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3.0 기술·산업 이슈 동향과 관련 블록체인 분야 생태계 동향 및 기술 발전 전망

$402.50
SKU
979118925019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5/10
Pages/Weight/Size 210*297*35mm
ISBN 9791189250195
Categories 대학교재 > 공학계열
Description
IPResearch센터에서는 웹 3.0과 블록체인 관련 분야 대한 글로벌 국가들의 정책과 주요 산업 동향에 관한 관련 국책 민간 분석 보고서 자료와 정책 자료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여 『웹 3.0 기술·산업 이슈 동향과 관련 블록체인 분야 생태계 동향 및 기술 발전 전망』을 발간하게 되었다. 본서 1장에는 웹 3.0 기술 산업 이슈를 서두에 놓았고, 2장엔 웹 3.0 핵심기술 블록체인과 데이터 관련 내용을, 3장~5장은 블록체인 분야 기술 분야와 발전 전망을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마지막 6장에서는 웹 3.0관련 ChatGPT 활용사례를 담아두었다.
Contents
제Ⅰ장 웹 3.0 특징, 기술·산업 이슈 및 전망과 사례

1. WEB 3.0 관심 배경
1) 기술의 민주화
(1) 스마트폰의 기술 민주화
(2) 자율 주행 차량의 기술 민주화
(3) 가사 도우미 로봇의 기술 민주화
2) 엘런 머스크와 잭 도시의 WEB 3.0 논쟁
(1) 엘런 머스크가 제기한 WEB 3.0에 대한 의문
(2) 잭 도시가 제기한 WEB 3.0의 탈중앙화 철학에 대한 문제 제기
3) WEB 3.0의 기반을 만든 VC: a16z

2. WEB 3.0 정의 및 특징
1) 인터넷의 아버지 티머시 존 버너스리가 정의한 WEB 3.0: 시맨틱 웹
2) 집중형 플랫폼 중심의 웹 환경에 대항하는 WEB 3.0: 탈중앙화, 탈집중화
(1) WEB 3.0관심의 출발점인 a16z의 웹 3.0 정의
(2) 기술학자이자 벤처투자자인 베네딕트 에반스의 웹 3.0 정의
(3) 돈나무 언니로 유명한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웹 3.0 정의
(4) 이더리움 공동창시자 조셉 루빈의 웹 3.0 정의
3) WEB 2.0이 2D 모바일이었다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개선인 WEB 3.0: 공간 웹
(1)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딜로이트가 정의한 웹 3.0
(2) 글로벌 투자사인 골드만삭스의 웹 3.0 정의
4) WEB 3.0의 의의
(1) 탈중앙화 웹
(2) 소유권 웹
(3) 새로운 차원의 공간 웹

3. WEB 3.0 기술
1) 탈중앙화 웹의 핵심 기술: 블록체인
(1) 비트코인(BITCOIN)
(2) 이더리움(ETHEREUM)
(3) 블록체인 기술의 고도화: 증명 방식의 고도화
(4) 새로운 블록체인 방식
2) 소유권 웹을 위한 기술: NFT
(1) NFT 정의
(2) NFT 구현 기술: ERC-721, ERC-1155, IFPS
(3) NFT 발행 방법 및 거래 방법
(4) NFT 관련 유의 사항: 장단점과 사기 케이스
(5) 자산 토큰화
3) 공간 웹: SPATIAL WEB

4. WEB 3.0 기술 사례 및 관련 코인 소개
1) WEB 3.0의 기술 사례 동향
(1) Web3.0에 대한 논쟁
(2) Web3.0 산업 구현
(3) CBDC
가. 높아지는 위안화의 위상
나. 中 동계 올림픽을 무대로 도약한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보급
다. CBDC를 위시한 패권 전쟁
라. 인도의 CBDC 행보
마. 안정성과 확장성을 겸비한 스테이블코인
바. 스테이블 코인의 존재를 가시화한 미국 청문회
사. 공존의 문제
(4) DeFi
가. 테라의 급성장과 몰락
나. 니어프로토콜로 몰리는 개발자들
다. NFT 기반의 공동투자 서비스 ‘웨일샤크(WhaleShark)’
라. 암호화폐 기반 대출 서비스 ‘에이브(Aave)’
(5) NFT
가. NFT의 방향성
나. 새로운 트렌드, PFP NFT
다. PFP NFT의 장점
(6) SocialFi
(7) GamingFi
(8) 산업 조명
가. 주류가 된 디지털화폐로 몰리는 벤처 자금
나. 빅테크 경영진의 디지털화폐, 메타버스로의 이동 변화
ⅰ. 빅테크 업계에 부는 ‘전직 러쉬’
ⅱ. 디지털화폐에 소극적이던 구글의 변화
ⅲ. 메타의 디지털화폐 사업
ⅳ. 아마존웹서비스의 인재 확보 전략
ⅴ. 코인베이스 동향
2) WEB 3.0 코인 소개
(1) 이더리움
(2) 파일코인
(3) 이오스
(4) 디센트럴랜드
(5) 폴카닷
(6) 타마도지
(7) 트론
(8) 코스모스
(9) 시사점

5. WEB 3.0으로 인한 사회·경제·산업 변화 동향
1) WEB 3.0으로 인한 사회·경제 변화
(1) 중앙집중형 거대 플랫폼의 지배력 약화
가. 집중형 소셜 플랫폼 지배력 약화
나. 중개형 커머스 플랫폼의 약화
다. 독과점 구조의 IaaS 플랫폼 지배력 약화
(2) 기존 디지털 광고 시장의 와해
가. 기존 디지털 광고 공급사슬 와해
나. 고객이 직접 공급자를 찾아 광고 불필요
(3) 크리에이터 및 커뮤니티 경제 확대
가. 크리에이터 경제 확대
나. 긱(GIG) 경제
다. 커뮤니티 경제
(4) 5G와 WEB 3.0의 결합: XR과 IoT 확대
가. 공간 웹과 XR
나. 탈중앙화 그리고 공간웹과 IoT
2) WEB 3.0 영향으로 인한 산업 변화
(1) 예술 산업
(2) 금융 산업
(3) 엔터테인먼트 산업
(4) 게임 산업
(5) 제조 산업

6. WEB 3.0 쟁점과 전망

제Ⅱ장 웹 3.0 핵심기술 블록체인 이해 및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유통 모델과 유통 활성화 방안

1. 블록체인과 Web 3.0
1) 블록체인과 Web 3.0
(1) 개요
(2) 블록체인의 원리
(3) 블록체인의 기술 발전과 변화
가. 금융 부분과 의료 부분의 변화
나. 디지털 자산(콘텐츠)
다. 공공 부분
라. 물류 및 유통 부분
마. 에너지 부분
(4) 블록체인과 Web 3.0
가. 탈중앙화와 블록체인
나. 분산 식별자
다. 블록체인과 Web 3.0
(5) 블록체인의 종류와 특징
가. 블록체인의 유형
ⅰ. Public 블록체인
ⅱ. Private 블록체인
2) 블록체인 개념 및 특성
(1) 블록체인 개념 이해
가. 블록과 블록체인 개념 이해
나. 블록의 구조 이해
다. 블록체인 구조 이해
라.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조 이해
(2) 블록체인 기술 및 활용 방안
가. 위변조 방지
나. SPOF(Single Point Of Failure) 문제 해결
다. 투명성·익명성 보장
라. 계약 이행 자동화·강제화
마. 기밀성 보장
바. 비가역성 보장 및 무결성 검증
사. 안전한 데이터 전송
아. 전자서명
자. 이력 추적
3) 블록체인 활용 사례
(1) 블록체인 활용 서비스 사례
가. 분산ID(DID)·자기주권신원(SSI)
나. 투명성·무결성 확보를 위한 유통 시스템
다. 신뢰성 보장을 위한 온라인 투표
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마.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2) 블록체인을 이용한 공기업의 전자 거래의 활용
(3) 블록체인을 활용한 서비스 개선 방향

2. Web 3.0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유통 모델과 유통 활성화 방안
1) 데이터 패러다임의 변화와 데이터 유통 방향성 이해
(1) 데이터 보호·활성화 환경 변화 이해
가. 데이터 관련 법·제도 환경 변화 이해
ⅰ. 데이터 3법 관련 제·개정 사항 및 시사점
ⅱ. 공공 데이터 관련 법 제·개정 사항 및 시사점
ⅲ. 데이터 활용 활성화 관련 법 제·개정 사항 및 시사점
ⅳ. EU GDPR 제정 사항 및 시사점
나. 데이터 관련 정부 정책·전략 환경 변화 분석
ⅰ.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이해 및 시사점
ⅱ. ‘마이데이터 발전 종합정책’ 이해 및 시사점
ⅲ.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 방안’ 이해 및 시사점
ⅳ.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이해 및 시사점
ⅴ. ‘제2차 전자정부 기본계획’ 이해 및 시사점
(2) 데이터 패러다임의 변화와 시사점
가. 데이터 패러다임 변화 도출
나. 5대 데이터 패러다임 변화 이해
(3) 데이터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데이터 유통 방향성
가. 데이터 패러다임 분야별 데이터 유통 방향성
ⅰ. ‘데이터 보호·활용 균형’관점 데이터 유통 문제점 이해 및 개선 방향성
ⅱ. ‘데이터 주권’관점 데이터 유통 문제점 이해 및 개선 방향성
ⅲ. ‘데이터 경제’관점 데이터 유통 문제점 이해 및 개선 방향성
ⅳ. ‘데이터 거래·유통’관점 데이터 유통 문제점 이해 및 개선 방향성
ⅴ. ‘데이터 수익 보장’관점 데이터 유통 문제점 이해 및 개선 방향성
나. 데이터 패러다임과 데이터 유통 접점 이해
다. 데이터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데이터 유통 개선 방향성
2) 블록체인을 활용한 데이터 유통 모델
(1) 데이터 유통 활성화를 위한 블록체인 활용 가능성
가. 데이터 관련 법·제도 준수에 블록체인 활용 방안
ⅰ.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준수’와 ‘블록체인 활용’융합 접점
ⅱ. 블록체인의 특징과 기술을 활용한 ‘컴플라이언스 준수’방안 상세 내용
나. 데이터 관련 정부 정책 대응에 블록체인 활용 방안
ⅰ. ‘데이터 관련 정부 전략·정책 대응’과 ‘블록체인 활용’융합 접점
ⅱ. 블록체인의 특징과 기술을 활용한 ‘정부 전략·정책 대응’방안 상세 내용
다. 데이터 유통 문제점 해결 위한 블록체인 활용 방안
ⅰ. ‘데이터 유통 문제점 개선’과 ‘블록체인 활용’융합 접점
ⅱ. 블록체인의 특징과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유통 문제점 개선’방안 상세 내용
(2) 블록체인을 활용한 데이터 유통모델 패턴
가. 분야별 데이터 유통 모델 패턴 이해
ⅰ. ‘데이터 보호·활용 균형’구현 요구사항 및 블록체인 활용 방안
ⅱ. ‘데이터 주권 강화’구현 요구사항 및 블록체인 활용 방안
ⅲ. ‘데이터 경제’구현 요구사항 및 블록체인 활용 방안
ⅳ. ‘데이터 거래·유통’구현 요구사항 및 블록체인 활용 방안
ⅴ. ‘부당사용 방지 및 수익 보장’구현 요구사항 및 블록체인 활용 방안
나. 데이터 유통 모델 패턴 도출
ⅰ. 데이터 유통 모델 패턴 도출
ⅱ. 데이터 유통 모델 패턴 이해
(3)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별 데이터 거래·유통 모델(안)
가. ‘익명성 및 무결성 보장’패턴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ⅰ. 의료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ⅱ. 의료 데이터 유통 모델(안)에서 블록체인 활용 방안
나. ‘데이터 공개 범위 및 통제’패턴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ⅰ. 금융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ⅱ. 금융 데이터 유통 모델(안)에서 블록체인 활용 방안
다. ‘데이터 통합 및 활용’패턴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ⅰ. 공공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ⅱ. 공공 데이터 유통 모델의 현실적인 방안 검토
ⅲ. 공공 데이터 유통 모델(안)에서 블록체인 활용 방안
라. ‘투명한 데이터 유통’패턴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ⅰ. 연구·R&D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ⅱ. 연구·R&D 데이터 유통 모델(안)에서 블록체인 활용 방안
마. ‘데이터 선순환 생태계 조성’패턴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ⅰ. 산업 데이터 유통 모델(안)
ⅱ. 산업 데이터 유통 모델(안)에서 블록체인 활용 방안
3)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유통 활성화 방안
(1) 법·제도적 관점
가. 블록체인 관련 법·제도 정비 필요성
나. 블록체인 인식의 전환과 제도적 뒷받침
다. 데이터 이력 추적 표준 방안 수립
(2) 기술적 관점
가. 데이터 저장(Storage)에 관한 기술 고도화
나. 암호기술의 중요성 인식 및 활용 방안
다. 자기주권 데이터
(3) 생태계 관점
가. 거버넌스 정립
나. 보상 메커니즘 설계
다. 데이터 유통 최적 블록체인 설계 방안
라. 실증과 활용
(4) 시사점

제Ⅲ장 블록체인 분야 기술 발전 전망과 기술 확보 전략

1. 개념 및 범위
1) 개념 및 정의
(1) 개념
(2) 범위
(3) 발전단계
2) 기술분류(Technology Tree)

2. 시장·기술 및 표준화 동향
1) 주요국의 정책동향
2) 시장동향 및 규모
(1) 시장 및 주요기업 동향
가. 세계시장
나. 국내 시장
(2) 시장 규모 전망
가. 전체 시장 전망
나. 상세 시장 전망
ⅰ. 유형별
ⅱ. 솔루션별
3) 기술 및 표준화 동향
(1) 기술개발 동향
가. 분산장부 기술
ⅰ. 합의 기술
ⅱ.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나. 블록체인 데이터 기술
ⅰ. 프라이버시 보호기술
ⅱ.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다.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
ⅰ.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ⅱ. 블록체인 OS 기술
ⅲ.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ⅳ.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기술
ⅴ.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라. 블록체인 연동 기술
ⅰ. 블록체인 상호운용 기술
ⅱ.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마. 블록체인 서비스 기술
ⅰ. 트랜잭션 분석 기술
ⅱ. 산업융합 기술
ⅲ. 신뢰성 검증 기술
(2) 특허 동향
가. 블록체인 기반 기술
ⅰ.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ⅱ.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ⅲ. 특허 해외 출원도
ⅳ. 특허 영향력
ⅴ. IP4 점유율
ⅵ. 특허청구항수
ⅶ.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나. 블록체인 확장 기술
ⅰ.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ⅱ.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ⅲ. 특허 해외 출원도
ⅳ. 특허 영향력
ⅴ. IP4 점유율
ⅵ. 특허청구항수
ⅶ.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다. 블록체인 응용 지원
ⅰ.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ⅱ.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ⅲ. 특허 해외 출원도
ⅳ. 특허 영향력
ⅴ. IP4 점유율
ⅵ. 특허청구항수
ⅶ.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라. 블록체인 관리
ⅰ.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ⅱ.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ⅲ. 특허 해외 출원도
ⅳ. 특허 영향력
ⅴ. IP4 점유율
ⅵ. 특허청구항수
ⅶ.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3) 표준화 동향
가.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ⅰ. DLT 참조구조 표준
ⅱ.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요구사항 표준
ⅲ. 블록체인 및 DLT 시스템에서 발견(discovery) 상호운용성 표준
ⅳ. 저작권 정보의 블록체인 참조구조 및 요구사항 표준
ⅴ.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이슈 및 고려사항 표준
ⅵ. 분산원장기반의 지불결제 서비스에 대한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사항 표준
ⅶ.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한 온라인투표에 대한 보안 위협 표준
ⅷ.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ID 관리 표준
ⅸ. 블록체인 플랫폼 성능 측정 기준 표준
나. 해외 표준화 현황 및 전망
ⅰ. DLT 참조구조 표준
ⅱ.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요구사항 표준
ⅲ. 저작권 정보의 블록체인 참조구조 및 요구사항 표준
ⅳ.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이슈 및 고려사항 표준
ⅴ. 분산원장기반의 지불결제 서비스에 대한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사항 표준
ⅵ.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에 대한 보안 위협 표준
ⅶ.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ID 관리 표준
ⅷ. 블록체인 플랫폼 성능 측정 기준 표준
4) 한국의 경쟁력 현황
(1) 기술수준 및 역량 평가
(2) 한국의 보유자원 평가

3. 기술 발전 전망
1) 발전 전망
(1) 블록체인 스펙트럼(Blockchain Spectrum)
가. (1단계: `09~`20) 블록체인 지원 기술(Blockchain-enabling Technologies)
나. (2단계: `16~`23) 블록체인 유도 솔루션(Blockchain-inspired Solutions)
다. (3단계: `20년대) 블록체인 완비 솔루션(Blockchain-complete Solutions)
라. (4단계: `25년 이후) 블록체인 강화 솔루션(Enhanced-Blockchain Solutions)
(2)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가. (1세대: `09년~`14년)
나. (2세대: `15년~현재)
(3) 기존 1세대 및 2세대 아키텍처의 기술적 한계를 개선한 3세대 기술
(4) 3세대 블록체인 기술발전 방향
가. 기반기술
나. 확장기술
다. 서비스 기술
2) 핵심 이슈
(1) 분산장부 기술 이슈
가. 합의 기술 이슈
나.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이슈
(2) 블록체인 데이터 기술 이슈
가.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이슈
나.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이슈
(3)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 이슈
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이슈
나. 블록체인 OS 기술 이슈
다.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이슈
라.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이슈
마.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이슈
(4) 블록체인 연동 기술 이슈
가.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이슈
나.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이슈
(5) 블록체인 서비스 기술 이슈
가. 트랜잭션 분석 기술 이슈
나. 산업융합 기술 이슈
다. 신뢰성 검증 기술 이슈

4. 기술 확보 전략
1) 합의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탈중앙화 합의기술
나. 합의노드 운영기술
다. 다계층/지능형 분산합의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2)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스마트계약 기반기술
나. 스마트계약 외부인터페이스 기술
다. 분산앱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3)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개인정보처리 기술
나. 사용자 주권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4)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나. 대용량 데이터 저장기술
다. 데이터 변경 기술
라. 데이터 최적화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5)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기술
나. 노드 간 통신 프로토콜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가. 테스트베드 구축
나. 블록체인 메인넷 적용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6) 블록체인 OS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리소스 관리 기술
나. 블록체인 시스템 언어
다. 블록체인 가상머신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7)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블록체인 전용 프로세서
나. 블록 병렬처리 프로세스
다. 키 관리 시스템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8)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채널관리 기술
나. 시스템 권한 관리 기술
다. 사용자 계정 및 권한 관리 기술
라. 암호키관리, 모니터링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9)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기술
나.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도구 기술
다. 블록체인 시스템 테스팅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10)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나. 시스템 연동기술
다. 타 기술 융합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11)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이종 블록체인 트랜잭션 기술
나. 이종 블록체인 게이트웨이 기술
다. 이종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연동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12) 트랜잭션 분석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블록체인 추적 기술
나. 블록체인 규제 기술
다. 트랜잭션 검증 기준 연구
라. 트랜잭션 가시화
(2) 표준 확보 전략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13) 산업융합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나. 블록체인 플랫폼 솔루션
다. 블록체인 컨테이너 서비스
(2) 표준 확보 전략
가. 다양한 블록체인 수용과 상호운용 아키텍처를 위한 표준 BaaS 모델 확보
ⅰ. 공인 블록체인
ⅱ. BaaS 표준화
나. 산·학·연·정 공동 전문가 그룹 구성을 통한 기술 요소별 표준화 요구사항 분석
ⅰ. 금융, 규제
ⅱ. 시스템연동/기술호환
다. 규제 준수, Legacy 시스템 및 서비스들과의 연계를 고려한 영역별 표준화 모델 수립
ⅰ. 이종 블록체인 연동
ⅱ. 공통 데이터 모델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가. 현황 1
나. 현황 2
14) 신뢰성 검증 기술
(1) 기술개발 전략
가. 블록체인 솔루션 검증 평가 기술
나. 블록체인 시험 기반 기술
다. 블록체인 시험 서비스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가. 추진 전략
나. 표준화 기구
다. 주요 표준화 항목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가. 공공분야
나. 민간분야
다. 서비스별 맞춤형 규제 개선

제Ⅳ장 웹 3.0 관련 이슈 블록체인 기술 동향

1.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NFT·메타버스 기술 동향
1)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 동향
(1)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관리 플랫폼
가.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관리 플랫폼과 저작권
나. 블록체인 기술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현황
ⅰ. 스팀잇(Steemit)
ⅱ. 디튜브(D.Tube)
ⅲ. 우주뮤직(WooZoo Music)
(2) NFT와 저작권 보호 기술
가. 디지털 콘텐츠와 NFT
나. 저작권 보호
ⅰ. 기존의 저작권 보호 기술 방식
ⅱ.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의 저작권 보호 기술의 의의와 한계점
ⅲ. 웹 3.0과 저작권
ⅳ. 블록체인을 활용한 저작권 관리 현황
다. 콘텐츠 불법 사용 방지 기술
ⅰ. 네이버 DNA 필터링 기술
ⅱ. 코드라인 불법 영상 식별 시스템
ⅲ. 워터마크 및 포렌식 마크 기반 추적 기술
ⅳ.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라. 콘텐츠 스트리밍 차단 기술
ⅰ. 불법 웹사이트 차단 기술
ⅱ. 불법 콘텐츠 차단 기술
마. 저작권 보호기술 개선 및 활용방안
ⅰ. 불법복제 모니터링 기술 개발
ⅱ. 플랫폼용 경량 DRM 기술 개발
ⅲ. K-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수익 보장을 위한 필수 기술
ⅳ. 예술 분야
ⅴ. 광고, 미디어, 저널 콘텐츠
ⅵ. 게임 분야
ⅶ. SNS
(3) 시사점
2) NFT와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동향
(1) 최근 NFT와 미디어의 시장 동향
(2) 글로벌 언론사 NFT 동향
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나. USA투데이
다. AP(The Associated Press)
(3)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NFT 동향
(4) 미디어 NFT의 해결점
3) NFT와 메타버스 관련 블록체인 활용 동향
(1) 메타버스 콘텐츠 기술 동향
가. 메타버스 콘테츠 개념
나. 메타버스 콘텐츠 기술 동향
다. 메타버스 기술과 서비스 발전을 통한 콘텐츠의 지향점
(2) 주요국 메타버스 정책 현황
가. 미국
나. 중국
다. 유럽
라. 영국
마. 일본
바. 중동
ⅰ. 사우디 아라비아
ⅱ. UAE
사. 한국
(3) NFT와 메타버스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활용 동향
가. NFT의 올바른 이해
ⅰ. 토큰 개념
ⅱ. NFT 개념과 활용
ⅲ. 메타버스에서 NFT 개념 이해
나. NFT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활용
ⅰ. NFT와 블록체인 연계를 통한 거래의 문제점 해결 방안
ⅱ. NFT와 블록체인 연계를 통한 디지털 작품 소유권 보장 방안
다. 메타버스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활용
ⅰ. 메타버스에서의 NFT 활용
ⅱ. 메타버스에서의 DAO 관점 블록체인 연계 방안

2. ESG 기반 블록체인 기술의 글로벌 정책 및 서비스 활용 동향
1) 개요
2) ESG 기반 블록체인 기술의 글로벌 정책 동향
3) ESG 기반 블록체인 기술의 서비스 활용 동향

3. 암호화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신원인증 서비스 동향
1) 암호화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
(1) 분산 원장 기술로서의 블록체인
가. 블록체인의 의의
나.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2) 블록체인에 활용된 암호화 기술
가. 블록체인 내 암호화 기술
나. 공개키 암호화(비대칭 암호화 방식) 기술
ⅰ. 내용
ⅱ. 키종류
ⅲ. 공개키 암호화의 용도
다. 해시 함수 암호화 기술
ⅰ. 내용
ⅱ. 특징
ⅲ. 용도-진위 여부 검증
(3) 블록체인의 유형 및 활용 현황
가.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ⅰ. 특징
ⅱ. 활용 예시
나.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ⅰ. 특징
ⅱ. 활용 현황
다. 폐쇄형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ⅰ. 특징
ⅱ. 활용 현황 및 사례
2)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신원인증 서비스
(1) 분산신원인증(DID: Decentralized Identity)의 의의
가. 자기주권 신원 모델, SSI
나. 개인정보의 보안성 확보
다. 개인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 가능
(2) 분산신원인증(DID) 서비스의 활용 모델 및 현황
가. 분산신원인증(DID) 서비스 활용 모델
ⅰ. 신원확인
ⅱ. 본인인증
ⅲ. 제증명서 발급
ⅳ. 자격증명
나. 블록체인 기반의 COOV 서비스
다.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3) 블록체인 상의 암호화 정보
(1)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신원인증 서비스) 암호화 과정
(2)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신원인증 서비스) 암호화 정보
가. 개인키, 서명값, VC, VP
나. 공개키, DID, VC 발급정보
(3)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한 개인정보 해당성 여부
가. 공개키와 DID
ⅰ. 식별정보* 해당여부
ⅱ. 식별가능정보* 해당여부
ⅲ. 가명정보* 해당여부
나. 자격증명(VC) 발급정보
ⅰ. 식별정보 해당여부
ⅱ. 식별가능정보 해당여부
ⅲ. 가명정보 해당여부
ⅳ. 익명정보 해당여부
4) 시사점

4. 블록체인 네트워크 보안 위협 탐지 기술 동향 분석
1) 블록체인 보안 위협
(1) 가용성 저하
(2)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3) 비정상 거래
가. 이중 지불
나. 유출된 키 서명
다. 정책 미준수 거래
라. 거래 허용 참여자 관리
(4) 불법 거래
(5) 51% 공격
2) 블록체인 네트워크 보안 위협 탐지 방법
(1) 수집·배포
가. 수집 데이터
나. 공개 데이터
다. JSON-RPC
라. 로그
(2) 탐지·대응
가. 성능 측정
나. 필터링
다. 인공지능
(3) 시각화
3) 시사점

5.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 동향
1) 블록체인 플랫폼
(1) 블록체인 플랫폼 종류
(2) 블록체인 기술변화
2)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 동향
(1) Hyperledger Fabric
가. 하이퍼레저 패브릭 특징
ⅰ. 신원관리
ⅱ. 데이터관리
ⅲ. 합의알고리즘
ⅳ. 범용프로그래밍언어
나. 하이퍼레저 패브릭 버전별 차이
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개발 로드맵(현재)
라. 하이퍼레저 패브릭 활용/응용 동향
ⅰ. Allianz 보험 청구 솔루션
ⅱ. Circulor, 배출량 추적 솔루션
ⅲ. Car eWallet, 자동차 전자 결제 플랫폼
(2) Ethereum
가. 이더리움 플랫폼 특징
ⅰ. 스마트 컨트랙트
ⅱ. GAS
ⅲ. Mining
나. 이더리움 플랫폼 개발 로드맵
ⅰ. 플랫폼 활용
ⅱ. 이더리움 2.0 ‘상하이’업그레이드
(3) EOSIO
가. EOSIO 플랫폼 특징
ⅰ.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
ⅱ.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한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
ⅲ. 시스템 자원
나. 버전별 특징
ⅰ. 향후 개발 계획
다. EOSIO 플랫폼 응용 사례
ⅰ. 이오스, EOS
ⅱ. OmniOne, DID 서비스
(4) Polkadot
(5) Klaytn
가. Klaytn 특징
ⅰ. 지원하는 블록체인 종류
ⅱ. 높은 성능과 우수한 퍼포먼스
ⅲ. 저렴한 비용 및 높은 사용성
나. Klaytn 구조
다. Klaytn 버전별 차이
라. 활용/응용 동향
ⅰ. Wemade Tree, WEMIX
ⅱ. 블록펫
(6) 주요 블록체인 플랫폼 동향 및 향후 전망

제Ⅴ장 웹 3.0과 디파이(DeFi) 생태계 동향

1. 디파이(DeFi) 정의
1) 디파이(DeFi)에 대한 이해
2) 블록체인의 이해
3) 디파이(DeFi) 정의
4) 금융서비스의 이해
5) 디파이(DeFi)와 씨파이(CeFi)
6) 씨파이(CeFi) 금융서비스

2. 디파이(DeFi) 시장 동향 및 전망
1) 디파이(DeFi) 시장 규모
2) 디파이(DeFi) 시장 동향
3) 이자농사(Yield Farming)
4) 디파이(DeFi) 시장의 숙제
5) 디파이(DeFi) 시장의 가능성과 전망

3. 디파이(DeFi) 기술 동향 및 전망
1) 디파이(DeFi) 기술과 디지털 전환
2) 디파이(DeFi) 기술과 금융
(1) 접근 방법론
(2) 기술 원형 측면에서 본 디파이(DeFi) 기술의 필수 요소
가. 탈중앙화 메인넷
나. 투명하게 공개된 스마트계약 코드
다. 가상자산 지갑
라. 거버넌스 장치
마. 탈중앙화 거래소
(3) 디파이(DeFi) 기술 등장이 금융 산업에서 가지는 의미
가. 금융 관리 주체의 코드화를 통한 순수 디지털 금융의 탄생
나. 가상자산 산업에서 유동성 창출 모델 구현
다. 새롭고 파괴적인 금융 모델의 등장
라. 오픈소스 기반 투명한 금융 산업의 등장
마. 규제기관의 허락을 받지 않아도 되는 글로벌 금융서비스의 등장
바. 멈추지 않는 금융시스템
사. 허가 없이 작동하는 결합성이 극대화된 금융
3) 디파이(DeFi) 유형별 구조
(1) 디지털 본원통화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술
(2) 디지털 본원통화를 유동화하는 기술
(3) 유동화된 가상자산으로 금융 서비스를 작동시키는 기술
(4) 탈중앙화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 관련 기술
가. 탈중앙화 거래소 구축 관련 기술
나. AMM(Automated Market Maker,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
(5) 사용자들에게 접점(User Interface)을 제공하는 기술 및 서비스
(6) 디파이(DeFi) 자산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모델(리스크 헷지 모델)
(7) 파생상품 관련 기술
(8) 기타 디파이(DeFi) 응용 서비스
4) 디파이(DeFi) 서비스의 요소 기술 및 장치
(1) 메인넷(Mainnet)
가. 이더리움(Ethereum)
나. 기타 블록체인 메인넷
(2)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
(3) 가상자산 지갑
가. 메타마스크(MetaMask)
나. 트러스트 월렛(Trust Wallet)
(4) 거버넌스 장치
가. 거버넌스 장치의 필요성 및 역할
나. 거버넌스 장치의 구성요소
(5) 가상자산 거래소
(6) 확장성을 위한 솔루션들
(7)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AMM)
5) 기술적 이슈와 사고들
(1) 기술적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 사례들
가. 디포스
나. 얌 파이낸스(Yam Finance)
다. 체리 파이
라. 터립랜드(Turnip.land)
마. 산호(珊瑚)
바. 아스카
사. 얌 bZx
(2) 금융로직의 허점을 이용해 발생한 사고유형
(3) 기술 또는 금융로직의 문제로 인한 사고 유형 분류
가. 코드를 복사해서 그대로 쓴 경우
나. 코드 검수(Audit)를 하지 않은 경우
다. 코드 검수를 했지만 오류가 발생한 경우
라. 잘못 설계된 금융 로직
마. 오라클 데이터 조작을 이용한 공격
바. 피싱 등의 방법으로 발생하는 사고
(4) 메인넷의 느린 처리 성능 극복을 위한 방법론
(5) UI/UX 측면의 이슈 및 과제
가. 수수료 지불 방법
나. 까다로운 개인키 관리
(6) 거래수수료 관련 이슈
가. 금융으로 작동하기 어려운 높은 수수료
나. 수수료의 높은 변동성
6) 향후 기술적 과제와 전망
(1) 디파이(Defi) 기술 및 산업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
가. 코드의 안전성과 무결성 문제
나. 금융 로직의 지속가능성 문제
다. 금융 규모의 문제
7) 글로벌 디파이(DeFi) 관련 표준 및 특허
8) 국내 디파이(DeFi) 개발 동향 및 전망
(1) 국내 디파이(DeFi) 서비스 개발 현황
가. 아스카
나. 델리오
다. 제타 프로토콜
라. 클레이스왑
(2) 국내 디파이(DeFi) 서비스 규제 현황
9) 바람직한 디파이(DeFi) 서비스를 위한 장치들
10) 바람직한 디파이(DeFi) 구현을 위한 제언
(1) 디파이(DeFi) 서비스 평가모델 개발
(2) 디파이(DeFi) 기술검증 및 코드감사(Audit) 서비스 제공
(3) 금융 서비스로서 디파이(DeFi) 금융 로직의 검수 및 모의테스트
(4) 블록체인 관련 원천기술 및 응용기술 확보
(5) 금융 및 자산 관리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 기술 개발
(6) 다양한 테스트와 검증이 가능한 금융 시뮬레이션 환경구축 및 관련기술 개발

4. 디파이(DeFi) 분야의 국내외 법제도 현황과 방향
1) 디파이(DeFi) 프로젝트와 규제 현황
(1) 문제점
(2) 디파이(DeFi) 프로젝트 관련 금융 규제현황
가. 특정금융정보법
나.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대부업법')
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
라. 자본시장법(증권형 토큰에 관한 논의 포함)
ⅰ. 자본시장법의 적용 문제
ⅱ. 증권형 토큰의 해당 여부
마. 전자금융거래법
바. 세법
사. 소결
2) 디파이(DeFi) 프로젝트와 관련 형사적 규제 현황
(1) 문제점
(2) 특정금융정보법 위반죄
(3)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죄
(4) 형법 및 특별형법상 죄책(특히 사기죄)
(5) 외국환거래법위반죄
(6)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하 '유사수신행위법') 위반죄
(7) 시사점

5.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에 대한 소고
1) 문제점
2) 가상자산 법제 도입 관련 해외 현황
(1) 개요
(2) 영국
(3) 프랑스
(4)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
3)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의 대두 및 그에 대한 평가, 제언 등
(1) 국내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
(2)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에 대한 평가 및 제언
4) 시사점

6. 디파이 생태계 분석
1) 대출(Lending)
2)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
3)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4) 자산운용
5) 합성자산(Synthetic Assets)
(1) 전통 금융자산의 토큰화
(2) 가상자산의 토큰화
6) 오라클(Oracle)
7) 보험
8) 통합 도구(Aggregator)
9) 디파이(DeFi) 시장 정보 생태계
10) 투자자 그룹 및 협의체
(1) 판테라 캐피탈(Pantera Capital)
(2) 알라메다 리서치(Alameda Research)
(3) 안드레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4) 해시드(Hashed)
(5) 글로벌 디파이 얼라이언스(Global DeFi Alliance)
(6) 시카고 디파이 얼라이언스(Chicago DeFi Alliance)

제Ⅵ장 웹 3.0과 ChatGPT 활용사례 및 전망

1. ChatGPT 활용 사례 및 시사점
1) ChatGPT 개념
(1) ChatGPT
(2) 인간 피드백을 통한 강화학습(RLHF,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가.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나. 강화학습의 동작 순서
다. 인간 피드백을 통한 강화학습(RLHF,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2) ChatGPT의 활용 사례
(1) 논문 작성
(2) 프로그래밍
(3) 언어 번역 및 교정
(4) 콘텐츠 제작
(5) 그 외에 다양한 활용 방법: 창의적 아이디어 구현
3) ChatGPT의 한계
(1) 기능상의 한계
(2) 서비스상의 한계
4) ChatGPT의 기술과 구체적 구현 과정
(1) ChatGPT 출시
(2) ChatGPT의 특별한 점
(3) ChatGPT 기술-GPT-3
(4) ChatGPT의 구현
가. 채팅 서비스 제공
나. 주문하는 대로 결과물을 생산
다. 코드에 있는 버그 설명 및 수정
라. 오류 지적
마. 사이버보안
(5) 그 외 이슈
가. ChatGPT의 구글 대체
나. ChatGPT의 한계점
다. ChatGPT에 세금 부과
라. 챗GPT의 유료화
마. 챗GPT로 부터 시작한 AI 전쟁
바. 메타 챗GPT 대항마‘라마’공개
ⅰ. 메타의 라마
ⅱ. 라마, 4가지 매개변수
ⅲ. 크기는 작지만, 떨어지지 않는 성능
ⅳ. MS VS 구글 VS 메타
사. 빅테크 기업의 생성AI 분야 경쟁
5) 챗GPT(ChatGPT) 미래전망
6) 시사점
(1) 한계 극복을 통해 초거대 AI는 보편화
(2) 지식(知識)을 얻기 위한 시간의 편리성
(3) 검색 엔진(Search Engine) 시대에서 창의성 엔진(Creativity Engine) 시대로 전환
(4) 기술의 도덕적 성찰과 고민
(5) 기술의 진보에 따른 인간의 역할 변화

2. ChatGPT의 디지털 대전환 AI 산업 동향
1) 주요 기술 등장에 따른 AI 분야 패러다임 전환
2) 웹3.0 시대 챗GPT의 AI 대중화
(1) 챗GPT 유료화가 AI 대중화의 척도
(2) 챗GPT 나비효과
3) 생성형(Generative) AI 등의 디지털 대전환
4) 2023년 대한민국의 AI 정책
Author
IPResearch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