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일자리창출 사업
제1절 일자리창출 사업의 소개
1. 일자리창출 사업의 개념 정의
2. 일자리창출 사업이 필요한 이유
제2절 OECD 노동시장 정책
1. OECD 노동정책의 개념 및 분류
2. 정책수단에 따른 분류
3. OECD 국가들의 노동시장정책 현황
제3절 우리나라 일자리창출 사업의 분류
1. 일자리창출 사업의 분류기준
2. 정책목표 대상별 분류
3. 정책수단별 분류
4. 수혜집단별 분류
제3장 공공근로
제1절 공공근로의 소개
1. 공공근로의 목적과 정의
2. 공공근로의 체계 및 운영
제2절 OECD 국가의 직접적 일자리창출
1. OECD 직접적 일자리창출의 개요
2. 아일랜드의 직접적 일자리창출
제3절 공공근로 사업의 평가방법 사례
1. 노동연구원의 공공근로 평가방법
2. 노동연구원 성과방법의 한계점
제4장 직업훈련
제1절 직업훈련의 소개
1. 직업훈련의 정의
2. 직업훈련의 체계
제2절 OECD 국가의 직업훈련
1. OECD 직업훈련의 개요
2. 핀란드의 직업훈련 정책
제3절 직업훈련기관의 평가방법 사례
1. EU의 직업훈련기관 평가기준
2. 노동연구원의 직업훈련기관 평가기준
3. 고용노동부의 직업훈련 평가방법
제5장 고용서비스
제1절 고용서비스의 소개
1. 고용서비스의 정의
2. 중앙정부의 고용서비스
3. 지방자치단체의 고용서비스
4. 고용서비스 전달기관
제2절 OECD 국가의 고용서비스
1. OECD 고용서비스의 개요
2. 네덜란드의 고용서비스 현황
제3절 고용서비스기관의 평가방법 사례
1. 호주의 민간 고용서비스기관 평가방법
2. 영국의 민간 고용서비스기관 평가방법
3. 고용노동부의 고용지원센터 평가방법
제6장 일자리창출 사업의 관리방안
제1절 서울시 일자리창출 사업
1. 서울시 일자리창출 사업의 현황
제2절 서울시 공공근로 관리방안
1. 서울시 공공근로 현황
2. 서울시 공공근로 성과평가 방법(안)
제3절 서울시 직업훈련 관리방안
1. 서울시 직업훈련 현황
2. 서울시 직업훈련기관 성과평가 방법(안)
제4절 서울시 고용서비스 관리방안
1. 서울시 일자리플러스센터 현황
2. 서울시 일자리플러스센터 성과평가 방법(안)
제5절 서울시 일자리창출 사업 통합관리 방안
1. 서울시 2010년도 신 고용정책
2. 서울시 일자리창출 사업 통합관리 방법(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