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제3섹터, 비영리섹터, 사회적경제

$28.35
SKU
978897218683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1/8 - Tue 01/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1/3 - Tue 0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5/15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88972186830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단체/NGO
Description
이 책 『시민사회, 제3섹터, 비영리섹터, 사회적경제』는 저자의 30년 학술활동을 총정리한 시민사회 개론서다. 저자와 함께해온 네 개 개념을 지금 시대를 대표하는 주연으로 무대의 중앙에 나란히 올려놓는다. 저자는 1987년 박사학위논문(복지국가 노인정책의 정치경제론) 이후, 『정치와 시장』(1989) 번역서, 『사회민주주의와 경제민주주의』(1992) 저서로 학술활동을 시작했다. 1997년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를 창설하면서 연구활동이 본격화되었고, 이 책의 많은 부분에 여러 저술 내용들이 재인용되었다. 이 책은 저자의 책 『NGO와 시민사회』(2004)의 내용 일부를 수정해 재인용하였다. 전체 11장 가운데 제2장의 일부, 제3장과 4장 대부분, 제5장의 일부, 그리고 제7, 8, 9, 10, 11장의 일부가 재인용되었다.

이 책의 특징은 시민사회(제3섹터)의 의미와 영역의 논의를 새로운 시대 상황에 맞춰 확장해, 경험적 실제를 자료로써 분석한 것이다. 한국뿐 아니라 미국, 영국, EU 시민사회 논의를 자료와 함께 소개하며, 특히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 사회혁신과 결과지불 등 최근의 패러다임 변화를 논의하였다. 한국에서도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를 지향하는 시민사회, 또 사회혁신과 결과지불의 시민사회로 패러다임 전환이 가능한지, 앞으로 상당 기간 열띤 논쟁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가와 시장과의 관계 정립이라는 큰 틀에서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여지며, 시민사회가 국가와 시장과 어떤 관계로 함께해 민주주의 봄날을 오게 할 것인지 많이 기대된다.
Contents
서문

제1장 시민사회(제3섹터)란 무엇인가

1. 시민사회, 제3섹터, 비영리섹터
2. 시민사회(제3섹터), 비영리섹터, 사회적경제

제2장 시민사회(제3섹터)의 역사적 발전

1. 시민사회의 역사적 의미
2. 시민사회조직(NGO)과 사회적경제의 역사
3. 글로벌 시민사회 혁명
4. 한국 시민사회: 1987~2020

제3장 시민사회의 이론적 논의

1. 다원주의와 사회운동
2. 이론적 논의의 다원성
3. 역사제도주의 이론
4. 시민사회의 이념적 시각
5. 시민사회(제3섹터)의 다양한 얼굴

제4장 시민사회(제3섹터) 모델

1. 국가, 시장, 시민사회
2. 3대 섹터 모델
3. 4대 섹터 모델
4. 5대 섹터 모델
5. 사회적경제 파트너십 모델

제5장 시민사회조직(NGO, NPO, CSO)

1. NGO, NPO, NPI, CSO
2. 시민사회(NGO)의 정당성
3. 시민사회(NGO)의 특성
4. 시민사회(NGO)의 기능
5. 시민사회(NGO)의 유형

제6장 시민사회(제3섹터) 지표와 임팩트

1. 시민사회(제3섹터)의 현황
2. 주요국 시민사회 유형과 현황
3. 시민사회지표
4. 시민사회의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

제7장 시민사회와 국가(정부)

1.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
2. 정부와 NGO 관계 모델
3. 공공정책과 시민사회
4. NGO의 정책 영향력

제8장 시민사회와 시장(기업)

1. 시장과 시민사회 관계
2.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3. 기업시민정신과 사회공헌
4. 공유가치창출(CSV)과 사회적 임팩트
5. 공익추구 비즈니스(mission-led business)

제9장 시민사회와 거버넌스

1.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2. 공공정책과 거버넌스
3. NGO 역할의 조건과 한계
4. 사회혁신의 파트너십

제10장 시민사회와 NGO 이슈들

1. 참여민주주의의 성장
2. 권익주창과 정치화
3. 재정자립과 상업화
4. 시민 없는 시민운동
5. 한국 시민사회와 정부

제11장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1. 글로벌 NGO 혁명
2. 글로벌 거버넌스와 NGO
3. UN과 글로벌 NGO
4.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주성수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1989~2019)로 재직한 이후 지금은 명예교수로, 학술지 <시민사회와 NGO> 편집위원장으로 있다. 시민사회에서는 1992년 경실련 사회복지위원회와 강동송파 경실련 공동대표, 1995년 한국자원봉사포럼 총무,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전문위원, 1998년 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기획위원, 1999년 KOPION 자문위원, 2007년 아시안프렌즈 이사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13년에는 서울시NPO지원센터 운영위원장, 2018년 국무총리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법제도 분과위원장으로 일했다. 지금은 국가자원봉사진흥위원회 위원, 복지대타협(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자문위원장, 성동구 사회적경제위원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1997년에 제3섹터연구소를 창설해 2019년까지 열두 명의 연구교수들과 함께 국내외 시민사회와 사회적경제 연구에 집중하는 20여 년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1차(2004~2006)와 2차(2008~2010)에 걸쳐 글로벌 시민사회연대 네트워크 CIVICUS의 48개국 글로벌 시민사회지표 조사분석에 한국 대표로 연구활동을 진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2005), 『아래로부터의 시민사회』(2008),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임팩트』(2017), 『사회적경제?: 이론, 제도, 정책』(2010, 2019 개정), 『사회적경제 접근법을 활용한 민간협력』(2016, KOICA), 『한국 시민사회사: 민주화기(1987-2017)』(2017), 『글로벌 개발 임팩트 투자』(2020) 등이 있다.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1989~2019)로 재직한 이후 지금은 명예교수로, 학술지 <시민사회와 NGO> 편집위원장으로 있다. 시민사회에서는 1992년 경실련 사회복지위원회와 강동송파 경실련 공동대표, 1995년 한국자원봉사포럼 총무,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전문위원, 1998년 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기획위원, 1999년 KOPION 자문위원, 2007년 아시안프렌즈 이사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13년에는 서울시NPO지원센터 운영위원장, 2018년 국무총리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법제도 분과위원장으로 일했다. 지금은 국가자원봉사진흥위원회 위원, 복지대타협(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자문위원장, 성동구 사회적경제위원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1997년에 제3섹터연구소를 창설해 2019년까지 열두 명의 연구교수들과 함께 국내외 시민사회와 사회적경제 연구에 집중하는 20여 년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1차(2004~2006)와 2차(2008~2010)에 걸쳐 글로벌 시민사회연대 네트워크 CIVICUS의 48개국 글로벌 시민사회지표 조사분석에 한국 대표로 연구활동을 진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2005), 『아래로부터의 시민사회』(2008),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임팩트』(2017), 『사회적경제?: 이론, 제도, 정책』(2010, 2019 개정), 『사회적경제 접근법을 활용한 민간협력』(2016, KOICA), 『한국 시민사회사: 민주화기(1987-2017)』(2017), 『글로벌 개발 임팩트 투자』(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