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와 협력을 위한 구상을 체계적으로 세워나가기 위해 시작한 JPI정책포럼이 JPI 정책포럼 시리즈로 단행본을 출간했다. 2013년 한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동아시아의 안보와 협력’, ‘안보와 협력을 위한 새로운 사고’라는 세 가지 대주제 아래 각계 전문가들의 논의와 분석을 모아 엮은『2013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을 위한 구상』이다. 국내 유수 전문가들의 지식과 지혜를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Contents
1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북한 3차 핵실험 후 중국의 대응과 북중관계: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북정책은 진화하고 있는가 12
이춘복
최근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 논의 동향:
유엔 북한 인권 조사위원회(COI)를 중심으로 26
조정현
북한 군사력의 평가와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50
이정우
2부 동아시아의 안보와 협력
일본의 대외전략을 다시 묻다:
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한중일 트라이앵글 속의 한국 70
서승원
3기 푸틴 정부의 동아시아 정책:
결정요인, 평가, 전망 90
제성훈
북한 핵 문제와 동북아 공조방안 106
진행남
세계 군축비확산 동향과 동아시아의 과제 132
고봉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의 의제 및 추진 전략 152
진행남
아시아 지역의 인권 상황과 한국 인권 외교의 방향 172
서창록
한일관계의 구조변화와 일본의 ‘국가보수주의’ 186
신정화
후쿠시마 원전사태 이후
일본 에너지 정책과 국내 정치의 변화 208
경제희
한 ? 중 ? 일 3국 협력의 전망과 과제:
일본 아베 신내각 출범을 계기로 222
배긍찬
3부 안보와 협력을 위한 새로운 사고
사회과학 관련 싱크탱크의 역할:
무엇이 싱크탱크를 강하게 하는가? 238
이성우
중견국의 소프트파워 증진 방안:
한국의 공공외교를 중심으로 258
진행남
북한 핵무기의 위협과 대처방안:
핵억지, 선제공격, 비핵화, 비핵지대 284
한인택
전략문화 이론의 소개와 북한에 대한 적용:
최근 상황과 관련한 시사점 310
황일도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본질, 현상 그리고 전망:
게임이론을 통해 본 북한 핵 문제 328
이성우
한반도 평화공원: 비전과 과제 356
김성일
신기후체제협상과 한국의 이니셔티브 366
신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