕턴스의 영향
⒜ 패키지 기술
⒝ 모노리식 집적화 기술
다. 모노리식 집적화 응용
⒜ GaN 기반 인버터 형태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화 연구
⒝ Normally-off 동작을 위한 GaN 전력소자와 Clamp 회로의 모노리식 집적화
3. AI반도체 산업과 연구기술개발 동향
1) AI반도체 산업 분석
(1) AI반도체의 개요 및 중요성
가. 인공지능 반도체 개요
⒜ 첨단 시스템반도체 분야(subset)로 인공지능의 핵심두뇌 역할
⒝ 혁신적 설계, 신소자, 미세공정의 기술 집약적 산업
나. 인공지능 반도체의 중요성
⒜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전·후방 산업의 빅뱅을 리드
⒝ 초기 시장이지만, 거대시장 성장 가능성을 보유
⒞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선점을 위한 주요국의 투자 경쟁 심화
(2) 국내외 AI반도체 동향
가. 국내
⒜ (삼성전자) 세계 최초 ‘메모리 반도체’와 ‘AI 엔진’ 통합한 ‘HBM-PIM’ 공개
⒝ (SK텔레콤) AI·반도체 등 미래 사업 겨냥한 인적분할
⒞ (SK하이닉스) 데이터 시대를 대비한 미래 반도체 핵심 기술 제시
나. 해외
⒜ (제품 출시 동향) 엔비디아·인텔·AMD 등 기존 강자 간 경쟁 격화
⒝ (자체 칩 개발 동향) AI·클라우드·자동차 회사까지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박차
⒞ (중국 인공지능 반도체 생태계) 산학연관이 상호 협력하는 생태계 구축
(3) 주요국 동향
가. 중국 : 기술 자립 방안으로 인공지능 반도체 투자 확대
나. 미국 : 중국 추격지연에서 자국 산업 육성으로 선회
다. EU : 자동차 생산차질로 반도체 자립화 논의 본격화
라. 대만 : AITA 중심의 반도체 산업역량 강화
2) AI반도체 비전 및 추진전략
(1) 퍼스트무버형 혁신 기술·인재 확보
가.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의 Winner를 향한 기술혁신 경쟁 본격화
나. 높은 기술·인력 장벽 해소가 초기 경쟁력 확보의 관건
(2) 세부 추진과제
가. 세계 최고 기술력에 도전
⒜ 인공지능 반도체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 세계 최고 메모리 기반 신개념 반도체 개발
나. 초기 수요와 연계한 기술·사업화 장벽 해소
⒜ 국가 인공지능·데이터 인프라를 통한 시범 도입·확산
⒝ 맞춤형 Tech Jump-up 프로그램 지원
다. 인공지능 반도체 차세대 전문인재 양성
⒜ 인공지능 반도체 고급인재 확보
⒝ 실무·융합인력 양성 및 저변 확산
(3) 혁신성장형 산업 생태계 활성화
가. 현황 및 문제점
⒜ 수요기업-공급기업간 연계 부족으로 시장 생태계 미형성
⒝ 글로벌 대비 부족한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역량
⒞ 인공지능 반도체 제작에 필요한 투자 확보 애로
나. 민간·공공 수요 마중물 창출
⒜ 시장 조기 성숙을 위한 수요-공급 연계 확대
⒝ D.N.A 서비스 혁신과 연계한 공공분야 초기시장 창출
다. 연대·협력의 밸류체인 구축
⒜ 설계 역량 강화를 위한 연대·협력 생태계 조성
⒝ 첨단 파운드리 소·부·장 클러스터 조성
라. 기업 성장 인프라 강화
⒜ 혁신기업 Scale-up을 위한 대규모 성장자금 확보
⒝ 인공지능 반도체 팹리스 집중 지원체계 구축
3) AI반도체 연구기술개발 동향
(1) 인메모리 프로세서 기술 개발 (ETRI)
가. 기술의 개념 및 내용
나.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경쟁력
다. 국내외 시장동향 및 전망
(2) 최근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 동향
가. 인간의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Neuromorphic) 반도체’
나. 글로벌 ‘뉴로모픽 반도체’ 시장 성장 본격화
다. ‘뉴로모픽 반도체’에 관한 연구가 산·학·연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
라. 초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동향
⒜ 초저전력 뉴로모픽 하드웨어
⒝ 스핀기반 초저전력 멤리스터 및 로직게이트 개발 현황
(3)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뉴로모픽 연구현황
가. 스파이킹 뉴런 모델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 및 반도체 칩
나. SNN 기반 뉴로모픽 칩 개발
다. 우리의 연구 개발 목표 및 계획 소개
(4) 인공지능 기반 보안용 시스템 반도체 동향
가. 하이실리콘
나. 암바렐라
다. 아이닉스

제Ⅱ편 바이오헬스 산업
제1장 바이오헬스 산업 정책 기술 분석
1. 코로나19의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
1)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산업 영향
(1) 바이오헬스 패러다임 전환과 코로나19
(2) 기초과학기술에 대한 투자 강화
(3) 규제에 대한 인식 변화
(4) 우리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화
(5) 의료서비스, 치료에서 예방으로
(6)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바이오헬스 산업
2)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바이오산업 발전 전략
(1) 바이오산업 현황
가.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나. 국내 바이오산업 정책 현황
다. 해외 바이오산업 정책 현황
⒜ 미국
⒝ 일본
⒞ EU
⒟ 이스라엘
(2) 바이오산업 발전 전략
가. 전주기적 관점하의 연구개발 투자 전략 수립
나. KOSBIR을 활용한 스타트업 성장 금융 생태계 조성
다. 특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고급 인력 공급
3) 바이오헬스 수출·통상 및 정책 동향
(1) 국내 바이오헬스 수출 동향
(2) 코로나19 이후 바이오헬스 신성장 수출 동력
(3) 수출 동향 및 통상 정책 모니터링 강화 필요
4) 코로나19 관련 무역변화 및 주요 통상쟁점
(1) 코로나19 관련 의료제품 교역현황 및 각국의 무역조치 현황
(2) 코로나19 대응 관련 무역의 역할 및 주요 통상 쟁점
(3) 코로나19 백신 접근(확보) 관련 국제사회 노력
2.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AI 활용 및 기술 트렌트 분석
1)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AI 산업 활용 분석
(1)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AI 정책동향
가. 해외 정책동향
나. 국내 정책동향
(2)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AI 기술?산업동향
가.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나. 인공지능 기술의 정의 및 적용분야
다.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인공지능 시장규모 및 전망
(3)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AI 활용방안
가. 코로나19 등 전염병 대응
나. 의료영상·진단
다. 환자치료·병원관리 및 모니터링
라. 신약 및 백신 개발 등 제품개발 지원
마. 기타 AI 활용사례
2)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술융합과 트렌드 분석
(1) 이론 및 선행연구
가. 동시분류분석 기반의 기술융합 연구
나. 특허데이터 기반의 텍스트마이닝 연구
(2) 연구방법
가. 분석대상
나. 분석모형
다. 분석방법
⒜ 동시분류 기반의 네트워크 분석
⒝ 텍스트마이닝 분석
⒞ CPP-PFS 교차분석
(3) 연구결과
가. 기술융합 분석결과
⒜ 동시분류분석 결과
⒝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
나. 기술동향 분석결과
⒜ 특허출원 동향 분석
⒝ 특허데이터 주요 키워드 분석
⒞ 기술경쟁력 분석 결과
(4) 결론
3. 바이오헬스 산업 투자진단과 R&D 정책 전략
1) 바이오헬스 산업 정부의 혁신투자 분석
(1) 산업부문별 주요 동향 및 국내 현황 진단
가. 의약품 분야
나. 의료기기 분야
다. 첨단재생의료 분야
라. 헬스케어 분야
(2) 우리나라의 바이오헬스 혁신생태계 진단
가. 글로벌 선도 혁신생태계
나. 국내 바이오헬스 혁신생태계 분석
다. 해외 클러스터의 성공요인 분석으로부터 산업육성 아젠다 도출
(3) 국내 바이오헬스 민간 투자생태계 진단
가. 바이오헬스 민간 투자생태계 (미국 vs 한국)
나. 국내 바이오헬스 민간 투자생태계 현황 분석
다. 국내 민간 투자생태계 분석결과 및 시사점
(4)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위한 정부R&D의 역할 및 예산배분 전략
2) 포스트 코로나, 바이오헬스 R&D 정책과 미래 전망
(1) 포스트 코로나,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R&D 정책
가. 우리에게 ‘포스트 코로나’는 무엇인가?
나.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로 시작된 R&D지원 정책의 확대
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중장기적 R&D 지원 정책
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제약 산업 성장을 위해 남겨진 과제
⒜ 디지털 혁신은 곧 제약 산업의 혁신
⒝ 국제 협력은 제약 산업 발전의 핵심
⒞ 기초에 집중
(2)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R&D 미래 전망
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
나. 애자일(Agile)한 혁신 설계역량이 중요
다. 임무지향적 혁신정책이 강화
라. 전략적 협력(Strategic alliance) 모델이 다양하고 복잡
마. 소비자의 권한이 강화되고, 환자 중심성이 중요
바. 가치기반 헬스케어(Value-based Healthcare)를 촉진
사. 다시 사람이다.
제2장 의약품/진단기기/첨단재생의료 산업 전망
1. 바이오의약품 산업과 정책 현황
1) 바이오의약품 정의 및 특성
(1) 바이오의약품 정의
(2) 바이오의약품 특성 및 유형
2)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산업 현황
(1) 세계 의약품 산업의 현황 및 전망
가. 의약품 시장 규모
나.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동향
(2) 한국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경쟁력 현황
가. 한국 의약품 산업 현황
나. 한국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경쟁력
⒜ 사업운영 현황 및 애로사항
⒝ 기술수준 및 기술확보 애로사항
⒞ 수출현황 및 애로사항
⒟ 투자 및 자금조달
⒠ 소결
3) 바이오의약품 산업 R&D 동향
(1)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R&D 동향
가. 바이오의약품 R&D 증가
나. 오픈 이노베이션 확대
다. 코로나19 백신·치료제 R&D 증가
(2)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R&D 현황
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R&D 투자(정부)
나.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R&D 투자(민간)
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파이프라인 현황
라. 코로나19 R&D 투자
마. 코로나19 파이프라인 현황
2. 의료기기 진단기기 산업과 정책 현황
1) 코로나19의 의료기기 산업 동향
(1) 의료기기 글로벌 시장 동향
(2)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가. 로슈
나. 애보트(Abbott Laboratories)
(3) 코로나19의 국내 의료기기 산업 영향
(4) 코로나19 진단시약 주요 기업 개발 현황
가. 수젠텍
나. 씨젠
다. GC녹십자MS
(5) 국산 의료기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6) 의료기기 산업?정책 현황과 향후 과제
가. 의료기기 현황
⒜ 국회 입법 노력
⒝ 의료기기산업 현황
나. 의료기기 관련 이슈
⒜ 의료기기 안전관리 미흡
⒝ 규모가 작은 의료기기 산업
⒞ 높은 수입의존도와 낮은 국산 의료기기 사용 비중
⒟ 환경 변화
다. 향후 과제
⒜ 안전한 의료기기 사용을 위한 제도 완비
⒝ 의료기기 국산화를 위한 노력
⒞ 환경 변화에 맞춘 혁신의료기기 산업 육성
2) 코로나19 진단기기 산업현황 및 수출전망
(1) 코로나19 개요 및 진단방법
가. 코로나19 정의 및 분류
나. 코로나19 진단방법
(2) 코로나19 진단기기 제품 현황
가. 코로나19 진단기기 제품 개발 현황(2020.5.6. 기준)
나. 국내외 코로나19 진단기기 개발 및 사용 현황
(3) 국내 코로나19 진단기기 수출현황 및 전망
가. 코로나19 진단기기 수출 현황
나. 코로나19 진단기기 수출 전망
3) 코로나19 진단키트 산업의 공공성 동향
(1) 산업화와 가격 및 제조비용 불투명성
(2) 기업에 대한 ‘조건 없는’ 공적 지원
가. 공공연구기관 개발 기술의 이전
나. 연구개발비 지원
다. 생산 및 수출 지원
라. 규제완화
(3) 정부와 진단키트 기업이 가져야 할 공적 책무성
3. 첨단재생의료 산업과 정책 현황
1) 재생의료 산업 분석
(1) 산업 개요
가. 재생의료 정의
나. 재생의료 분야별 정의 및 범위
다. 국내·외 재생의료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시장 동향
(3) 첨단재생바이오 2025 발전전략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가. 중앙정부 첨단재생의료 관련 산업 기본계획의 추진배경
나. 첨단재생바이오 2025 발전전략의 주요내용
2) 재생의료 국내·외 정책 동향
(1) 재생의료 국내 정책 동향
(2) 재생의료 국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캐나다
다. 유럽
라. 일본
마. 중국
3) 재생의료 국내·외 연구 동향
(1) 재생의료 국내 연구 동향
가. 세포치료제
나. 유전자치료제
다. 조직공학제제
(2) 재생의료 국외 연구 동향
가. 세포치료
나. 유전자치료
다. 조직공학치료
4) 재생의료 기술수준분석
(1) 기술추세 분석
(2) 과학기술 수준

제Ⅲ편 미래차 산업
제1장 자율주행차 산업 정책 기술 분석
1. 미래자동차 대내외 산업 경쟁과 정책동향
1) 세계시장에서 미래차 산업동향
(1) 자동차산업의 경계가 무한 확장되는 기술전환체계
(2) 미래차시장의 전망
2) 국내외 미래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
(1) 주요국의 정책 동향
(2) 주요 완성차업체간 경쟁
(3) 우리 정부의 미래차 정책
가. 우리 정부의 미래차 정책 동향
나. 우리나라 미래차산업 비전과 정책방향
3)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
(1) 편의?가격?수요 3대 혁신을 통해 미래차 친화적 사회시스템 실현
가. 편의
⒜ 전기차 충전기
⒝ 수소 충전소
⒞ 친환경차 주차·주행 편의
나. 가격
⒜ 차량가격
⒝ 보조금
⒞ 新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구매가격 저감
⒟ 세제 지원
⒠ 에너지 가격
다. 수요
라. 차종별 차별화된 보급전략
(2) ?미래차 + 전ㆍ후방 연관산업?을 확고한 수출 주력
가. 완성차
⒜ 전기차
⒝ 수소차
⒞ 하이브리드 경쟁력 강화
나. 핵심부품
⒜ 배터리
⒝ 연료전지
⒞ 기타 핵심부품
⒟ 수소철도ㆍ수소선박ㆍ플라잉카(UAM·PAV) 등의 미래 송수단 수출동력화
(3)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
가.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량 출시
나. 자율주행 기술활용?인프라?제도 완비
⒜ 인프라
⒝ 법ㆍ제도
⒞ 사회문제 해결에 첨단자율주행기술을 적극 활용
⒟ 중소ㆍ중견기업이 중심이 되는 서비스산업
⒠ 자율주행 기술을 국방ㆍ항만 수송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
(4) 미래차 생태계로의 전환
가.‘30년까지 1,000개 부품기업을 미래차 분야로 전환
⒜ 사업재편 추진 기반
⒝ 사업재편·전환기업 승인
⒞ 승인기업 지원
⒟ 상생강화를 통한 사업재편
나. 민간 자본 활용을 통해 시장 자생적인 미래차 확산
⒜ 미래차 펀드 조성
⒝ 미래차 제조 New Player 육성
⒞ 중소·스타트업 : R&D·규제특례·사업화 단계별 지원
⒟ 新비즈니스 모델: 사용후 배터리 등 서비스 활성화
다. 미래차 시대를 대비하여 투자환경 조성
라. 친환경차 생산에서 폐기까지 全주기 친환경화를 완성
마. 민관 합동 미래차산업 지속가능한 추진ㆍ점검 체계를 가동
2.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및 전망
1)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1) 산업 개요
가. 자율주행차 개요
나. 자율주행차 주요 이슈
(2) 세계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나. 세계시장 핵심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시장 분석
가. 국내시장 동향 및 전망
나. 국내 생태계 현황
다. 생태계 핵심플레이어 동향
2) 자율주행 관련 산업 국내외 기업현황
(1) 글로벌 자동차업체 동향
가. Ford
나. GM
다. Renault-Nissan
라. Daimler
마. Volkswagen
바. BMW
사. Volvo
아. Tesla
자. Toyota
차. Honda
(2) 자율주행 관련 서비스업계 동향
가. Waymo
나. Uber
다. nuTonomy
라. Baidu
마. Intel
바. Apple
(3) 국내 업체 동향
가. 현대자동차
나. 현대모비스
다. SK텔레콤
라. KT
마. 네이버랩스
바. 삼성전자
3. 자율주행차 정책과 기술 R&D 현황
1) 자율주행차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가. 2030 국가 로드맵,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나.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 수립
2)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동향
(1) 자율주행 기술 동향
가. 자율주행 인지 기술 동향
나. 자율주행 판단/제어 기술 동향
다.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개발 수준
라. 자율주행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평가
(2) 자율주행 기술 동향
가. 글로벌 기술동향
나. 국내 기술동향
3) 자율주행차 R&D 투자동향
(1) 글로벌 R&D 투자동향
(2) 국내 R&D 투자동향
4) 자율주행차 특허 및 표준화 현황
(1) 특허동향
가. 국내 자율주행 관련 특허동향
나. 기술분야별 특허동향
(2) 자율주행 관련 표준화 현황 및 전망
가. 자율자동차 시스템 및 운영제어 기술
나. 디지털 인프라 기술
다. 클라우드 인프라 및 차량통신 기술
라. 자율자동차 SW 플랫폼 기술
마. 자율자동차 보안 체계 기술
제2장 전기차/수소차 산업 정책 기술 분석
1. 전기차 산업과 배터리 정책 분석
1) 전기자동차 핵심 밸류체인별 시장동향과 주요이슈
(1)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규모 현황 및 전망
가. 산업 개요
⒜ 기술 개요
⒝ 시장 특성
나. 시장 동향
⒜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 지역별 시장 규모
다. 우리나라 시장 규모
⒜ 전체 시장 규모
⒝ 세부기술별 시장 규모
(2) 전기자동차 지원 정책 환경 변화
(3) 생존 경쟁이 치열해진 배터리 산업
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장 동향 분석
나. 배터리 생산업체 동향
다. 완성차 업체들의 핵심 기술 내재화 전략
(4) 가격 변동성이 커진 원자재 시장
가.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및 전망
나. 치열해진 원자재 수급 확보 노력
2)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시장 트렌드 현황
(1) 전기차용 배터리산업의 글로벌 환경변화
가. 전기차용 배터리 주목
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주요 플레이어와 기술 변화
(2) 이차전지 산업 현황
가. 이차전지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주요 업체 및 점유율 현황
(3) 최근 시장 트렌드
가. 환경규제 본격화 및 자국산업 보호 추세
나. 신규 시장 진입자의 등장
3) 글로벌 배터리 시장과 주요국의 공급망
(1) 글로벌 배터리 시장 개황
(2) 주요국의 배터리 시장 및 공급망 현황
가. 미국
나. 유럽연합(EU)
다. 중국
라. 일본
(3) 국내 배터리산업 현황
가. 수출입 현황
나. 국내 배터리 공급망
4) 전기차 배처리 기술개발과 발전전략 현황
(1) 기술 개발 동향
가. 배터리 소재 기술 고도화
나. 차세대전지 기술 대비 활발
다. 완성차 제조사의 기술표준 강화
(2) 2030 이차전지 산업(K-Battery) 발전 전략
가. (전략1) 차세대 이차전지 1등 기술력 확보를 위한 대규모 R&D 추진
⒜ 미래시장을 주도하는 차세대 이차전지 제조기술 조기 확보
⒝ 차세대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핵심 소부장 요소기술 확보 병행
⒞ 리튬이온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
나. (전략2) 글로벌 선도기지 구축을 위한 연대와 협력의 생태계 조성
⒜ 안정적인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 구축
⒝ 이차전지 소부장 핵심기업 육성
⒞ 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
⒟ 글로벌 트렌드에 대응한 제도기반 마련
다. (전략3) 이차전지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수요시장 창출
⒜ 사용후 이차전지 시장 활성화
⒝ 이차전지 수요기반 확대
⒞ 이차전지 서비스 신산업 여건 조성
2. 수소차 산업과 정책 현황
1) 수소차 인프라 구축 동향
(1) 산업 개요
가. 아이템 개요
나. Value Chain
(2) 수소인프라 구축 가속화
(3) 한국, 글로벌 수소차 생산의 중심
2) 수소차 산업 동향
(1)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2) 산업 동향
가. 글로벌 산업 동향
나. 국내 산업 동향
3) 수소차 정책 동향
(1) 국내 정책 동향
(2)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중국
라. 유럽
4) 수소차 기술 동향
(1) 기술범위 및 특징
가. 스택
나. 운전장치
다. 전장장치
라. 수소저장장치
(2) 국내/외 기술 Trend

도표(그림) 목차

Author
R&D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