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1월 1일 파리의 에펠탑 아래에서 바로 옆의 ‘낯선’ 여인이 권하던 샴페인을 얻어 마시며 군중 속에서 환호하던 나는,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에 다가올 아시아의 변화와 미래를 상상조차 못했었다. 20여 년이 지난 지금, 21세기의 아시아는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 부상하면서 과거의 20세기와는 다른 ‘지역’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등장한 ‘새로운 아시아’의 교류가 계속 늘어나면서, 지역 내, 소지역 간의 ‘존재의 상호 연관성’도 커지고 있다. 그래서 전통적인 제국의 오만한 ‘문명적’ 시선과 서구 중심의 ‘이방인적’ 시선을 넘어, 덜 치우친 ‘아시아의 눈’으로 ‘아시아’를 ‘있었던 혹은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시도와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Contents
서문 ‘무상(無常)’한 ‘지역변동’과 ‘무아(無我)’의 ‘지역상상’(윤대영)
제1장 문명대전환기 지구지역학의 가능성을 찾아서: 한반도의 네 차례 전환기(백영서)
제2장 스와데시 신드롬, 20세기 인도와 상상의 조국(이옥순)
제3장 석유 시대의 개막과 중동의 세계사적 등장(유달승)
제4장 소연방과 중앙아시아: 지역 정체성과 결정화, 그 역사적 수렴과 발산(정세진)
제5장 20세기 초 동아시아 연대의 ‘빛’과 ‘그림자’: 베트남 독립운동가들의 해외 활동과 자민족중심주의(윤대영)
제6장 대동아공영권 경험과 식민주의 망각(홍종욱)
제7장 일대일로와 문명론적 지정학(백지운)
제8장 21세기 아시아의 한국발(發) 청사진: 이니셔티브에서 신남/북방 전략까지(이정훈)
찾아보기
Author
백영서,이옥순,유달승,정세진,윤대영,홍종욱,백지운,이정훈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 후 서울대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 교수를 거쳐 연세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思想東亞: 朝鮮半島視角的歷史與實踐》,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사회인문학의 길》, 《橫觀東亞》, 《共生への道と核心現場》,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1949·1989》,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 후 서울대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 교수를 거쳐 연세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思想東亞: 朝鮮半島視角的歷史與實踐》,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사회인문학의 길》, 《橫觀東亞》, 《共生への道と核心現場》,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1949·1989》,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