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으로 구성된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선집’은 우리 문학의 소중한 유산인 1920년대와 30년대의 청소년소설 33편을 실려있다. 33편의 주옥같은 작품은 가장 어려웠던 시대에 씌어진 희망의 이야기들로 나라 잃은 설움과 가난을 딛고 꿈을 키워주고자 씌어져 오늘날 청소년들의 가슴에도 새로운 감동을 심어준다.
근대 청소년소설이 형성되고 전개된 1920년대와 30년대는 일제의 수탈과 민족 말살 정책이 극심하여 한국인은 매우 짓눌리고 궁핍한 처지에 놓여 있었다. 특히 아버지가 독립운동이나 돈벌이를 위해 간도, 일본 등으로 떠나면, 어머니 혼자 생계를 유지하다가 어머니마저 병이 들어 목숨을 잃는 경우가 흔하였다. 그래서 고아나 결손 가정이 많았으며, 청소년들이 직접 빵과 신문을 팔기도 하고, 공장에 취직하여 생계를 유지해야 했다. 그들이 월사금을 못 내 학교에서 쫓겨나는 일도 많았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당대의 청소년소설은 결핍된 가정의 청소년이 부모님을 그리워하거나 가난 때문에 겪는 고통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방정환, 현덕과 같은 당시의 대표적인 아동 청소년문학 작가들은 궁핍하고 억눌리는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이들이 희망을 갖고 꿈을 키워나가기를 바랐다.
이 가운데에는 「만년 샤쓰」와 같이 잘 알려진 작품도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으면서도 요즘의 작품에도 전혀 뒤지지 않는 훌륭한 작품들도 많다. 따라서 그동안 아동문학으로 분류되어온 작품들도 청소년소설로 새로이 자리매김 하였으며 이태준, 이효석, 김유정, 박태원, 김동리 등 당대 최고의 작가들이 청소년을 위해 썼거나 그들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들도 발굴하여 실었다.
Contents
청어 뼉다귀 _ 이주홍
박군의 편지 _ 민봉호
진수와 그 형님 _ 김도인
백삼포 여공 _ 현동염
영길이 _ 강노향
상호의 꿈 _ 김우철
월사금 _ 강경애
영수증 _ 박태원
아버지와 딸 _ 안운파
멀리 간 동무 _ 백신애
조행 ‘갑’ _ 이구조
날아다니는 사람 _ 노양근
이런 음악회 _ 김유정
고사리 _ 이효석
하늘은 맑건만 _ 현덕
고구마 _ 현덕
나비를 잡는 아버지 _ 현덕
소년 _ 김동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