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안심 문제를 다루는 일본 최초의 학부·대학원으로서 자연재해에 대처하고 사고 및 사회 재해의 방지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간사이대학 사회안전학부에서 동일본대지진을 철저히 검증한 책을 내놓았다. 2012년 발간되어 국내에 소개된 『검증 동일본대지진』의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전편과 마찬가지로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교수이자 사회재난안전연구센터 소장인 김영근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진행된 다양한 학제적 연구 결과와 피해 복구와 재건 및 부흥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발생 가능성이 있는 거대 재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심도 깊게 논의했다.
Contents
옮긴이 서문 _8
한국어판 서문 _17
서문 _21
서장_ 거대 재해로서의 동일본대지진 25
1. 복구 부흥 대책이 실패한 원인은 무엇인가 26
2. 대규모 쓰나미의 발생 과정 고찰 37
3. 쓰나미 피난 및 쓰나미방파제의 건설 39
4. 부흥마을 조성 47
5. 감재 정책의 추진 54
6. 재해 리질리언스와 국토 강인화 58
제1부 동일본대지진 복구·부흥의 5년
제1장 데이터로 보는 동일본대지진: 부흥 과정의 현상과 과제 67
1. 머리말: 전체적·객관적인 재해 조감의 필요성 67
2. 동일본대지진 피해의 특징 68
3. 부흥의 상황 70
4. 제언: 부흥 지원을 강화하자 86
제2장 포스트 동일본대지진 주택 재건 현황과 지역 부흥 88
1. 주거와 지역: 5년 후 현황 88
2. 주택 재건으로 살펴본 동일본대지진 피해의 특징 90
3. 주택 재건의 실태 92
4. 주택 재건 과정의 도감도 및 전체 이미지 102
5. 쓰나미 피해 지역의 부흥마을 조성 상황 106
6. 거주 공간과 지역: 남겨진 과제 110
제3장 라이프라인의 복구 및 부흥: 교통을 중심으로 115
1. 동일본대지진과 라이프라인의 복구 115
2. 교통 인프라의 복구 및 부흥, 향후 과제 120
3. 신칸센과 공항 134
4. 동일본대지진이 남긴 과제와 교훈 139
제4장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피해 주민들의 건강 지원활동 143
1. 광역-복합 재해 시의 건강지원 체제 구축을 위한 전제조건 143
2. 한신·아와지대지진 이후에 확립된 재해 시의 건강 지원활동 144
3. 재해 시 건강 지원활동의 지역보건체계와 지자체의 현상과 과제 150
4. 재해 시 공중위생 생활자원팀의 조직화: 현황 및 과제 155
5. 후쿠시마 원전(제1원자력발전소)사고 피해 지역: 현황 163
6. 결론: 고령사회에 대비한 건강 지원체제의 과제 166
제2부 동일본대지진의 교훈과 새로운 거대 재해
제5장 동일본대지진 후의 지진학과 지진 방재 173
1. 도호쿠지방태평양연안지진이 지진학에 끼친 충격 173
2. 도호쿠지방태평양연안지진의 지진학적 특징 175
3. 피해 상정을 위한 진원 모델의 변화 180
4. 해저지진 관측 강화 및 그 의의 186
5. 당장 도움이 될 것과 장차 도움이 될 것 193
제6장 쓰나미 방재의 과제와 새로운 대비 활동 196
1. 동일본대지진과 난카이트로프 거대지진 재해 196
2. 동일본대지진의 쓰나미 재해: 현황과 과제 200
3. 다가올 거대지진과 쓰나미 방재 205
제7장 동일본대지진의 액상화 피해 216
1. 머리말 216
2. 액상화 현상의 발생 메커니즘 217
3. 액상화의 발생 조건 220
4. 동일본대지진에 의한 액상화 발생 및 피해의 특징 222
5. 액상화 대책 공법 231
6. 향후 대지진을 대비하여 233
제3부 포스트 3·11 동일본대지진의 과제
제8장 이재민 지원 법·제도 239
1. 이재민 생활재건 지원 현황 239
2. 재해구조법과 지진 재난 관련 사망의 예방 241
3. 재난 관련사와 재판 사례 246
4. 미나시 가설주택의 현황과 과제 251
5. 재택 이재민 252
6. 피재자(이재민) 지원과 법 해석·사법적 구제 254
제9장 동일본대지진과 보험제도 258
1. 일본의 자연재해와 보험제도 258
2. 해외 연계 263
3. 지불된 보험금의 액수 267
4. 희생자 수와 보험금의 관계 270
5. 가계지진보험의 해외 연관성 277
6. 자연재해 피해 시 보험의 중요성 280
제10장 ‘재해 볼런티어’를 둘러싼 과제: 동일본대지진 5년의 교훈 283
1. 동일본대지진 후 재해 볼런티어 283
2. ‘재해 볼런티어’에 대한 인식과 실태 286
3. 민간 비영리 섹터에 대한 기대와 실태 290
4. ‘재해 볼런티어’의 미래: 개별 활동 조정 시스템에서 섹터 간 연대로 303
제11장 동일본대지진이 기업의 리스크 관리에 미친 영향 309
1. 동일본대지진과 기업 경영 309
2. 동일본대지진이 기업 리스크 관리에 남긴 과제 310
3. 닛산자동차의 사례 분석 318
4. 결론: 기업 리스크 매니지먼트의 교훈 330
제12장 포스트 3·11의 재해 저널리즘: 과제와 전망 333
1. 3·11 보도가 직면한 난제: 양과 질의 양립 333
2. 재해 저널리즘을 검증하기 위한 착안점: 정보의 오너십 337
3. 분석 1: [긴급·부감] 310
4. 분석 2: [긴급·국소] 343
5. 분석 3: [전승·부감] 345
6. 분석 4: [전승·국소] 348
7. 저널리즘의 전망: 지역 간과 세대 간 정보의 오너십 관리 350
제4부 후쿠시마 원전사고 5년의 검증
제13장 원전 재해와 안전의 사상 357
1. 서론: 일본의 포스트 안전 신화 357
2. 사례 분석: ‘원전 소송과 안전성 심사’ 359
3. 일본의 과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정할 것인가? 374
제14장 원전사고의 사회경제적 문제와 소비자·시민의 반응 382
1.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소비자와 시민에게 끼친 영향 382
2.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로 인한 원자력 기술 및 실시 주체에 대한 신뢰 저하 384
3. 일본의 소비 위축 및 풍평 피해 386
4. 일본의 원전사고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정책의 변화 393
5. 원전사고로 인한 사회경제 문제의 해결에 대한 향후 과제 398
제15장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403
1.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로 인한 방사선 피폭 피해 403
2.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이론 404
3.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크라이시스 커뮤니케이션’ 405
4.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케어 커뮤니케이션’ 416
5. 결론: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검증 426
제16장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일본의 ‘원자력 안전 규제’ 432
1. 서론 432
2.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일본의 규제 시스템 435
3. 세계 원자력발전의 정책과 안전 규제의 변화 437
4. IAEA 및 NRC의 안전에 관한 기본적 사고 445
5. 일본 원자력 안전 규제 정책의 변화 446
6. 바람직한 일본 규제위원회의 역할 및 방향성 450
7. 결론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