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차세대 모빌리티 및 안전·편의 시스템 기술, 시장 전모와 사업화 전략

$518.40
SKU
979119453201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16 - Tue 04/2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1 - Tue 04/1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2/03
Pages/Weight/Size 210*297*35mm
ISBN 9791194532019
Categories 경제 경영 > 경제
Description
본고에서는 기계학습 모델을 탑재한 자율주행 시스템의 개발ㆍ운용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어 차재 제품에서 AI의 역할, 자율주행의 안전성 개념, AI의 안전성으로 이어지는 기술과 프로세스, 융합 분야로서 시초가 되는 AI 안전에 대한 연구 커뮤니티 동향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규 ·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도 정리, 분석하고 있다.
Contents
Ⅰ. 차세대 모빌리티와 기반 기술의 글로벌 트렌드 및 전망

1.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 및 핵심 기반 기술
1-1. 차세대 모빌리티 트렌드와 주요 기반 기술
1) 모빌리티 개념과 모빌리티에 의한 변화
(1) 모빌리티란
(2) 모빌리티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배경
(3) 모빌리티에 의한 사회 변화
① 이동하는 것 자체가 서비스가 되는 사회
②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회
③ 카셰어 문화의 확산
2) 차세대 모빌리티 트렌드
(1) 모빌리티의 파괴적 차원(ACES)
① 자립적 테크놀로지
② 커넥티드카
③ 전기화 테크놀로지
④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2) 첨단 모빌리티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술
① AI
② IoT
③ 5G
(3) 인접 기술
① 경량화 테크놀로지
② 밸류체인의 탈탄소화
(4) 모빌리티 기술 활용
(5) 물류업계에 미치는 영향
3) 미래 모빌리티 최신 기술과 혁신 디자인 융합
(1) 전동화 혁명: 차세대 EV 진화
(2) 자율주행의 미래 : 완전 자율주행차의 부상
(3) 커넥티드카: 자동차와 인터넷의 새로운 시대
(4) 공기역학의 신조류 : 공력성능 추구
(5) 지속가능한 소재 및 디자인 : 친환경 미래차
(6) 미래 인테리어 : 사용자 경험의 진화
4)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사례 및 종류
(1) 미래 모빌리티
(2) 자율주행 기술에 의한 무인 서비스
(3) 서비스 로봇도 속속 실용화
(4) 하늘을 나는 자동차 등의 항공 모빌리티
5) 2050년까지 미래의 모빌리티를 변화시킬 7가지 기술
(1) 자율주행 기술 진화를 AI가 지원
(2) IoT 기술의 진화와 자율주행차에 미치는 영향
(3) 자율주행과 EV가 인프라에 미치는 변화
(4) 드론 배송
(5) 라스트 원 마일 스테이션
(6) 자동 보수하는 도로
(7) 온디맨드 대중교통
6) 자동차 혁신 트렌드 및 주목 기술
(1) 자동차가 세계를 지탱: V2G(Vehicle-to-Grid)의 실현
(2) 전고체 전지가 컨셉에서 현실로
(3) 완전 자율주행을 위한 격차 해소
1-2. C.A.S.E.가 가져올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변화
1) CASE란
(1) Connected
(2) Autonomous
(3) Shared & Service
(4) Electric
2) CASE가 주목받는 배경
(1) 온실가스 감축 목표
(2) 자동차 제조업체와의 경쟁 격화
3) CASE와 MaaS의 관계성
(1) 서비스 기준이 되는 차를 선택하는 방법
(2) 점점 더 사라지는 사람의 개입
(3) GAFA를 능가하는 플랫폼 구축 실현 전망
4) 향후 CASE에서 강화해야 할 기술
(1) 이산화탄소(CO2) 감소
(2) 전동화 기술
(3) AD/ADAS 커넥티드 기술
(4) 기반적 기술
5) CASE 실현을 위한 과제
(1) 차는 아직도 ‘소유’하는 것이라는 인식
(2) 완전 자율주행 실현까지는 법·제도 논의 및 시간 필요
(3) ECU의 진화도 필요
(4) 향후 자동차 부품의 변화·부품 제조사에 요구되는 변혁
1-3. AI 기반 도시교통과 스마트 모빌리티의 미래
1) AI 교통관리의 기본 개념과 필요성
(1) AI 교통관리의 필요성
(2) AI 교통관리 기술의 기초
2) 스마트 모빌리티에서의 AI 응용
(1)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2) 자율주행차와의 연계
(3) 교통의 최적화 기술
3) AI 기술로 구현하는 미래 교통 혁신과 그 가능성
(1) AI 기술 활용에 의한 차세대 모빌리티의 미래
(2) 자율주행 기술의 최전선
(3) 엔비디아 GTC 회의에서 발표된 신기술
(4) 대학 연구기관의 역할과 중요성
(5)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 : 드론과 자동 관제 시스템
4) 도시교통 효율화에 대한 도전과 미래
(1) 현재의 과제와 해결책
(2) AI와 스마트시티의 미래
1-4. 유럽의 모빌리티 전략과 관련 규제
1) 배터리 규정이란
(1) 배터리 규정 개요
(2) 배터리 규정 적용 일정
① 초기 적용 단계
② 완전 적용 시기
③ 경과조치 및 준비기간
2) 배터리 규정이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배터리 공급망과 규칙에 대한 대응
(2) 차량용 배터리 CFP 의무화
(3) CFP 신고 준비
(4) CFP 최대 임계값 설정
(5) 유럽 모빌리티 전략 및 관련 규제
(6) 인프라 정비 목표
(7) 인센티브 설정
(8) 신차 CO2 배출기준 강화
(9) 신차 대기오염물질 배출기준 강화
3) 정리

2. 차세대 모빌리티의 핵심, 자율주행 기술개발 동향과 향후 전망
2-1. 자율주행 개념 및 기술 동향
1) 자율주행 기술과 ICT의 융합
(1) 자율주행 기술이란
(2) ICT(정보통신기술)란
(3) 자율주행 기술과 ICT의 연계 필요성
(4)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과 특징
(5) 자율주행과 ICT의 구체적인 예
(6) 자율주행과 ICT의 진화 가능성
2) 자율주행차 개념과 레벨
(1) 레벨 0 : 완전 수동 운전
(2) 레벨 1 : 드라이버 지원
(3) 레벨 2 : 부분적 자율주행
(4) 레벨 3: 조건부 자율주행
(5) 레벨 4: 고도 자율주행
(6) 레벨 5: 완전 자율주행
3) 자율주행차 기술 및 정책 동향
(1) 자율주행 기술 분류 및 정의
(2) 국내외 자율주행 기술 및 정책 동향
① 국내
② 국외
4) 자율주행과 특수차량, 최신 안전기술
(1) 고도 센서 시스템
(2)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기술
(3) 인공지능(AI)과 기계학습을 통한 상황 판단
(4) 원격조작 및 모니터링
(5)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6) 자가진단 및 예방보전
5) 자율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동향
(1) 로보택시 현황 및 상용화를 위한 과제
(2) 자율주행 대중교통 및 교통약자 지원
① 교통약자 이동지원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② 세종시 VRU 이동지원을 위한 자율주행 안전서비스
③ 우편배달용 자율주행 셔틀 연계 VRU 이동지원

2-2. 자율주행 기술이 개척하는 차세대 모빌리티
1) 자율주행 기술 동향과 발전의 열쇠
(1) 실용화가 진행되는 자율주행 기술
(2) 자율주행 기술의 요소 기술
(3)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향
(4) 자율주행 기술의 과제(한계)
(5) 차량과 차량 밖의 정보 연계에서 열쇠가 되는 기술
2) 테슬라의 FSD
(1) FSD의 개요 및 기능
(2) FSD의 기술적 도전
3) 기술적 과제
(1) 센서의 한계와 데이터 통합
(2) AI의 인식 능력과 의사 결정
(3) 실시간 처리와 저지연의 필요성
(4) 날씨와 지리적 조건의 영향
4) 사회적, 윤리적 과제
5) FSD가 가져올 미래 전망
2-3. 자율주행의 미래 전망과 과제
1) 자율주행 기술의 최신 동향과 진화
(1) 자율주행 수준의 정의와 현황
(2) 자율주행 핵심 기술 활용
(3) 주요 플레이어의 최신 기술 개발과 실증실험 상황
2) 2030년 자율주행 사회 전망
(1) 자율주행이 확산되는 분야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2) 자율주행이 가져오는 경제적 영향(시장규모, 고용,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3) 자율주행의 윤리적 과제(사고 책임, 사생활 보호, 해킹 대책)
3) 자율주행에 관한 법 정비와 규제 동향
(1) 각국의 법령 정비 현황과 국제적인 동향
(2) 향후 법 정비의 과제와 방향성
(3) 윤리적 과제에 대한 법적 대응
4) 자율주행 기술 현황 및 과제
(1) 위치 특정 기술: 차량의 현재 위치 정확하게 특정
(2) 인식기술: 자동차, 보행자, 장애물 등을 감지·인식
(3) 인공지능(AI) 기술 : 운전 조작 등을 판단
(4) 예측기술 : 사고위험 및 위험가능성 산출
(5)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 : 운전자 상황 감시
(6) 플래닝 기술: 상황에 따라 주행 경로 결정
(7) 통신기술: 차량 간 통신이나 도로변 통신, 인포테인먼트용
2-4. 자율주행차 관련 시장 동향과 전망
1) 국내외 자율주행차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 동향과 전망
(2) 국내 자율주행차 시장 동향과 전망
2) 자율주행 기술 단계별 시장규모 전망
3)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및 전장 시장규모 전망
4) 자율주행차의 미래 : 법 규제의 최신 동향과 글로벌 표준화 도전
(1) 자율주행차의 현황과 미래
(2) 최신 법 규제 동향
(3) 글로벌 표준화의 필요성과 과제
(4) 국제 표준화 기구의 노력
(5) 주요국의 구체적인 사례
(6) 자율주행차 보급을 위한 향후 전망

3. 모빌리티 업계가 주목하는 전동화 기술개발 동향과 향후 전망
3-1. 전기차(EV) 산업 개요와 최근 동향
1) 전기차의 정의와 구분
(1) 순수 전기차(Battery Electric Vehicle·BEV 혹은 EV)
(2) 수소연료전지차(Fuel Cell Electric Vehicle·FCEV)
(3) 하이브리드차(Hybrid Electric Vehicle·HEV)
(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PHEV)
2) 전기차 산업 구조의 특징과 밸류체인
(1) 전기차 산업 구조의 특징
(2) 전기차 산업의 밸류체인
3) 전기차 주행거리 및 충전시간 현황
(1) 전기차 주행거리 현황
(2) 전기차 충전시간 현황
4) 자동차 업계의 게임체인지가 될 EV 동향
(1) 최신 EV 모델
(2) 주목받는 新모델
(3) 기술 혁신과 안전
(4) 디자인과 성능의 융합
3-2. EV 업계의 거시적 트렌드 및 주요국의 정책 동향
1) 자동차 산업의 지각 변동
2) EV의 유형과 특징
3) 글로벌 시장에서의 EV 판매 동향과 특징
4) EV 시프트를 위한 해외 주요국의 정책 동향
(1) 중국의 EV 정책
(2) 유럽의 EV 정책
(3) 미국의 EV 정책
(4) EV 전환을 위한 일본의 정책 동향
3-3. EV 업계의 주요 플레이어 전략 및 차세대 기술 개발 동향
1) EV 시프트로 변화하는 자동차 업계의 판도
2) BEV 메이저 플레이어의 강점
(1) 미국·테슬라(Tesla)의 사업전략과 강점
(2) 중국·비야디(BYD)의 사업전략과 강점
3) 본격화되는 다른 업종의 BEV 사업 참가
4) 일본 자동차 기업의 EV 전략
(1) 토요타의 EV 전략
(2) 혼다의 EV 전략
(3) 닛산의 EV 전략
5) 전기차를 지탱하는 차세대 기술
(1) 배터리(차재전지)
(2) 전동식 액슬(eAxle)
(3) 기가캐스트(Giga Cast)
6) 향후 EV 진화 전망
3-4. 세계 전기차(EV) 시장 현황과 전망
1) 시장 현황
(1) 글로벌 판매 추이
(2) 주요국·지역 BEV 판매 동향
(3) 전동화 목표
2) EV 현황
(1) EV 판매 감속
(2) EV화의 정체
3) 중국 EV 현황
(1) 중국의 EV화 촉진책
(2) 중국 EV 판매 및 수출
(3) EV의 수출 동향
(4) 중국산 EV 수입제한 조치
4) 주요 EV 업체의 전기차 전환 계획과 성과
(1) 글로벌 전기차 제조사 전환계획
(2) 글로벌 OEM 전기차 판매 실적 동향
(3) 주요국의 EV 서플라이체인 관련 비즈니스
5) 향후 전망

4. 운송의 미래, 항공 모빌리티(UAM, AAM)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4-1. 항공 모빌리티와 차세대 모빌리티 시스템
1) 항공 모빌리티 개념과 동향
(1) 항공 모빌리티란
(2) 항공 모빌리티의 장점
① 이동시간 단축
② 환경 친화적
③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도 접근용이성 향상
④ 재해 시 원활한 구호 활동
⑤ 기대되는 경제적 효과
(3) 항공 모빌리티 개발 동향
① Uber
② Airbus
③ SkyDrive
④ JAL
(4) 항공 모빌리티의 과제
① 새로운 법률과 규제 정비
② 사고 방지 및 안정 비행을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③ 수요 창출을 위한 서비스 및 상품 개발
④ 인프라 및 플랫폼 확보
2) 차세대 모빌리티 시스템으로서의 Advanced Air Mobility(AAM)
(1) 스케일업이 필요한 경제적 이유
(2) 시장 요구에 맞춘 AAM 기체제조의 스케일업
(3) 미래 시장의 수요와 규모에 대응하기 위한 3가지 카테고리에 따른 접근법
① 팀 : 인재와 연계가 에코시스템의 버팀목이 될 것으로 기대
② 기술 : 부품에서 제품에 이르기까지 전략과 기술을 활용
③ 자본 : 자금 조달, 수익 창출 및 비용 최적화를 통해 채산성을 확보
(4) 향후 전망을 위해 EV 시장을 통해 AAM의 미래를 예측
4-2. 항공 모빌리티 기술개발 동향과 과제
1) 개요
2) 항공 모빌리티의 개발 특징
(1) 코스트
(2) 안전
(3) 운용
3) 기체 개념과 종류
(1) 개념
(2) 기체 종류
4) 개발 상황
5) 실용화를 위한 과제
4-3. 항공 모빌리티에 관한 규제 및 정책 동향
1) 국내 동향
2) 미국의 UAM/AAM 정책 동향
(1) UAM ConOps v1.0 개정
(2) UAM ConOps v2.0에서의 주요 개정 내용
(3) AAM에 관한 국가 전략 수립을 위한 RFI
① AAM IWG
② RFI의 내용
4-4. 항공 모빌리티 시장 동향과 전망
1) 산업 생태계
2) UAM 시장규모 전망
3) 플라잉카·eVTOL 시장 동향과 전망

Ⅱ. 모빌리티 안전·편의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1. 모빌리티 안전성 향상을 위한 추진 및 표준화 동향
1-1. 자동차 업계에서의 인공지능 안전(AI Safety) 동향
1) 자동차 부품에서 AI의 역할
(1) AI 기술의 진화
(2) AI 자동차 부품 응용 기술의 진화
(3) 자율주행 AI 기술의 진화
2) 자율주행에서의 안전성
(1) ISO 21448(SOTIF)
(2) ISO PAS 8800
3) AI 안전으로의 어프로치·기술·프로세스
(1) AI의 안전상 과제
(2) 안전상의 과제에 대한 접근
(3) 관측데이터
① 균일성과 피복성
② 능동 학습
(4) 라벨(라벨링 가이드라인)
(5) 모델
① ML 테스트
② 강건성
③ 설명성
(6) 운용 환경(불확실성 평가)
1-2. 전 세계 차량 감시 시스템 규제 및 표준화 동향
1) 자동차 감시 시스템에 대한 법적 규제
(1) 유럽
(2) 미국
(3) 중국
(4) 일본
(5) 인도
(6) 유엔 유럽경제위원회
2) AI 거버넌스
3) 분야 횡단적인 법규·표준(수평적인 틀)
(1) 유럽
(2) 미국
(3) 중국
(4) 일본
(5) 국제 표준
4) 자동차업계의 법규·표준(수직적인 틀)
(1) 유엔 법규
(2) 국제 표준
1-3. 자율주행 안전성 평가에 관한 국제 표준 해설
1) 개요
2) ISO 34502 및 전문가가 제안하는 방법 개요
(1) ISO 34502의 개요
(2) 시나리오의 정의 방법
3) ISO/TC 22/SC 33/WG 9의 활동 개요
1-4.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진화와 카메라 기술에 의한 안전성 향상
1)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개념과 기술 동향
(1) 기본 개념과 역할
(2) ADAS 기술의 역사와 진화
(3) 최신 ADAS 기술 : AI와 센서의 융합
(4) 자율주행의 진화와 ADAS의 관계
(5) 자동차 제조사의 ADAS 도입 사례
2) ADAS에 의한 효과 및 영향
(1) ADAS가 초래하는 교통사고 감소 효과
(2) ADAS와 교통 체증 완화
(3) 자율주행차의 보안과 사생활 문제
(4) ADAS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
3) ADAS 과제 및 전망
(1) 법 규제와 ADAS의 미래
(2) 미래 기술 혁신과 ADAS 가능성
4) 2025년 차량용 카메라 기술 : 진화와 미래를 위한 새로운 트렌드
(1) 차량용 카메라 기술 현황
(2) 적외선 카메라의 진화와 전망
(3) ADAS에서 카메라 기술의 역할
(4) 인캐빈(In-Cabin) 센싱의 혁신
(5) 야간 주행을 뒷받침하는 카메라 기술
(6) SWIR 카메라의 도입과 가능성
(7) AEB와 보행자 감지의 카메라 기술
(8) 자율주행차에서 카메라 기술의 미래
(9) 규제와 차량용 카메라 기술의 관계성
(10) LWIR 카메라 사용 케이스
(11) 센서 퓨전과 카메라 기술의 통합

2. 안전 및 편의 시스템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과 향후 전망
2-1.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1) 개요
(1) ADAS 정의
(2) ADAS의 기본 개념
(3) ADAS의 역사
(4) ADAS를 보완하는 'V2X 통신'이란
(5) ADAS에 포함된 주요 7가지 기능 시스템
2) ADAS의 안전 시스템 기능 소개
(1) BSM(Blind Spot Monitoring: 사각지대 모니터링)
(2) LDW(Lane Departure Warning: 차선이탈 경고)
(3) LKA(Lane Keeping Assist: 차선변경보조)
(4) FCW(Forward Collision Warning: 전방차량 추돌감지 및 경고)
(5) AEB(Advanced Emergency Braking: 자동긴급제동장치)
(6) NV(Night Vision: 야간 시야 확보)
(7) PCW(Pedestrian Collision Warning: 보행자 추돌감지 및 경고)
(8) RCTA(Rear Cross Traffic Alert: 후방 교차 충돌 경고)
(9) 자동차 내비게이션
(10) 차량간 통신 시스템(차차간 통신·도로차간 통신 시스템)
3) ADAS의 편의 시스템 기능 소개
(1) SCC(Smart Cruise Control: 자동순항제어)
(2) TSR(Traffic Sign Recognition: 교통표지판 인식)
(3) APA(Advanced Parking Assist: 고급 주차 어시스트)
(4) AFS(Adaptive Frontlighting System: 자동 헤드램프 광축 조정)
4) ADAS와 AD(자율주행)의 차이점
(1) 자율주행 레벨에 대해
① 레벨 0: 운전 자동화 없음
② 레벨 1: 운전자 지원
③ 레벨 2: 부분적 운전 자동화
④ 레벨 3: 조건부 운전 자동화
⑤ 레벨 4: 고도 운전 자동화
⑥ 레벨 5: 완전 운전 자동화
(2) ADAS와 AD의 공통점
(3) ADAS와 AD의 차이
(4) ADAS의 HMI(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5) ADAS의 기술 요소
(1) 차량용 센싱
① ADAS용 카메라
② ADAS용 레이더
③ ADAS용 라이더(LiDAR)
(2) 차량용 로케이터
(3) 차량용 ECU
(4) 차량용 네트워크
(5) ADAS에서 HMI의 위치 설정
(6) 앞으로 ADAS에 기대되는 기술
① 차량간 통신 시스템
② 차로간 통신 시스템
③ OTA(Over The Air)
④ 다이내믹 맵
6) 각 자동차 제조사의 독자 ADAS
(1) 테슬라 : 오토파일럿
(2) GM : SuperCruise
(3) 폭스바겐 : IQ.DRIVE
(4) BMW : BMW Personal CoPilot
(5) 토요타 :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6) 렉서스 : Luxus Temmate 등
(7) 닛산 : 프로 파일럿 2.0
(8) 혼다 : 혼다 센싱
(9) SUBARU : 아이 사이트
7) ADAS 관련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
(1)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ADAS용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2) Sky: 차량용 ECU로 ADAS 개발 지원
(3) ZMP: ADAS 데이터 계측 및 분석 툴 제공
2-2. 친환경 미래자동차 전환에 따른 안전 시스템
1) 전기차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기술 개요
① 개념
② 구성
③ 종류
(2)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역할
① 한도를 넘어선 충전·방전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
② 각 셀의 성능을 균일화
(3) 전기차에서의 BMS 역할
① 모니터링
② 보호
③ 밸런스 조절
④ 열 관리
⑤ 전기차에서의 BMS의 미래
(4)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시장 동향과 전망
(5) 자동차용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시장동향과 전망
2) 미래자동차 예지보전 및 내구성 향상 기술
(1) 미래자동차의 내구성 향상
(2) 스마트 유지보수 및 예지보전
(3) 미래 모빌리티 열화 진단 및 수명 예지 기술 개발
(4) 미래 모빌리티의 내구 해석 기술
(5) 미래 모빌리티의 친환경성 향상
(6) 에너지 효율 향상
3) 자동차 안전성과 사이버보안 기술
(1) 사이버보안의 중요성
① 자동차와 사이버보안의 중요성
② 커넥티드 카의 보급과 보안 리스크
③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과 사이버 공격 위협
(2) 사이버보안 대책
① 자동차 제조사의 사이버보안 대책
② 공급망의 취약성 및 관리
③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에 의한 보안 강화
④ 새로운 법규 및 자동차 보안 준수
⑤ 최신 기술에 의한 위협 검출과 대책
⑥ 인공지능(AI)과 기계학습의 활용
(3) 자동차 사이버보안 기술 적용사례
① 클라우드 기반의 암호키 및 주요 데이터의 전달
② 제어기별 자체 비밀번호 생성과 관리
③ 기밀 데이터 전송 환경을 구축
(4) V2X 사이버보안 기술의 시장 동향
(5) 자동차 보안의 미래 전망
2-3. Vehicle-to-Everything(V2X)
1) V2X 기술 동향
(1) V2X 배경기술 분석
(2) V2X 심층기술 분석
① IEEE 802.11p 기반 표준기술 WAVE
② 차세대 V2X 표준기술 NGV(Next Generation V2X)
③ Cellular 기반 V2X 표준기술 C-V2X
④ V2X 통신을 위한 차량용 안테나 기술
⑤ V2X 무선통신 보안기술
⑥ 5G-V2X 연계 기술
2) C-ITS와 C-V2X 기술
3) C-V2X 기술의 단계별 진화
(1) LTE-V2X
(2) LTE-eV2X
(3) 5G-NR-V2X
① 5G V2X 개요
② 5G V2X 기술의 진화
(4) 6G 차량 통신 전망
4) V2X 기술 관련 플레이어 동향
(1) Qualcomm
(2) LG이노텍
(3) 켐트로닉스
(4) 라닉스
(5) 한컴MDS
2-4.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SM)
1) 개요
2) 자동차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의 10가지 장점
(1) 부주의 운전 억제
(2)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 경감
(3) 맞춤형 드라이버 인사이트
(4) 보험할인
(5) 지속가능성 향상 추진
(6) 차량 도난 및 무자격 운전자 방지
(7) 의료상 긴급 리스크 경감
(8) 비용회피와 위험관리
(9) 차량 비용을 절감하고 루트 효율을 향상
(10) 승객의 안전 확보
3) DMS(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 동향과 전망
2-5.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1) ITS와 C-ITS 정의 및 차이점
2) ITS 기술 개발 동향
(1) 지능형 교통시스템 단말 및 기기 기술
① 차량사물통신(V2X) 통신 기술
② 고정밀 측위 기술
③ 인증 및 보안 기술
(2) 지능형 교통시스템 응용 서비스 기술
① 첨단 교통관리 시스템 기술
② 차량 및 도로 시스템 기술
③ 첨단 교통정보 시스템 기술
④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 기술
⑤ 상용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기술
(3) ITS 기술 발전 방향
3) ITS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
(1) 지능형 교통시스템 산업 분류체계 및 특징
(2) 지능형 교통시스템 시장규모 및 전망
4) C-ITS 서비스 및 구성요소
(1) C-ITS 서비스
(2) C-ITS 구성요소
① 차량 내 시스템
② 현장 인프라
③ 센터 시스템
5) C-ITS 국내외 추진 동향
2-6.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1)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oftware-defined Vehicle) 개요
2)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의 제조
(1) 사용자의 SDV
(2) 제조사의 SDV
(3) 소프트웨어 개발의 내재화
3) SDV를 위한 차세대 E/E 아키텍처
4)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기술개발 동향

Ⅲ. 데이터 활용에 의한 모빌리티 서비스 대응 동향과 전략

1. 주요국의 모빌리티 관련 데이터 활용 정책 동향
1-1. 유럽연합(EU)
1) 모빌리티 관련
(1) 모빌리티 정책
(2) 모빌리티 정책에 근거한 법률 및 규제
① ITS 지령과 관련된 위임 규칙
② 지속가능하고 스마트한 모빌리티 전략(SSMS)에 근거한 법 개정 동향
(3)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인프라
(4)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표준화 동향
① ITS 지령의 우선행동에 관한 위임규칙에 규정된 NAP 데이터의 권장규격
② 유럽규격 Transmodel, NeTEx, SIRI 및 OJP
③ NAP 제공 데이터 권장규격에 대한 Transmodel 기반 포맷과 기타 표준 포맷
(5)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이니셔티브와 프로젝트
① 멀티모달 이동 서비스 관련 이니셔티브
② 상호운용성 개선을 위한 대응
2) 데이터 관련
(1) 데이터 정책
(2) 데이터 정책에 따른 법률 및 규제 - 데이터 일반 및 거버넌스
① 개방형 데이터 지침
② 데이터 거버넌스법
③ 데이터 법안
(3) 데이터 정책에 따른 법률 및 규제 - 개인정보보호
(4) 데이터 정책 실현을 위한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 모빌리티 분야
1-2. 오스트리아
1) 모빌리티 관련
(1) 모빌리티 정책
(2) 모빌리티 정책에 근거한 법률 및 규제
(3)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인프라 프로젝트
(4)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실시 기관
2) 데이터 관련
(1) 데이터 정책
(2) 데이터 정책에 따른 법률 및 규제
① 정보 재이용법
② 데이터 보호법(DSG)
1-3. 핀란드
1) 모빌리티 관련
(1) 모빌리티 정책
(2) 모빌리티 정책에 근거한 법률 및 규제
① EU의 ITS 지령의 자국내 법으로의 이행
② 교통 서비스법
③ 모빌리티 서비스에 관한 필수 데이터에 관한 정부령(643/2017)
(3)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인프라 프로젝트
① Digitraffic
② FINAP
③ 멀티모달 이동정보 서비스: Digitransit
2) 데이터 관련
(1) 데이터 정책
(2) 데이터 정책에 따른 법률 및 규제
① EU 지령 및 PSI 지령의 자국내 법 이행
② 데이터 보호법 (1050/2018)
1-4. 영국
1) 모빌리티 관련
(1) 모빌리티 정책
① 모빌리티의 미래: 도시 전략
② 버스 관련 정책
③ 철도 관련 정책
(2) 모빌리티 정책에 근거한 법률 및 규제
① 브렉시트 이후 영국에서의 EU법과 자국내 법을 둘러싼 상황
② EU의 ITS 지령과 이를 보완하는 EU 규칙에 대한 대응
③ 버스 서비스법
(3)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데이터 인프라
(4) 모빌리티 정책 실현을 위한 표준화 동향
2) 데이터 관련
(1) 데이터 정책
(2) 데이터 정책에 따른 법률 및 규제

2. ICT에 의해 수집되는 모빌리티 관련 데이터 활용 해외사례 분석
2-1. 영국 런던
1) 도시 교통 관련 시책
(1) 도시 개요
(2) 교통 거버넌스의 특징
(3) 교통 관련 정책·시책
(4) 정책의 평가·분석을 위한 모델링
2) 데이터 활용 대응사례 '런던교통국(TfL)에 의한 데이터 오픈화'
(1) TfL에 의한 데이터 오픈화 경위
(2) TfL 오픈 데이터 개요
(3) 오픈 데이터가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교통개선 효과
3) 데이터 활용 실태
(1) TfL을 통한 Wi-Fi 데이터 수집
(2)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대중교통 데이터나 경로검색 앱 데이터 등의 활용
2-2. 영국 솔렌트
1) 도시 교통 관련 시책
(1) 도시 개요
(2) 솔렌트 트랜스포트
(3) 교통 거버넌스의 특징
(4) 교통 관련 정책·시책
(5) 솔렌트 서브리저널 교통 모델(SRTM)
2) 데이터 활용 대응사례 'Solent FTZ 프로그램의 MaaS 앱 개발'
(1) 솔렌트 FTZ 프로그램
(2) 솔렌트 FTZ의 Breeze 앱 개발 프로젝트
(3) Breeze 앱 개발 프로젝트 파트너 조직과 역할
(4) Breeze 앱 개발의 데이터 이용
(5) Breeze 앱의 본격 가동을 위한 과제
2-3.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
1) 도시 교통 관련 시책
(1) 도시 개요
(2) 교통 거버넌스의 특징
(3) 오버외스터라이히 주의 철도
(4) 오버외스터라이히 주의 지역 버스와 시가 전차
2) 교통 관련 정책·시책
(1) 린츠지역 및 린츠시의 모빌리티 컨셉
(2) 모빌리티 컨셉 실현을 위한 시책
(3) 모니터링과 평가
3) 데이터 활용 대응사례 'DOMINO OO 프로젝트'
(1) DOMINO OO 프로젝트
(2) 앱 개발의 단계적 스케줄
(3) DOMINO OO 앱 기능
(4) 시민참여와 인센티브를 위한 파일럿-DOMINO 챌린지
(5) DOMINO OO 앱을 통한 데이터 활용
2-4. 알프스 지역
1) 알프스 지역 내 이동관련 정보
(1) Interreg 알파인 스페이스 프로그램 실시 지역의 개요
(2) 알프스 지역 저니 플래너 서비스 제공 조직
① 스위스의 Swiss Federal Railways
② 오스트리아의 VAO
③ 이탈리아의 South Tyrolean Transport Structures
④ 슬로베니아의 Regional Development Agency of the Ljubljana Urban Region
⑤ 이탈리아의 Regional Agency for Innovation and Purchasing Ltd
⑥ 이탈리아의 Metropolitan City of Turin / 5T
2) 데이터 활용 대응사례 'LinkingAlps' 프로젝트
(1) LinkingAlps 프로젝트의 배경과 목적
(2) 참가 파트너 조직의 교통정보 서비스 특징
(3) 프로젝트의 사전 분석
(4) OJP 서비스 통합으로 실현되는 유스케이스
① 유스케이스1: 단거리 이동계획
② 유스케이스2: 장거리 이동 계획
3) 향후 전망
2-5. 핀란드 탐페레
1) 도시 교통 관련 시책
(1) 도시의 개요
(2) 교통 거버넌스의 특징
(3) 교통 관련 정책·시책
(4) 스마트 시티 프로그램
2) 데이터 활용 대응사례 'Smart Rail 리빙랩'
(1) 트램 도입 배경
(2) Smart Rail 프로젝트
(3) SmartRail 에코시스템
(4) SmartRail 리빙랩
(5) 데이터 활용 대응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