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엽의 길 3,200km

다시 걸은 前 고려대 총장 김준엽의 독립투쟁길
$21.60
SKU
979115571942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9/04
Pages/Weight/Size 138*210*30mm
ISBN 979115571942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김준엽이 걸었던 중국 대륙 3,200km(8만 리),
한 걸음 한 걸음이 우리 민족의 눈물이요 아픔이었다.
그 길을 다시 걸으며 오늘의 나를 되새겨 본다.


이 책은 일본군 학도병 탈출 제1호, 한국광복군, 미군 특수부대 OSS 출신으로 독립운동가이며 역사학자인 전 고려대학교 총장 김준엽의 독립 투쟁 길을 75년 만에 다시 걸은 이야기입니다.

올해로 탄신 100년을 맞은 김준엽 선생은, 살아생전에는 장준하 선생과 더불어 대표적인 독립투사로, ‘시대의 어른’이라는 존경을 받았고, 그의 투철한 역사관은 ‘후대의 나침반’이라는 별칭을 얻게 했습니다. 일제 학도병으로 끌려가 병영을 탈출, 임시정부가 있는 충칭까지 걸은 2,400km(6만 리)는 고난의 연속인 그야말로 생사를 건 길이었습니다. 임시정부에서 김구 주석 등 임정 요인들을 만나면서는 독립의 절박함을 더욱 깨닫습니다. 준엽과 동지들은 온갖 악조건 속에서도 “생각만 해서는 부족하고 무엇인가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다짐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그들은 미국 OSS 특수 부대가 연합한 서울진공작전에 참여, 특수훈련을 받기 위해 충칭에서 시안까지 800km(2만 리)를 달려갑니다. 고국 독립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대한민국의 입지를 넓히고자 하는 임시정부와 선생의 굳은 의지가 배어 있는 길입니다. 선생의 길을 따라가다 보면 독립투사의 진정한 우정, 독립을 향한 열정, 동포에 대한 뜨거운 인간애에 가슴을 여미게 됩니다.

나라를 빼앗긴 채 조국을 떠나 유랑하는 동포들을 보며 “못난 조상이 되지 않겠다.”는 결의를 다져온 선생의 청년 시절의 삶에서 오늘의 우리를 비추어 보게 됩니다.
Contents
|프롤로그| 그날, 1985년 2월 25일 … 16

1부 / 탈출

인천 공항에서· 24 | 노나라의 옛 땅 지난濟南· 26 | 유학생에서 학도병으로· 30 | 입대· 34 | 지난濟南역에서· 37 | 여정의 시작· 44 | 다슈자大許家역을 찾아서· 48 | 지옥의 주둔지· 54 | 마침내 탈출· 56 | 한국 혁명지사 김준엽· 58 | 그 강변에서·62 | 중국군 유격대원 김준엽· 68 | 수양宿羊을 찾아서· 71 | 지아왕賈汪 탄광을 찾아서· 76 | 조우· 80 | 가물치 콧구멍· 84 | 츠카다 부대 앞에서· 90 | 중국군 유격대를 떠나다· 93 | 쉬저우徐州역에서· 97

2부 / 대장정

평원에서· 104 | 국부군國府軍의 정체· 109 | 녹색綠色 열차 안에서· 112 | 잊지 못할 중국인 청년· 115 | 푸양阜陽의 ‘맨해튼 바’ · 118 | 한국광복군 제3지대· 123 | 야스쿠니 신사에서· 127 | 많이 닳았군요· 130 | 한국광복군 간부훈련반· 134 | 그 교문 앞에서· 138 | ‘한광반’ 비석을 찾아서· 141 | 잡지와 연극· 147 | 린취안臨泉을 떠나며·151 | 준엽의 길이 옳았다 1 · 156 | 준엽의 길이 옳았다 2 · 161 | 준엽, 제갈공명을 만나다· 164 | 난양南陽 중국군 사령부 옛터· 166 | 또 다른 항일 투쟁· 171 | 와룡사당에서· 173 | 물과 꽃의 고장, 라오허커우· 179 | 파란만장했던 준엽의 라오허커우· 183 | ‘이종인 사령부’를 찾아서·186 | 시민회관을 찾아서·189 | 푸민福民병원 뜰에서·192 | 빠슈링巴蜀嶺을 우회하며·195 | 장정의 마지막 고비, 빠슈링巴蜀嶺· 201 |머나먼 바둥巴東· 204 | 양쯔강의 배 위에서· 208 | 다시 찾을 바둥巴東· 209

3부 / 한국광복군

마침내 충칭· 218 | 충칭의 부둣가에서· 222 | 부정시림국민한대· 225 | 대한민국 임시정부 26년 · 228 | 마침내 한국광복군· 231 | 눈물의 환영식· 233 | 임시 정부 청사 계단에 서서· 237 | 임시정부와 중국정부· 242 | 특별한 만남 1 - 철기 이범석· 244 | 특별한 만남 2 - 민영주· 246 | 시안西安의 밤· 250 | 광복군 제2지 대 · 255 | 그 마당에서· 259 | 그 집의 감나무· 261 | OSS 훈련장으로· 266 | 한국 광복군 OSS 대원 숙소· 270 | 짧았던 시안의 문화 탐방· 274 | 느닷없이 찾아온 광복·280 | 시안을 떠나며· 282 | 준엽의 귀국 비행· 285 | 여의도의 밤· 287 | 여의도 그 비행기· 289 | 학문의 길로 들어서다· 292

|에필로그| 총장님께서 그토록 원했던 나라 … 296
Author
윤영수
방송작가. 1964년 생으로,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KBS <역사의 라이벌> <소설 목민심서> 등을 집필했고, 대하사극 <불멸의 이순신> 기획·대본 작업에 참여했다. 역사 드라마 <명가>, 특별기획 <자유인 이회영>과 <역사스페셜> <한국사전> <역사추적> 등 50여 편의 역사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등을 집필했다. EBS <역사극장> <문학산책> <화인> <개항과 전쟁>, MBC <반달가슴곰> <약초전쟁> 등 150여 편의 다큐멘터리와 뮤지컬 <논개>, 희곡 <이걸이 저걸이 갓걸이> 등을 썼다. 창신대학교 문예창작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에서 강의했으며, ‘21세기와 이순신 리더십’ 강연을 하고 있다. 현재 KBS 1 TV <역사스페셜> <학자의 고향>을 집필 중이다. 저서로는 《불패의 리더 이순신 - 그는 어떻게 이겼을까》《두 나라를 세운 여걸 소서노》《선덕여왕의 비밀코드 첨성대》《온달장군과 평강공주》《나무에 새긴 팔만 대장경》《광야에서》《반달곰 들메》《KBS 차마고도》 등이 있다.
방송작가. 1964년 생으로,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KBS <역사의 라이벌> <소설 목민심서> 등을 집필했고, 대하사극 <불멸의 이순신> 기획·대본 작업에 참여했다. 역사 드라마 <명가>, 특별기획 <자유인 이회영>과 <역사스페셜> <HD 역사스페셜> <한국사전> <역사추적> 등 50여 편의 역사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KBS 스페셜> <KBS 차마고도: 극장판> 등을 집필했다. EBS <역사극장> <문학산책> <화인> <개항과 전쟁>, MBC <반달가슴곰> <약초전쟁> 등 150여 편의 다큐멘터리와 뮤지컬 <논개>, 희곡 <이걸이 저걸이 갓걸이> 등을 썼다. 창신대학교 문예창작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에서 강의했으며, ‘21세기와 이순신 리더십’ 강연을 하고 있다. 현재 KBS 1 TV <역사스페셜> <학자의 고향>을 집필 중이다. 저서로는 《불패의 리더 이순신 - 그는 어떻게 이겼을까》《두 나라를 세운 여걸 소서노》《선덕여왕의 비밀코드 첨성대》《온달장군과 평강공주》《나무에 새긴 팔만 대장경》《광야에서》《반달곰 들메》《KBS 차마고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