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선림고경총서 제24권 『나호야록(羅湖野錄)』, 제27권 『운와기담(雲臥紀談)』, 제26권 『총림성사(叢林盛事)』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가려 뽑고 주석을 붙여 다시 출간한 것이다. 『나호야록(羅湖野錄)』, 『운와기담(雲臥紀談)』은 남송(南宋) 때 효영중온(曉瑩仲溫) 스님이 편집하였다. 스님들과 유학자 등 약 100여 명의 불법에 대한 기연과 게송 등을 수집하고 각각의 일화마다 효영스님 자신의 의견을 붙여 두었다. 『총림성사』에는 임제종 황룡파의 이야기가 많을 뿐만 아니라 후세에 운문종이라 불리는 스님들의 이야기도 많이 실려 있다. 또 당시 스님들의 전기도 실려 있고, 때로는 문수보살상이나 관세음보살상에 대한 찬(讚)들도 실려 있어 당시의 신앙 형태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효종 임금의 칙서는 물론 황정견(黃庭堅, 1045~1105)을 비롯한 당대 문인들의 이야기도 소개되어 문인들과 승려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도 좋은 사료적 가치가 있다.
Contents
한글 선어록을 발간하면서 … 005
효영중온 스님의 나호야록
해제 … 020
서문 … 022
발문 … 024
1. 선법을 깨닫고 자유롭게 살다간 노인 / 조변(趙?) … 026
2. 사자춤을 보고 깨치다 / 서여정단(西余淨端) … 032
3. 불도를 좋아했던 문장가 / 황노직(黃魯直) … 037
4. 한마디 할(喝)로 화엄 5교를 설명하다 / 만암계성(?庵繼成) … 041
5. 『화엄경』의 요지에 대해 격론을 벌이다 / 원오극근(?悟克勤) … 046
6. 나한사의 소남(小南) 선사 … 050
7. 황제와 법을 주고받다 / 대각회연(大覺懷璉) … 053
8. 부필(富弼)의 편지 … 058
9. 돌 북에 붙인 게송 / 원조종본(圓照宗本) … 061
10. 대장경에 편입된 명교스님의 저술들 … 063
11. 생사를 유희로 알다 / 성공묘보(性空妙普) … 067
12. 대중과 함께 생활하다 / 호국경원(護國景元) … 072
13. 강서 지방에 불법이 성했던 때 / 영원유청(靈源惟淸) … 075
14. 종이옷을 만들어 입고 다닌 스님 / 파초곡천(芭蕉谷泉) … 078
15. 도솔종열(兜率從悅) 스님의 제문 / 장무진(張無盡) 거사 … 081
16. 임제종을 중흥하다 / 오조법연(五祖法演) … 088
17. 좋은 스승 좋은 도반 / 천복오본(薦福悟本) … 090
18. 회당(晦堂) 선사께 법문을 청하는 글 / 서희(徐禧) … 093
19. 적음존자(寂音尊者)의 참선 … 096
20. 오고 감에 자유롭게 / 우(祐) 상좌 … 099
21. 하루 종일 고목처럼 앉아 정진하다 / 능인조원(能仁祖元) … 101
22. 노둔한 말은 다시 채찍질해도 모르는 법 / 불안청원(佛眼淸遠) … 104
23. 선사들에게 도 묻기를 권하는 글 / 황노직(黃魯直) … 107
24. 인절미 장수 / 유도파(兪道婆) 여인 … 109
25. 지해사(智海寺)의 법등 / 불혜법천(佛慧法泉) … 113
26. 자비심이 많아 ‘노파’라 불린 스님 / 순(順) 선사 … 116
27. 간곡한 편지글 / 개선선섬(開先善暹) … 120
28. 용문사 연수당 벽에 써 붙인 글 / 불안청원(佛眼淸遠) … 122
29. 쌍림 숲의 상승인 / 광혜원련(廣慧元璉) … 124
30. 강주를 그만두고 수좌가 되다 / 화장안민(華藏安民) … 128
31. 『화엄경』 강주 / 지도조각(智度祖覺) … 132
32. 살아 있는 스님의 제문(祭文) / 화산혜방(禾山慧方) … 136
33. 경책문 / 회당조심(晦堂祖心) … 138
34. 조사들을 받들어 모시다 / 호구소륭(虎丘紹隆) … 140
35. 원오두(源五斗) / 초원(楚源) 수좌 … 143
36. 세속 일을 처리하는 네 가지 방법 / 오조법연(五祖法演) … 146
37. 스스로 알아내는 것이 좋으리라 / 불안청원(佛眼淸遠) … 148
38. 안목을 갖추고도 못 알아보다 / 무진(無盡) 거사 … 152
39. 황룡사 문에 써 붙인 글 / 황룡사심(黃龍死心) … 155
40. 유학자의 견해를 비판함 / 설당도행(雪堂道行) … 157
41. 『선본초(禪本草)』 / 혜일문아(慧日文雅) … 159
42. 『선본초(禪本草)』와 『포자론(?炙論)』 / 담당문준(湛堂文準) … 162
효영중온 스님의 운와기담
해제(解題) … 166
자서(自敍) … 171
1. 부필(富弼)의 게송과 편지 … 173
2. 조수자지(祖秀紫芝) 스님의 문장 … 176
3. 동산(東山) 길(吉) 선사의 게송 … 186
4. 황룡혜남(黃龍慧南) 선사의 3관 화두송 … 190
5. 고칙(古則)에 송(頌)을 붙이다 / 선(禪) 선사 … 194
6. 죽에 대하여 지은 글[粥疏] / 제이(齊已) … 196
7. 승당기(僧堂記) / 대제(待制) 사공(査公) … 199
8. 도사 건익지(蹇翊之)를 보내며 / 무진(無盡) 거사 … 203
9. 발우 들고 날마다 탁발하다 / 경산요명(徑山了明) … 207
10. 부엌을 새로 짓고[廚堂記] / 백운수단(白雲守端) … 212
11. 대혜(大慧) 선사가 한자창(韓子蒼)의 서재에 머무를 때 … 214
12. 자운선인(慈雲善因) 스님이 조정에 올린 호소문 … 217
13. 승려에게 재물과 밥을 보시하는 일 … 220
14. 천(泉) 법용(法湧) 스님이 황룡사심(黃龍死心) 선사에게 입실하다 … 226
15. 날카로운 우스갯소리를 잘하던 설두행지(雪竇行持) … 229
16. 무쇠 주둥이 화약사(花藥寺) 진영(進英) 선사 … 232
17. 서호(西湖)에서 한가하고 청빈한 생활 / 이연청순(怡然淸順) … 234
18. 은둔하며 사는 조주 선사의 상수제자 엄양(嚴陽) 존자 … 237
19. 예장(豫章) 태수 정벽(程闢)이 혜남스님을 주지로 맞이하다 … 240
20. 아미타불 잘그리던 유미타(喩彌陀) … 243
21. 상서 막장(莫將)이 남당원정(南堂元靜) 선사를 뵙다 … 246
22. 관상술 잘 하던 석가원 묘응(妙應) 대사 … 248
23. 방자한 행락객 남강 군수를 일깨워 주는 글 / 진교(眞敎) 과(果) 선사 … 251
24. 진정(眞淨) 스님이 보련(寶蓮) 장주(莊主)의 공양에 가면서 … 254
25. 언제나 “소로소로”로 대답하다 / 용아지재(龍牙智才) … 256
26. 원오(?悟) 선사가 은둔자 왕범지(王梵志)의 시에 붙인 글 … 260
27. 말쑥한 산천에 한 마리 기린 / 주봉암주(舟峰菴主) 경로(慶老) 선사 … 263
28. 효종 황제의 『원각경』 주석에 보인(寶印) 스님이 게송을 올리다 … 267
29. 원감법원(圓鑑法遠) 선사의 시와 행적 … 269
30. 적음(寂音) 존자 혜홍(慧洪) 선사가 연루되어 견책 받았던 일 … 272
31. 한유(韓愈)의 『원도(原道)』를 논함 / 효종(孝宗) 황제 … 276
32. 노화엄(老華嚴) 회동(懷洞) 스님이 세상에 나와 하신 법문 … 279
33. 유정(惟正) 선사의 행적과 법문 … 282
34. 소식(蘇軾)의 사주상찬(泗洲像讚) … 285
35. 시 잘 쓰는 원두(園頭) 신(信) 무언(無言) 스님 … 288
36. 대혜스님이 무진 거사를 두 번째 방문했던 일 … 292
37. 장준(張浚)을 문안하러 가는 길에 / 도겸(道謙) 수좌 … 294
38. 산사로 돌아갈 것을 청하는 글 / 대각회연(大覺懷璉) … 299
39. 임종 앞에서 자기 비문을 짓다 / 문혜공(文惠公) 진요좌(陳堯佐) … 303
40. 혜남 선사께 법제자가 되겠다는 편지를 띄움 / 보본혜원(報本慧元) … 305
41. 무진 거사와 대홍보은(大洪報恩) 선사가 선과 교의 요체에 대해 논하다 … 309
42. 성품을 논하는 글/ 달관담영(達觀曇穎) 선사 … 312
43. 고암(高菴) 선사의 뒤를 잇다 / 무착도한(無著道閑) … 315
44. 북망산의 노래 / 불혜법천(佛慧法泉) … 318
45. 서기 정(政) 스님의 시 … 321
운와암주(雲臥菴主)의 편지[書] …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