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고 또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선도하는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조사 및 분석한 조사로, 10대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이용 조사로는 국내 최초로 과학적 표집 방법을 사용한 전국 규모 조사다. 만 10~18세 청소년 2,500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기기와 플랫폼·서비스 이용 여부·일수·시간, 해당 미디어에서 이용한 콘텐츠와 이용한 이유, 뉴스 미디어 이용과 신뢰도, 유해 콘텐츠 노출, 사회 참여 경험과 미디어 교육 경험 등을 조사했다.
2016년과 2019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된 2022년 조사에서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인터넷 포털, 메신저 서비스,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OTT서비스, 메타버스 플랫폼, 화상회의 플랫폼 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의 이용 행태를 살펴보는 문항을 포함했다.
Contents
Ⅰ. 주요 결과 및 시사점
Ⅱ. 조사 개요
Ⅲ. 조사방법 및 설계
Ⅳ. 조사결과
1. 미디어별 이용 행태
- 종합
- 인터넷
-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 OTT 서비스
- 게임
- 메신저 서비스
- SNS
- 인터넷 포털 서비스 및 웹툰/웹소설
- 온라인 커뮤니티
- IP 기반 확장 미디어/콘텐츠 이용
- 메타버스 플랫폼
- 화상회의 프로그램
- 텔레비전
- 라디오
- 종이신문
- 잡지
2. 미디어별 뉴스 이용 행태
- 종합
- 인터넷
- 인터넷 포털
- 메신저 서비스
- SNS
-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 언론사 홈페이지
- 인터넷 뉴스 사이트
- 인공지능(AI) 스피커
- 텔레비전
- 라디오
- 잡지
- 온라인 커뮤니티
3. 뉴스/언론에 대한 인식
- 뉴스 이용 방식
- 사회 참여 경험
- 뉴스/시사정보 신뢰도
- 직업군 그룹별 신뢰도
4. 매체별 인식
- 일상생활에서 매체 및 플랫폼/서비스 중요도
- 유해 콘텐츠 접촉 경험 및 매체, 플랫폼/서비스 이용 제한과 준수
- 청소년 미디어 교육 경험 여부 및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