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서울 집값, 진단과 처방’의 후속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앞의 책이 지난 70여 년 동안 많은 국민이, 너무도 크게 정치인들과 이에 편승한 전문가들에 의해 속았다는 내용이었다면, 본서는 어떤 부분들이 그들에 의해 호도되었는지를 하나씩 설명한 것이다. 아니 그들을 너무 폄하하기보다는 우리나라의 현대화 및 경제발전 역사가 너무 짧고, 대통령의 임기가 5년 단임이기 때문에 백년대계를 볼 여유가 없었다고 보는 편이 전문가에 속하는 필자에게도 면죄부를 줄 것이다.
부동산시장에는 불패론과 거품론이 있지만 모두 신기루와 같다. 불패를 믿는 자와 폭망을 기대하는 자만 있을 뿐이다. 내 집이 있는 자는 불패를 믿어야 편하고 그렇지 않은 쪽에서는 폭망을 기대하는 게 마음 건강에 좋다. 그러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것에는 부침이 있다. 영원한 것은 종교의 세계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시장 참여자는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 시장경기가 오르막을 탈 때와 내리막을 탈 때를 잘 구별해야 한다.
본서에서는 오름과 내림의 신호 체계를 알기 쉽게 설명했다. 12가지 서술적 논리와 5가지 과학적 근거, 그리고 그것으로 부족해서 7가지의 핵심 영향인자를 기술했다. 내용이 반복되거나 겹치는 부분도 있지만, 이것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나름의 기술 방법이니 살펴서 이해하시길 바란다.
Contents
프롤로그: 윤석열 정부 주택정책, 발상 전환 필요 11
PART 01
서울 주택시장의 침체 위기와 폭등
CHAPTER 1
냉탕과 온탕: 외환위기 극복과 투기와의 전쟁
01 최고가 2천만원 시대 18
02 최고가 6천만원 시대 28
CHAPTER 2
위기와 안정: 세계 경제위기 탈출과 경제 성장
01 최고가 5천만원 시대 42
02 최고가 8천만원 시대 53
CHAPTER 3
폭등과 영끌: 편파적 이념정책의 후유증
01 최고가 2억원 시대 68
02 최고가 2억원 이후 시대 80
PART 02
강남 아파트 평당 3억원의 논리와 근거
CHAPTER 1
12가지 집값 견인 논리
01 주택가격 형성구조 96
02 서울시 실질 주택보급률 102
03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105
04 잠실, GTX 등 개발사업 106
05 인플레이션 110
06 아파트 4.0 시대 113
07 스마트도시화 116
08 국민소득(GNI) 증가 118
09 아파트 계층화 120
10 경기사이클 127
11 새 정부의 주택정책 130
12 세계 경제환경 132
CHAPTER 2
강남 불패의 과학적 근거
01 주택매매가격 지수 138
02 양도세 및 종합부동산세 완화 144
03 1가구 1주택 제도 148
04 LTV, DSR 등 대출조건 완화 150
05 윤석열 정부의 주택정책 153
PART 03
서울 주택시장 이해와 발상 전환
CHAPTER 1
동심원 가격 구조의 주택시장
01 동심원 가격 구조 160
02 2022년 이후 7가지 핵심 영향요인 164
03 학습효과를 통해 본 서울시 주택시장의 미래 185
CHAPTER 2
주택정책의 발상 전환 제언
0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주택정책 패러다임 190
02 주택공급보다 자가소유율을 높이는 ‘탈 신도시주의’ 도입 193
03 영구적 집값 안정대책, ‘국민보험주택’ 제도 신설 198
부록 207
Author
윤주선
저자는 교수라기보다 전문가로 불리길 더 원하며 그는 그런 삶을 살아왔다. 연구소, 대기업, 디벨로퍼, 공기업 등의 민관 실무경험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을 비롯한 여러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다양한 심의위원, 감사위원 등의 공적 심사경험, 그리고 조경기사, 도시계획기술사, 부동산개발전문가, 스마트도시전문가로서의 전문가 활동을 통해 척박한 도시계획분야 후학들의 새로운 길잡이가 되고 있으며, 이를 기리는 ‘2020 도시계획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바 있다. 현재는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에서 도시계획과 부동산을 융합하는 실무전문가를 육성하고 있다.
그의 글은 <공정한 주택정책의 길을 찾다>, <스마트 도시의 D.N.A.>, <서울 집값, 진단과 처방>, , <부동산개발 실무 16강>, <도시개발론>, <정보화 신도시 개발마케팅>, <그림으로 설명하는 도시계획> 등이 있다.
저자는 교수라기보다 전문가로 불리길 더 원하며 그는 그런 삶을 살아왔다. 연구소, 대기업, 디벨로퍼, 공기업 등의 민관 실무경험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을 비롯한 여러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다양한 심의위원, 감사위원 등의 공적 심사경험, 그리고 조경기사, 도시계획기술사, 부동산개발전문가, 스마트도시전문가로서의 전문가 활동을 통해 척박한 도시계획분야 후학들의 새로운 길잡이가 되고 있으며, 이를 기리는 ‘2020 도시계획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바 있다. 현재는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에서 도시계획과 부동산을 융합하는 실무전문가를 육성하고 있다.
그의 글은 <공정한 주택정책의 길을 찾다>, <스마트 도시의 D.N.A.>, <서울 집값, 진단과 처방>, <PPT로 쉽게 배우는 부동산마케팅>, <부동산개발 실무 16강>, <도시개발론>, <정보화 신도시 개발마케팅>, <그림으로 설명하는 도시계획>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