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하근기의 도로써 마음을 닦는 방법의 실제
[1] 내생을 구하는 마음 일으키기
{1} 죽음을 떠올려 이생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사유하기
{1}-〈1〉 죽음의 무상함을 관하지 않는 허물
{1}-〈2〉 죽음의 무상관을 닦는 이익
{1}-〈3〉 가져야 할 죽음의 두려움
{1}-〈4〉 죽음의 무상함을 사유하는 방법
〈4〉-1. 첫 번째 근본 사유: 나는 반드시 죽는다
1-가. 죽음은 어떤 것으로도 막을 수 없다
1-나. 명은 늘지 않고 끊임없이 줄어가므로 반드시 죽게 된다
1-다. 살아 있는 동안에도 법을 행할 시간이 없이 죽게 된다
〈4〉-2. 두 번째 근본 사유: 죽음이 언제 찾아올지 알 수 없다
2-가. 남섬부주 인간의 수명이 정해지지 않음
2-나. 죽음의 조건이 많고 삶의 조건이 적음
2-다. 몸이 유약하여 언제 죽을지 모르는 일
〈4〉-3. 세 번째 근본 사유: 죽을 때는 법 이외에 어떤 것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2} 내생에 태어날 선취의 행복과 악도의 고통을 사유하기
{2}-〈1〉악도의 고통을 사유하기
〈1〉-1. 지옥의 고통
1-가. 중생대지옥
1-나. 근변지옥
1-다. 한랭지옥
1-라. 독일지옥
〈1〉-2. 축생의 고통
〈1〉-3. 아귀의 고통
〈2〉 선취의 행복 사유하기
[2] 내생에서의 행복을 이루는 방편
[2]-{1} 불도로 들어가는 문 삼귀의
{1}-〈1〉 귀의의 원인
{1}-〈2〉 귀의처
{1}-〈3〉 귀의의 과정
〈3〉-1. 삼보의 덕을 아는 것
〈3〉-2. 삼보 각각의 차이를 아는 것
〈3〉-3. 삼보를 귀의처로 받아들이는 것
〈3〉-4. 다른 대상을 귀의처라 하지 않고 오직 삼보에 귀의하는 것
〈4〉 귀의에 따른 행(行)
〈4〉-1. 섭결택분의 가르침
〈4〉-2. 선지식의 전승에서 비롯된 가르침
2-가. 개별적 실천
가-1) 하지 않아야 할 것
가-2) 해야 할 것
2-나. 보편적 실천
{2} 모든 행복의 근원인 인과를 믿는 신심 일으키기
{2}-〈1〉 인과의 보편적 사유
〈1〉-1. 보편적 사유의 실제: 인과의 보편적 특징
〈1〉-2. 선업과 불선업에 대한 사유: 선과 불선의 개별적 특징
2-가. 주된 열 가지 업도(十業道)
2-나. 업과 과보
나-1) 악업과 그 과보
1)-가) 불선의 업도(악업도)
1)-나) 경중의 차이
나)-(1) 열 가지 업도의 경중
나)-(2) 그밖에 업력이 큰 경우
1)- 다) 악업의 과보
나-2)-선업과 그 과보를 사유하기
2)-(1) 선업
2)-(2) 선업의 과보
나-3) 기타 업의 분류
3)-가) 인업과 만업
3)-나) 정수업과 부정수업
{2}-〈2〉 인과에 대한 특별한 사유
〈2〉-1. 이숙의 공덕
〈2〉-2. 이숙의 결과
〈2〉-3. 이숙의 원인
{2}-〈3〉 인과의 사유에 따른 실천
〈3〉-1. 개요
〈3〉-2. 사력(四力)으로 업을 정화하는 법
Ⅱ. 하근기 의요가 일어난 경계
Ⅲ. 하근기 도에 대한 사견의 차단
중근기(中根器)의 도
Ⅰ. 중근기 의요 수행의 실제
Ⅰ-[1] 중근기 의요: 해탈을 희구하는 마음
Ⅰ-[2] 중근기 의요를 일으키는 방법
[2]-{1} 고(苦).집(集)을 통한 사유
{1}-〈1〉 고제: 윤회의 해악
〈1〉-1. 사제에서 고제를 가장 먼저 설하신 뜻은 무엇인가
〈1〉-2, 고통관의 실제
2-가. 윤회의 보편적 고통의 사유
나-1) 팔고
나-2) 육고
나-3) 삼고
2-나. 육도 윤회의 개별적 고통
{1}-〈2〉 집제를 통해 윤회하는 과정 사유하기
〈2〉-1. 번뇌가 생기는 이치
1-가. 번뇌란 무엇인가
1-나. 번뇌가 생기는 과정
1-다. 번뇌의 원인
1-라. 번뇌의 해악
〈2〉-2. 번뇌가 업을 쌓는 과정
2-가. 쌓게 되는 업은 무엇인가
2-나. 어떻게 업을 쌓게 되는가
〈2〉-3. 죽음과 생을 받는 방식
3-가. 죽음의 원인
3-나. 죽음의 마음
3-다. 몸의 온기가 사라지는 순서
3-라. 죽음 후에 중음의 형성
3-마. 중음 후에 생유(生有)에서 생을 받는 방식
[1]-{2} 십이연기를 통한 사유
{2}-〈1〉 십이지(十二枝)
{2}-〈2〉 십이지의 네 범주
{2}-〈3〉 몇 생이 소요되는가
{2}-〈4〉 요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