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의미와 필요성
나. 2011년 여성가족패널조사의 목적
2. 과년도 연구내용 요약
가. 2006년 주요 연구내용
나. 2007년 주요 연구내용
다. 2008년 주요 연구내용
라. 2009년 주요 연구내용
마. 2010년 주요 연구내용
3. 연구방법
Ⅱ. 여성가족패널조사 2011년 연구 리뷰
1. 2011년 주요 연구내용 요약
2. 3차 웨이브 조사 완료와 자료 검증
가. 3차 웨이브 조사 일정
나. 3차 웨이브 자료검증 및 에러 처리 과정
다. 자료 공개 계획
3. 4차 웨이브 여성건강관련 설문문항 개발
가. 여성건강 설문 추가의 필요성
나. 선행 국내의 건강관련 조사 설문무항 비교분석
다. 외부 자문을 통한 설문 문항 수정
라. "여성과 건강" 섹션 설문지 초안
4. 중간필드윅(interim fieldwork) 실시
가. 중간필드윅(interim fieldwork)의 목적
나. 조사대상 및 조사내용
다. 조사방법 및 조사일정
라. 조사결과
5. 해외 패널조사와의 교류협력 강화
가. 호주 여성건강해널조사(ALSWH)와 MOU추진
나. 미국 HRS 데이터 관리 및 실사 관리 시스템 학습
6. 통계청 국가승인통계 분석표 제공
가. 제공 일정
나. 서비스 개요
Ⅲ. 여성가족패널조사 3차 웨이브 조사결과 개관
1. 조사대상
가. 가구
나. 개인
다. 추적원칙
2. 조사결과
가. 가구
나. 개인
다. 삭제가구 및 조사 비성공 가구
라. 원표본 유지율
Ⅳ. 3차 웨이브 조사자료 기초분석
1. 가구 특성
가. 가구구성
나. 가구주 특성
다. 와병 및 결혼이민 가구원이 있는 가구
라. 주거 상태
마. 가구소득 및 소비(저축)
바. 가구자산 및 부채
2. 여성과 가족
가.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징
나. 미혼여성
다. 결혼과 부부생활
라. 가사노동
마. 이혼
바. 임신과 자녀계획
사. 자녀 돌봄과 교육
아. 성인자녀와의 관계
자. 부모와 관계
차. 가족관련 가치관
카. 건강
3. 여성과 일
가. 취업자의 일반적 특성과 업ㆍ직종
나. 임금근로자
다. 비임금근로자
라. 일자리 만족도
마. 비취업자
바. 교육훈련
사. 일ㆍ가족 양립
아. 직장 내 차별과 모성보호제도 수혜 경험
4. 신규 가구 및 개인
가. 신규 가구의 일반적 특성
나. 신규 가구의 소득과 소비
다. 신규 개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라. 신규 개인 응답자의 결혼생활
마. 신규 개인 응답자의 일자리 경험
Ⅴ. 3차 웨이브 가중치 작성의 주요 쟁점들
1. 2차 웨이브 가중치 작성과정
가. 가중치의 중류
나. 종단면가중치 산정방안
다. 비표본가구원과 가구횡단면가중치 산정방안
라. 2차 웨이브 가중치의 구체적 작업 과정
2. 2차 웨이브 가중치 작성결과
가. 2차 웨이브 종단면기록개인가중치
나. 2차 웨이브 종단면응답개인가중치
다. 2차 웨이브 횡단면기록개인가중치
라. 2차 웨이브 횡단면응답개인가중치
마. 2차 웨이브 횡단면가구가중치
바. 사후층화 정보
3. 3차 웨이브 가중치 작성의 주요 쟁점
가. 응답률 모형
나. 모집단 층화변수
다. 가중치 절삭(trimming)
라. 웨이크 무응답
마. 기타 세부 이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