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은 늘 거족적인 운동으로 기억되어왔다.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민족사적 성과, 즉 과거사로서 평가받았다. 하지만 3·1운동의 역사를 찬찬히 들여다보면 그 속에서 수많은 오늘의 나를 만나게 된다. 집단이 아닌 개인 주체의 시각에서 보면, 나를 통해 과거와 현재는 이어지게 된다. 여기서 오늘의 나는 2017년 거리에서 민주주의의 봄을 맞았던 촛불시민으로서의 나이기도 하다.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100주년기획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직속 3·1운동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기획소통분과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정인 교수는 민주주의의 눈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재해석·재구성하는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3·1운동은 민주주의 관점에서 근대와 현대를 나눌 만큼 획기적인 분기다. 이 책은 3·1운동을 ‘공간, 사람, 문화, 세계, 사상, 기억’이라는 6가지 개념으로 새롭게 바라본다.
민주주의적 시각에서 3·1운동의 역사를 재구성한다는 것은 곧 역사의 개인화, 역사의 현재화의 구현을 의미한다. 즉 3·1운동을 일군 사람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며 그 역사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되는 것이다. 2017년, 1700만의 개인을 비폭력 평화시위로 이끌어냈던 힘을 1919년 만세시위의 현장 속에서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
Contents
서문 | 3 · 1운동의 민주주의적 해석: ‘오늘의 나’의 눈으로 본 3 · 1운동
1장 공간 : 북부, 그리고 도시에서 발화하다
3 · 1운동을 잉태한 서울의 3월 1일 시위 | 3월 1일의 만세시위: 평양, 진남포, 선천, 의주, 원산, 안주 | 7개 도시 만세시위의 의미 | 만세시위의 발상지, 북부지방 | 도시가 시위를 촉발하다 | 시위가 농촌으로 번지다
2장 사람 : 스스로 나서 함께 싸우다
천도교, 주류로 부상하다 | 학생, 역사에 등장하다 | 새로운 풍경, 여학생의 만세시위 | 만세시위에 나선 노동자와 농민 | 누구든지 조직하고 참여한다
3장 문화 : 저항문화의 기원을 이루다
3 · 1운동의 발명품, 만세시위 | 지하신문, 3 · 1운동을 북돋우다 | 만세시위 확산의 수단, 등사기 | 시위의 신문화, 태극기와 애국가 | 연대의 문화가 수립되다 | 독립투사를 위한 법정투쟁이 시작되다
4장 세계 : 만세시위를 바라보는 세 개의 눈
서양 열강이 주목한 제암리 학살사건 | 5 · 4운동 발발의 자극제가 되다 | 일본의 눈에는 폭동이었다
5장 사상 : 민주주의, 평화, 비폭력을 외치다
독립선언서, 민주주의를 말하다 | 민주공화국으로 가는 길 | 민주공화국의 탄생 | 독립이 곧 평화다 | 비폭력의 저항정신이 빛나다
보론 기억 : 교과서로 익힌 상식을 짚어보다
교과서로 배운 3 · 1운동 | 3 · 1운동의 배경 | 3 · 1운동의 전개 | 3 · 1운동의 의의 | 북한은 3 · 1운동을 어떻게 생각할까?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정인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 근현대 민주주의 역사와 현대 대학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등이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어려워하면서도 궁금해하는 역사를 어떻게 하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이 책을 썼습니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 근현대 민주주의 역사와 현대 대학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등이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어려워하면서도 궁금해하는 역사를 어떻게 하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이 책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