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2016년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Ⅵ) 개요 _ 1
1. 연구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_ 3
가. 연구사업의 배경 _ 3
나. 연구사업의 목적 _ 5
2. 연구사업 내용 및 방법 _ 5
가. 연구사업 내용 _ 5
나. 연구사업 방법 _ 6
3. 보고서의 구성 _ 7
Ⅱ. 협력국 초청연수: SSAGE 워크숍 _ 9
1. 사업배경 및 목적 _ 11
가. 사업배경 _ 11
나. 목적 _ 12
다. 기대효과 _ 13
2. SSAGE 워크숍 개요와 운영방식 _ 13
가. 워크숍의 개요 _ 13
나. 워크숍 추진 과정 _ 17
다. SSAGE 워크숍의 특징 _ 19
3. 강의 및 기관방문 세부내용 _ 20
가. 강의 _ 20
나. 기관방문 _ 30
4. 참석자 발표 세부내용 _ 37
가. [참석자 발표 1] 협력국 여성 경제역량 강화 및 여성인권 정책 _ 37
나. [참석자 발표 2] 국가별 사업제안서 _ 44
5. SSAGE 워크숍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_ 53
가. 참석자 사전-사후 자기평가 결과 _ 53
나. 참석자들의 워크숍 평가 결과 _ 55
다. 향후 SSAGE 워크숍 운영에 대한 시사점 _ 59
6. 현지 여성정책 수요 및 향후 협력 시 고려요소 _ 61
가. 현지 여성정책 수요의 특징 _ 61
나. 향후 젠더분야 개발협력 사업을 위한 시사점 및 고려사항 _ 62
Ⅲ. 아태지역 협력국 및 국제기구 위탁연구 _ 65
1. 사업배경 및 목적 _ 67
가. 협력국 위탁연구 _ 67
나. 국제기구 위탁연구 _ 68
2. 2016년 협력국 및 국제기구 위탁연구 개요와 운영방식 _ 69
가. 2016년 협력국 위탁연구 개요 및 운영방식 _ 69
나. 국제기구와의 위탁연구 개요 및 운영방식 _ 72
3. 협력국 및 국제기구 위탁연구 세부내용 _ 75
가. 협력국 위탁연구 세부내용 _ 75
나. 국제기구 위탁연구 세부내용 _ 96
4. 성과 및 제언 _ 100
Ⅳ. 한국 여성정책 발전경험 사례연구 _ 103
1. 사업배경 및 목적 _ 105
2. 한국 여성정책 발전경험 사례연구 개요 및 운영방식 _ 105
가. 개요 _ 105
나. 운영방식 _ 108
3. 세부내용 _ 109
가. 2016 사례연구 1: 한국의 육아지원정책 _ 109
나. 2016 사례연구 2: 여성정치 역량강화 사업: 성평등 의정모니터링 사례 _ 114
다. 2016 사례연구 3: 성폭력피해자 지원을 위한 한국의 원스톱 서비스: 서울해바라기센터(아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_ 120
4. 시사점 및 제언 _ 125
가. 개도국 적용에의 시사점 _ 125
나. 향후 과제 _ 126
Ⅴ. 젠더와 ODA 포럼 _ 129
1. 사업배경 및 목적 _ 131
2. 젠더와 ODA 포럼 개요와 운영방식 _ 131
3. 세부내용 _ 132
가. 제 21차 젠더와 ODA 포럼 _ 132
나. 제 22차 젠더와 ODA 포럼 _ 133
다. 제 23차 젠더와 ODA 포럼 _ 135
라. 제 24차 젠더와 ODA 포럼 _ 135
4. 성과 및 제언 _ 136
Ⅵ. 6차년도 연구사업의 의의 및 향후 추진방향 _ 139
1. 다차년도 연구사업의 진화과정 및 의의 _ 141
2. 향후 연구사업 추진방향 _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