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전체에서 보는 인천의 수리적 위치는 한반도의 가운데이며, 황해에 접하여 있고 한강의 하류에 위치하여 역사적으로도 많은 의미를 갖는다. 북쪽과 남쪽지방의 중간지대로써 가장 먼저 근대사의 여명을 맞이하게 되어 대륙의 문물이 이곳을 통하여 전국에 전파되었으며, 우리의 문물이 이 고장을 통하여 해외에 나갔으므로 한국 근대사의 산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동북아의 중심도시로서 향후 대한민국이 세계로 뻗어나갈 요충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Contents
제 1 부 일 반 현 황
제1장 인천의 환경
제1절 자연 환경 37
1. 위 치 37
2. 면 적 37
3. 자연환경 39
4. 기 후 40
제2절 사회 환경 42
1. 행정구역 42
2. 인 구 44
3. 토지이용 45
4. 자동차 등록현황 46
제2장 환경행정 현황
제1절 환경행정조직 49
1. 환경행정조직 49
2. 환경녹지국 53
제2절 환경행정인력 56
1. 환경분야 인력 56
제3절 환경분야 예산 57
1. 2015년 환경분야 예산 57
2. 2015년 환경분야 주요투자사업 58
제 2 부 환경관리 기반조성
제1장 녹색성장 추진
제1절 녹색성장 5개년 계획 63
1. 개념적 정의 63
2. 비전 및 추진전략 64
3. 추진계획 65
제2절 녹색기후 클러스터 추진 66
1. 추진배경 66
2. 개념의 정의 66
3. 비전 및 전략 67
4. 추진계획 69
제3절 국제환경 협력 및 교류 74
1. 국제환경 협력 74
2. 인천광역시 국제기구 유치 76
제2장 환경정책 기능과 환경관리 기반 강화
제1절 인천광역시 환경보전종합계획 85
1. 계획수립의 의의 85
2. 계획목표 및 추진체계 86
제2절 환경영향평가 91
1. 제도의 의의 91
2.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91
3. 환경영향평가 협의 및 검토 92
4. 협의내용 이행 및 관리· 감독 93
5. 인천광역시 환경영향평가조례 93
제3절 환경분쟁조정제도 95
1. 제도의 개요 95
2. 환경분쟁조정 종류 및 처리절차 97
제4절 사업장 총량관리제 99
1. 추진배경 99
2. 목표 및 개요 99
3. 전략과제 100
4. 기대효과 101
5. 총 평 101
제3장 환경정책 협력체계 구축
제1절 환경관련 위원회 현황 105
1. 환경정책위원회 105
2. 환경분쟁조정위원회 105
3. 보조금심의위원회 106
4. 지방하천 및 소하천 관리위원회 106
5. 지하수관리위원회 106
6. 하수도설계자문위원회 107
7. 도시공원위원회 107
8. 산지관리위원회 107
9. 녹색성장위원회 108
10. 물이용부담금 자문위원회 108
제2절 인천의제 21 실천협의회 109
1. 개 요 109
2. 인천의제21 실천협의회 추진실적 114
제3절 환경단체와 협력 117
1. 환경단체 현황 117
2. 환경단체 등록요건 121
제 3 부 환 경 보 전 시 책
제1장 대기환경보전
제1절 대기관리 127
1. 대기오염물질의 발생 및 종류 127
2. 개선 대책 135
제2절 자동차 오염 저감대책 143
1. 자동차 오염실태 143
2. 자동차배출가스의 종류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144
3.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대책 145
제3절 생활환경개선 151
1. 악취 관리 151
2. 실내공기질 관리 158
3.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관리 162
4. 수도권대기환경개선 특별대책 추진 165
제2장 수질보전
제1절 수질 일반현황 및 관리대책 169
1. 하천 및 폐수배출업소 현황 169
2. 수질측정망 운영 171
3. 하천 및 도시관류 오염도 현황 173
4. 자연형 하천 조성사업 추진 175
5.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추진 177
6. 폐수배출업소 관리강화 177
7. 하천감시기능 강화 181
8. 오염사고 예방대책 및 대응체계 181
9. 한강수계 수질오염 총량관리 182
제2절 분뇨 및 정화조 관리 184
1. 분뇨· 정화조오니 발생현황 184
2. 분뇨처리 현황 184
3. 분뇨처리 대책 188
4.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 188
제3절 지하수 관리 190
1. 용수의 부족과 지하수 190
2. 지하수 보전· 관리 대책 192
3. 지하수 수질보전 대책 195
4. 약수터 관리현황 196
5. 먹는 샘물 관리 197
제4절 가축분뇨 발생현황 및 대책 199
1. 가축분뇨 발생현황 199
2. 가축분뇨 처리대책 200
제3장 상· 하수도 관리
제1절 상수도 관리 203
1. 상수도 연혁 203
2. 상수도 보급 현황 204
3. 상수도 시설 현황 204
4. 상수도 수질관리 206
5. 재정현황 208
6. 수도요금 현황 209
7. 수돗물 생산 210
8. 수돗물 신뢰도 제고를 위한 홍보활동 전개 210
9. 중· 장기 계획 211
제2절 하수도 관리 212
1. 일반 현황 212
2. 하수관거 시설 현황 214
3. 하수처리장 현황 및 계획 214
4. 하수도 보급률 216
5. 중계펌프장 현황 216
6. 유수지 및 배수펌프장 현황 218
제4장 해양환경보전
제1절 해양환경 현황 221
1. 일반현황 221
2. 해양물리환경 222
3. 인천 앞바다 해양오염 영향인자 223
제2절 해양오염 현황 225
1. 개 황 225
2. 인천연안 해수질 환경 225
3. 해양오염 사고 226
4. 적조 발생 228
제3절 해양환경보전 중· 장기 계획 230
1. 계획의 개요 230
2.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대책 및 관리방안 230
3. 청정한 연안수질 달성을 위한 세부추진전략 232
제4절 해양환경보전 주요 추진대책 234
1. 해양환경 측정망 운영 234
2. 해양오염사고 방지대책 237
3. 육상오염물질 관리 239
4. 갯벌 보전 239
5. 해양 폐기물 관리 241
제5장 생활환경보전
제1절 소음·진동 관리 247
1. 일반현황 247
2. 소음 저감대책 249
3. 진동 저감대책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