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리지 3

임원경제지
$32.40
SKU
97889938200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4/2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9382000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임원경제지』113권 중 1권에서 13권까지에 해당하는「본리지」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임원경제지』는 정조 서거 당시 소장학자였던 서유구가 연암 박지원, 홍대용, 이덕무, 박제가 등 북학파의 성과들을 필생의 작업을 통해 남긴 것이다.. 식량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식량에 속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가축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 옷은 어떻게 만들 것인가? 집은 어떻게 지을 것인가? 가정 경제는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가계부는 어떻게 쓸 것인가? 취미와 여가는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동네 사람들끼리는 어떻게 지낼 것인가? 국가와 제도는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등 놀랍도록 구체적인 사실로부터 세상의 모든 지식을 담아 내었다.

이 중 「본리지」는 곡식 농사의 전체에 대한 총람. 토지제도, 수리, 토질, 농사 시기, 개간과 경작법, 거름과 종자의 선택, 파종, 수확 및 저장, 곡식 이름 고증, 곡식 재해와 예방, 농가 달력 표, 농기구와 관개시설 도보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Contents
卷第九 1 농가 달력표 田家曆表
1. 정월령 正月令
2. 2월령 二月令
3. 3월령 三月令
4. 4월령 四月令
5. 5월령 五月令
6. 6월령 六月令
7. 7월령 七月令
8. 8월령 八月令
9. 9월령 九月令
10. 10월령 十月令
11. 11월령 十一月令
12. 12월령 十二月令

卷第九 2 새로 정한 농가 달력표 新定田家曆表
1. 정월령 正月令
2. 2월령 二月令
3. 3월령 三月令
4. 4월령 四月令
5. 5월령 五月令
6. 6월령 六月令
7. 7월령 七月令
8. 8월령 八月令
9. 9월령 九月令
10. 10월령 十月令
11. 11월령 十一月令
12. 12월령 十二月令

卷第十 그림으로 보는 농사 연장_상 農器圖譜 上
갈이 연장과 삶이 연장 耕?之具
1. 보습자루와 보습 ??
2. 쟁기 ?
3. 보습 ?
4. 쌍날삽 ?
5. 볏 ?
6. 물추리막대 耕槃
7. 멍에 牛?
8. 우리나라 쟁기 ?
9. 대경 代耕
10. 따비踏?
11. 잔 ?
12. 괭이 ?
13. 우리나라 괭이 ?
14. 삽 ?
15. 봉 鋒
16. 쇠스랑 鐵搭
17. 가래 ?
18. 우리나라 가래 ?
19. 써레 ?
20. 써레 ?
21. 로 勞
22. 육독 ??
23. 역택 ??
24. 곰방메 ?
25. 번지 平板
26. 전탕 田?
27. 고무래 ?

파종 연장과 김매기 연장 種藝之具
1. 누차 ?車
2. 누차 보습?
3. 둔차 ?車
4. 호종 瓠種
5. 끙게 撻
6. 누 ?
7. 박 ?
8. 호미??
9. 우리나라 호미 鋤
10. 누서 ?鋤
11. 등자호미 ?鋤
12. 자귀 ?
13. 곤축 ?軸
14. 운탕 耘?
15. 부록_ 요맥차 附?麥車

卷第十一 그림으로 보는 농사 연장_하 農器圖譜 下
거두기 연장 收穫之具
1. 질 ?
2. 예 艾
3. 낫 ?
4. 밀낫 推?
5. 속견 粟?
6. 결 ?
7. 발 ?
8. 얼루기 ?
9. 도리깨 連?

찧기 기구와 고르기 기구 攻治之具
1. 디딜방아 踏?
2. 항아리 방아 堈?
3. 우리나라 방아 ?
4. 물방아 槽?
5. 기대 機?
6. 전대 轉?
7. 토매 ?
8. 물토매 水?
9. 연자방아 輾
10. 롤러 연자방아 ?輾
11. 물연자방아 水?
12. 복합 물바퀴 水輪三事
13. 맷돌 ?
14. 자동맷돌 自行磨
15. 물맷돌 水磨
16. 연마 連磨
17. 수전연마 水轉連磨
18. 풍차맷돌 風?
19. 우리나라 매 磨
20. 풍구 ?扇

갈무리 시설 및 기구 蓋藏之具
1. 곡간倉
2. 벽 없는 곡간 ?
3. 노적가리庾
4. 둥근 곡간 ?
5. 네모 곡간 京
6. 곡갑 穀匣
7. 통풍관 穀?
8. 땅광 ?
9. 움 竇

卷第十二 그림으로 보는 관개 시설_상 灌漑圖譜 上
1. 수책 水?
2. 수갑 水閘
3. 피당 陂塘
4. 수당 水塘
5. 뚫은 물길 浚渠
6. 하수로 陰溝
7. 번차 ?車
8. 물 번차 水轉?車
9. 소 번차 牛轉?車
10. 통차 筒車
11. 고지대 통차 高轉筒車
12. 당나귀 통차 ?轉筒車
13. 물 고지대 통차 水轉高車
14. 연통 連筒
15. 가조 架槽
16. 용두레?斗
17. 괄차 刮車
18. 길고 桔?
19. 녹로 ??
20. 비륜 飛輪
21. 국자 길고 杓桔?
22. 행륜 行輪恒升車
23. 성륜 星輪
24. 홍흡 虹吸
25. 학음 鶴飮
26. 와두 瓦竇
27. 석롱 石籠
28. 수방 水?

卷第十三 그림으로 보는 관개 시설_하 灌漑圖譜 下
1. 용미차 龍尾車
2. 옥형차 玉衡車
3. 항승차 恒升車
4. 자승차 自升車
Author
서유구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