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태풍, 폭우 등의 이상기후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유럽 연합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여러 가지 정책을 실행중이며,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중국 또한 최근 206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우리 정부도 ‘그린 뉴딜’ 정책 발표를 통해 저탄소 친환경 경제로의 도약을 위한 전략을 제시했으며, 국회에서 통과된 ‘기후위기 비상대응 촉구 결의안’에는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제로 목표가 포함됐다.
이러한 세계적 상황에 비추어보면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과 이를 통한 새로운 경제 시스템 도입은 ‘글로벌 스탠다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확대는 에너지를 스마트하게 절약하는 방법과 함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에너지 전환 방안 중 하나이다.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전력 생산 방식은 그 과정에서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등의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태양전지 기술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영구적인 에너지원인 태양빛을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에너지 기술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말하는데, 최근에는 태양광이 미래 전력생산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태양광이 미래 발전부문을 주도할 것이라는 사실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정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의 한 축으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로 높이는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는 2030년까지 태양광 30.8GW를 신규 보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한 정부의 ‘그린뉴딜’ 세부계획을 살펴보면,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을 위해선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도 확대할 방침이다.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차원에선 스마트 그린산단 10곳을 조성하고, 스마트 생태 공장 100곳, 클린팩토리 1,750곳을 각각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정부 계획에 태양광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녹색도시 전환, 제로에너지빌딩,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스마트 그린산단 등 모든 그린뉴딜 계획에서 태양광 산업이 활약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BIPV와 수상태양광, 지붕형태양광 등 육상태양광에 비해 다소 주목도가 떨어졌던 태양광 산업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예고했다.
이에 태양광 에너지 핵심인 태양전지 산업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면서 관련된 분석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있다. 본서에서는 태양광발전의 원리와 시장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태양전지산업의 시장현황과 기술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Contents
1. 서론 1
2. 태양광산업 3
가. 태양광과 태양열 3
1) 태양열 에너지 3
2) 태양광 에너지 6
나. 태양광 발전의 구성과 원리 8
1) 신재생 에너지 분류 8
2)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성기기 13
3) 태양광 발전 원리 14
다. 태양광 발전 시장현황 16
1) 세계 시장 16
2) 국내 시장 32
라. 태양광 발전 산업 기술 동향 34
1) 웨이퍼(Wafer) 34
2) 셀(Cell) 37
3) 모듈(Module) 42
마. 태양광 발전 기술 응용분야 46
1) 우주 태양광 발전 46
2) 솔라 로드웨이 50
3) 수상 태양광 발전 50
4) 영농형 태양광(Agri-PV) 51
5) 그린수소(Green Hydrogen) 52
바. 태양광 발전 정책현황 53
1) 재생에너지 3020 53
2)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정책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