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지패널은 매년 기초분석보고서, 학술대회 보고서와 더불어 한국복지패널의 방향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해 별도의 심층분석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2018년 심층분석 보고서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을 해외 기관 및 연구자 등에게 알리고 그 성과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수행되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복지패널을 해외에 알리고 홍보하기 위해서 먼저 해외 주요 패널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특성을 파악하고, 각국의 패널을 알리기 위한 노력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미국와 영국, 유럽, 아시아의 주요 패널조사를 분석하였다. 둘째, 복지패널의 해외 연구자 활용도 제고를 위해 현재 국내 연구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복지패널의 조사표, 유저가이드 등을 영문화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올해 한국복지패널 심층분석 보고서에서 수행한 주요 연구결과가 한국복지패널의 지속가능성과 외부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8
제2장 영국 British Household Panel Survey(BHPS) 31
제1절 조사 배경 33
제2절 표본 및 가중치 35
제3절 조사 방식 및 관리 40
제4절 조사표의 주요 내용 46
제5절 패널 활용 50
제6절 복지패널에 주는 시사점 53
제3장 미국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PSID) 55
제1절 조사 배경 57
제2절 표본 및 가중치 59
제3절 조사 방식 및 관리 69
제4절 조사표의 주요 내용 75
제5절 패널 활용 82
제6절 복지패널에 주는 시사점 84
제4장 독일 Socio Economic Panel(SOEP) 87
제1절 조사 배경 89
제2절 표본 및 가중치 92
제3절 조사 방식 및 관리 103
제4절 조사표의 주요 내용 114
제5절 패널 활용 122
제6절 복지패널에 주는 시사점 124
제5장 일본 Japan/Keio Household Panel Survey(JHPS/KHPS) 129
제1절 조사 배경 131
제2절 표본 및 가중치 134
제3절 조사 방식 및 관리 140
제4절 조사표의 주요 내용 147
제5절 패널 활용 154
제6절 복지패널에 주는 시사점 159
제6장 대만 Panel Study of Family Dynamics(PSFD) 161
제1절 조사 배경 163
제2절 표본 및 가중치 171
제3절 조사 방식 및 관리 177
제4절 조사표의 주요 내용 180
제5절 패널 활용 187
제6절 복지패널에 주는 시사점 191
제7장 결론 193
제1절 결론 195
제2절 한국복지패널에 주는 시사점 199
참고문헌 203
부록: 복지패널의 분가관리 방안을 위한 추적규칙과 가중값 조정에 대한 연구 209
제1절 패널 표본의 추적규칙 209
제2절 패널의 가중값 부여 방법 212
제3절 결론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