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과 사주명리학의 패러다임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기본적 이론이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성립되는가에 대해, 현대인들의 논리적·과학적 사고에 걸맞는 방식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십신의 복합성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신비주의적 요소와 미신적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였기에, 십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해석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저자서문
일러두기
제1부 십신의 개념 이해
제1장 들어가는 글
제2장 십신(十神, 十星)의 기본개념 이해
제2부 논리로 푸는 新 십간론(十干論)
제1장 시간의 관점인 體ㆍ用으로 분석하는 십간의 오행특성
제2장 공간의 관점인 用ㆍ合으로 분석하는 십간의 오해특성
제3장 體ㆍ用ㆍ合으로 분석하는 십간의 복합특성
제3부 논리로 푸는 新 십신론(十神論)
제1장 운동형태로 분석하는 오행의 5가지 기질적 특성
제2장 四柱 日干에 적용되는 십간의 복합성향 분석
제3장 사주명리학에 적용되는 十神(十星)의 복합성향 분석
제4장 십신의 정확한 명칭에 대한 소고
부록 : 일반사주학과 석하명리의 차이점
참고문헌
Author
소재학,이상광
대한민국 미래예측학 박사 1호이며, 보건학 박사 이다. 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수 및 발전위원장을 역임하고 이리스트대학교 원격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였다.재단법인 하원정 미래학회 회장, 글로벌 융합인재포럼 회장, 세계미래포럼 지식광장 교수 및 칼럼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동양 역학의 오랜 신비와 미신적 요소를 벗기고 과학의 옷으로 갈아입히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서양 미래학의 접목과 융합을 통해 동양 미래예측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또한 누구에게나 존재하며 개인의 삶과 사회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과 실패의 10년주기 패턴 '석하리듬'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칼럼이나 특강 활동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전하고 있다.
대한민국 미래예측학 박사 1호이며, 보건학 박사 이다. 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수 및 발전위원장을 역임하고 이리스트대학교 원격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였다.재단법인 하원정 미래학회 회장, 글로벌 융합인재포럼 회장, 세계미래포럼 지식광장 교수 및 칼럼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동양 역학의 오랜 신비와 미신적 요소를 벗기고 과학의 옷으로 갈아입히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서양 미래학의 접목과 융합을 통해 동양 미래예측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또한 누구에게나 존재하며 개인의 삶과 사회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과 실패의 10년주기 패턴 '석하리듬'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칼럼이나 특강 활동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