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메가트렌드 2030』에서는 지금까지 수도권의 시대를 도시팽창 시대로 보고, 앞으로는 안정성장 시대로 규정하고 있다. 시대의 전환은 새로운 문제인식과 정책을 요구한다. 개발연대, 고성장 시대에는 신도시 개발과 주택 대량 공급, 산업단지 조성, 고속도로 확충 등이 핵심 정책 과제였다. 국가 차원에서는 고도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과 산업 집중에 대응하여 수도권 규제를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제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시대를 맞아 정책이 달라져야 하는 시점에서 문제는 어떤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인구와 공간의 변화, 고용과 산업의 변화, 복지수요와 환경의 변화, 그리고 지방정치의 변화, 남북관계와 통일여건의 변화 측면에서 12대 메가트렌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도권과 경기도의 미래상을 전망하여 정책비전을 모색해본다.
Contents
서론 도시팽창 시대에서 안정성장 시대로의 전환 _이상대
PART 01 인구의 변화, 공간의 변화
chapter 01 인구성장 피크시대의 도래와 교외화·광역화의 진정 _이상대, 박신영
chapter 02 수도권 교통의 글로벌화·광역화·녹색화 _지우석
chapter 03 아파트 양식의 지속과 새로운 주택양식의 확산 _윤혜정, 장성수
chapter 04 구도심·구시가지의 재활성화를 통한 도시재생 _이상대
PART 02 고용의 변화, 산업의 변화
chapter 01 청년·여성·고령층의 고용 부진과 양극화 _양재진
chapter 02 과학기술 중심의 미래 성장산업과 유망직업 _유영성
chapter 03 문화·관광·레저수요의 다양화와 도시 간 경쟁 _최승담, 심원섭
PART 03 복지의 변화, 환경의 변화
chapter 01 복지수요 확대와 사회적 경제 활성화 _김희연
chapter 02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으로의 전환 _고재경
chapter 03 환경 패러다임 변화와 인간-자연공동체의 실현 _박은진, 강상준
PART 04 미래의 지방정치, 통일시대의 수도권
chapter 01 지역사회 변화와 지방정치의 미래 _전상인, 유문종
chapter 02 통일시대 수도권과 경기도의 변화 _최용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