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약칭 『화엄경』)은 불교의 수많은 경전(經典)가운데 부처님께서 최초로 설한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부처님의 깨달은 진리의 내용을 어떤 방편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드러내 보였기 때문에 그만큼 가장 어려운 경전이기도 하다. 이런 연유로 『화엄경』은 불교 ‘최고’의 경전이기도 하지만 또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화엄경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4세기경부터 산스크리트에서 한역(漢譯)된 이래 『화엄경』은 동아시아 사상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6세기경에는 중국에 『화엄경』을 중심으로 한 종문(화엄종-현수종)이 성립해 중국불교사 전반을 주도하며 관통했고 이후 중국에 뿌리내린 선불교나 심지어 신유학에까지 『화엄경』의 영향이 미쳤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 사상계에 화엄경이 미친 영향 역시 지대하다. 원효와 의상은 한국에 화엄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화엄종의 문을 연 한국 사상계의 대표적인 두 거목이다. 이후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승과(僧科)에서도 『화엄경』은 빠져본 적이 없다. 특히 ‘종교’로서의 불교가 큰 위기에 처했던 조선 시대에도 매한가지였다. 승려는 물론 유학자들도 『화엄경』 읽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추사 김정희는 초의 선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화엄경』을 읽고 있는데 (『화엄경』의) 교차되어 나타나는 묘리가 (그렇게 된) 연유를 밝히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며 초의 선사에게 『화엄경』의 가르침을 받고 싶다는 의중을 전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불교 안팎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라고 얘기하는 『화엄경』은 특히 근대 이후에는 그 유명세에 비해 더욱 접근하기 어려운 경전이었다.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너무 방대하고 너무 난해하였기 때문이다.
첫째, 화엄경은 너무 방대하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화엄경은 모두 4종이다. 각각 40권본, 60권본, 80권본이 있고 티베트어로 된 화엄경이 있다.(산스크리트로 된 것은 「십지품」과 「입법계품」 등 일부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모두 소실되었다.) 이중 40권본은 『화엄경』에서 「입법계품」만 따로 떼어 놓은 것이니 차치하고 60권본, 80권본, 그리고 티베트본이 있는데 그 분량이 어마어마하다. 그러니 누구나 선뜻 그 시작의 엄두를 내기 힘들었다.
둘째는 난해함, 즉 단단한 언어와 이해의 벽이다.
산스크리트에서 한역된 『화엄경』은 근대 이후 모두 세 차례 한글화 됐다. 탄허, 월운, 무비 스님이 역경의 주인공이다. 하지만 한글로 되어 있다고 누구나 『화엄경』을 볼 수는 없었다. 난해한 번역도 문제였지만 쉬운 한글이라도 한자 하나하나에 담겼던 뜻을 더 깊이 풀어내주는 작업이 없었기 때문에 한역 『화엄경』만큼 한글 『화엄경』 역시 접근이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불교계 안팎에서는 스님이나 재가불자는 물론이고 동양사상 전반을 연구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화엄경』 ‘강설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Contents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23
二十四. 도솔궁중게찬품兜率宮中偈讚品
1. 대중들의 운집
1) 시방 보살들이 모이다
2) 보살들의 이름
3) 보살들이 떠나온 세계의 이름
4) 섬기며 수행한 곳의 부처님
5) 보살들이 사자좌에 앉다
6) 보살들이 광명을 놓다
7) 보살들의 수승한 덕
8) 시방세계에서도 모두 한결같았다
2. 세존이 두 무릎으로 광명을 놓다
3. 보살들이 옛적에 여래와 함께 수행하다
4. 시방에서 온 보살들이 찬탄하다
1) 동방 금강당보살의 찬탄
(1) 부처님의 수승한 덕
1] 고요하면서 항상 작용함을 밝히다
[1] 생멸이 없는 데서 생멸을 보이다
[2] 색성이 없는 데서 색성을 보이다
[3] 거래가 없는 데서 거래를 보이다
2] 작용하면서 항상 고요함
3] 걸림 없이 항상 자재함
(2) 수행하기를 권하다
2) 남방 견고당보살의 찬탄
(1) 부처님의 수승한 덕을 찬탄하다
(2) 수행하기를 권하고 이익을 말하다
1] 덕을 가리키고 의지하기를 권하다
2] 능히 불도에 들어가다
3] 나아가 닦기를 권하다
3) 서방 용맹당보살의 찬탄
(1) 부처님을 친견하다
(2) 법을 듣다
(3) 거짓을 버리고 참다운 것을 구하다
4) 북방 광명당보살의 찬탄
(1) 교화의 작용이 넓음을 찬탄하다
(2) 교화의 작용이 깊고 깊음을 찬탄하다
(3) 교화의 작용이 깊고 넓음을 찬탄하다
5) 동북방 지당보살의 찬탄
(1) 믿기를 권하다
(2) 믿음의 수승한 덕
6) 동남방 보당보살의 찬탄
(1) 생각하기 어려움을 나타내다
(2) 시간을 멀리 뛰어났음을 보이다
7) 서남방 정진당보살의 찬탄
(1) 모든 부처님의 몸은 한결같다
(2) 부처님의 몸은 시방세계에 두루 하다
(3) 부처님의 몸은 불가사의하다
8) 서북방 이구당보살의 찬탄
(1) 여래가 세간을 청정하게 하는 덕
(2) 여래가 스스로 청정함을 말하다
9) 하방 성수당보살의 찬탄
(1) 여래의 두루 한 덕
(2) 중생들에게 응함이 자재하다
(3) 자재한 자취마저 떨어 버리다
10) 상방 법당보살의 찬탄
(1) 사람들이 보고 듣기를 권하다
(2) 중생들이 듣고 구하기를 권하다
二十五. 십회향품十廻向品 1
1. 금강당보살이 삼매에 들다
2. 부처님이 가피를 내리다
1) 미진수의 금강당부처님이 계시다
2) 금강당보살을 찬탄하다
3) 가피하는 까닭을 밝히다
(1) 가피 이룰 것을 밝히다
(2) 가피 지을 것을 밝히다
4) 가피의 상을 보이다
(1) 말의 가피를 밝히다
(2) 뜻의 가피를 보이다
(3) 몸의 가피를 보이다
3. 금강당보살이 삼매에서 일어나다
4.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다
1) 삼세 부처님의 회향을 배우다
2) 십회향의 명칭
3) 제1 구호일체중생이중생상회향
(1) 보살이 선근을 닦아 염원하다
(2) 중생을 이익하게 하고 구호하다
(3) 고통받는 이를 구호하다
1] 친구 아닌 이를 친구로 여기다
2] 큰 바다에 비유하다
3] 태양에 비유하다
4] 법과 비유를 함께 해석하다
5] 악한 중생에게도 선근을 회향한다
6] 비유를 들어 거듭 해석하다
(4) 회향하는 마음
(5) 회향하는 원
(6) 중생의 고통을 대신 받고 구호하다
1] 중생의 고통을 대신 받는 마음
2] 회향하는 마음
3] 굳은 뜻으로 보호하는 마음
4] 중생들에게 낙을 얻게 하다
5] 중생들을 위한 지혜의 횃불
6] 중생들의 행원을 구족하게 하려는 회향
(7) 일체 중생을 널리 제도하기 위한 회향
(8) 은혜를 생각하여 회향하는 것이 아니다
(9) 상을 떠난 회향
1] 여러 가지의 회향
2] 업과 지혜
(10) 회향의 이익
(11) 금강당보살이 게송을 설하다
1] 게송을 설하는 뜻
2] 회향할 선근을 밝히다
[1] 사무량심
[2] 육바라밀
3] 회향하는 행
[1] 상을 따르는 회향
[2] 상을 떠난 회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