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에 대한 교양서로서 2007년에 출간되었던 것을 보완한 제2증보판이다. 법과대학은 ‘법학전문대학원(소위 한국형 Law School)’ 체제로 바뀌는 현실을 반영하여 대학지성인 누구라도 법학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6법을 중심으로 노동현장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노동법관계법(즉 개별노동관계법과 집단노동관계법 및 사회보장법 등 포함)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또한 국가경제의 차원에서 규율되는 경제법과 무체재산권에 관한 것으로서 지적재산권법(특허법, 디자인보호법, 상표법, 저작권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법과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등)을 추가하고, 덧붙여 기타 법률로서 국제법과 국제거래법 등에 대하여도 개괄적으로 그 중요한 것을 기술하였다.
Contents
제2증보판을 내면서
프롤로그
제1편 總論
제1장 法과 社會生活
제1절 法의 槪念
Ⅰ. 법과 사회
Ⅱ. 법의 특성
제2절 法과 다른 社會規範
Ⅰ. 법과 도덕
Ⅱ. 법과 종교
Ⅲ. 법과 관습
Ⅳ. 법의 존립근거
제4장 法의 適用과 解釋
제1절 法의 適用
Ⅰ. 사실확정과 법의 적용
Ⅱ. 증거
Ⅲ. 추정과 의제
Ⅳ. 재판
제2절 法의 解釋
Ⅰ. 법해석의 의의
Ⅱ. 법해석의 종류
Ⅲ. 법해석과 자유법론
제5장 權利와 義務
제1절 法律關係와 權利?義務
Ⅰ. 법률관계와 권리?의무관계
Ⅱ. 권리의 본질
Ⅲ. 권리의 개념
Ⅳ. 권리의 종류
Ⅴ. 의무의 종류
제2절 法과 國家
Ⅰ. 법과 국가관계
Ⅱ. 국가의 구성
Ⅲ. 국가의 형태
Ⅳ. 국가의 기능
제2편 各論
제1장 憲法
제1절 憲法의 槪念
Ⅰ. 헌법의 의의
Ⅱ. 헌법의 분류
제2절 大韓民國憲法
Ⅰ. 헌법제정의 경과
Ⅱ. 헌법의 기본원칙
제3절 國民의 權利와 義務
Ⅰ. 국민의 개념
Ⅱ. 국민의 권리
Ⅲ. 국민의 권리침해의 구제
Ⅳ. 국민의 의무
Ⅴ. 국민의 권리?의무에 대한 예외
Ⅵ. 정당제도
제4절 統治機構
제1관 國會
Ⅰ. 서설
Ⅱ. 국회의 구성
Ⅲ. 국회의 권한
Ⅳ. 회의 및 위원회
제2관 政府
Ⅰ. 대통령
Ⅱ. 행정부
제3관 法院
Ⅰ. 서설
Ⅱ. 법원의 조직
Ⅲ. 법원의 독립성
Ⅳ. 법원의 명령심사권
Ⅴ. 공개재판의 원칙
Ⅵ. 기타
제5절 經濟條項 및 憲法改正
Ⅰ. 경제조항
Ⅱ. 헌법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