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과 행위 2

사회심리 서론|행위로 만들어지는 인간 본성 : 습관과 충동
$21.60
SKU
979119560345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7/15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91195603459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존 듀이의 인간 경험과 인간 마음
-행위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인간 본성!


듀이에 따르면, 모든 것은 자연 속에서 일어나는 저마다 고유한 사건들이다. 사건들은 특유하고 독특하다. 모든 사건이 우주에서 치뤄지는 의식rites과 의례ceremonies이다. 어떤 사건이든 전 우주를 반영하며, 그 사건 하나하나는 도저히 소홀히 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이다. 소홀히 할 수 없는 경험인 만큼 어떤 일반화된 범주에 따라 서로 같은 것으로 분류될 수 없는 유니크한 경험이다. 프래그머티즘의 경험은 단순히 감각 경험에 그치지 않는다. 그 경험이란 의식을 가진 생명체가 외부와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이다. 그 경험은 자연 속 사물이기도 하고 인물이기도 하며 역사이기도 하고 또 문화이기도 하다.

존 듀이에게 인간 경험이란 모두 자연 속 경험일 따름이다. 그 경험이 습관을 형성한다. 듀이에 따르면, “우리가 곧 습관이다. 습관은 자아를 구성한다”(『인간 본성과 행위 Ⅰ』, 35쪽). 또 “의지란 구체적으로 습관을 의미하고, 습관은 그 안에 어떤 환경을 통합”한다(같은 책, 64쪽). 그렇다면 차별의식이란 차별이 일상화된 환경으로서 계급사회를 반영한 습관이다. 차별이 본래부터 있었던 것이 아닌 만큼 차별의식이란 태어나면서부터 인간이 갖고 있었던 것이 아니다. 차별의식이란 곧 사유습관이다. 듀이는 주장한다. “인간은 습관의 창조물로서, 이성의 창조물도 아니며, 그렇다고 본능의 창조물인 것도 아니다”(같은 책, 148쪽).

존 듀이가 주목하는 것은 인간 마음이다. 인간 마음은 본래부터 인간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다. 인간 마음이란 인간이 어떤 사회에서 살고 있느냐를 반영한다. 그래서 인간 마음은 이 책의 부제로 내걸린 ‘사회심리social psychology’이기도 하다. ‘사회심리’란 ‘사회 조건을 반영하는 마음’이다. 수천 년의 인류역사 속에 만연했었고 지금도 기승을 부리는 차별의식은 계급사회를 반영하는 마음이다
Contents
『인간 본성과 행위 Ⅱ』을 펴내며 5

3장 행위과정에서 지성의 역할

14. 습관과 지성
15. 사유 심리
16. 숙고의 본성
17. 숙고와 계산
18. 좋음의 유니크함
19. 목적의 본성
20. 원리의 본성
21. 욕구와 지성
22. 미래와 현재

4장 결론: 도덕은 사회적이다

23. 행위의 좋음
24. 인문적 도덕
25. 무엇이 자유인가?
26. 도덕은 사회적이다

질성적 사유

찾아보기
Author
존 듀이,최용철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운동가로서 기능심리학을 주창하였으며 미국의 학교 제도에 막대한 영향을 준 진보주의를 이끈 대표적 인물이다. 존 듀이는 미국 버몬트 주 버링톤에서 태어났으며 1879년 버몬트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철학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1884년 그곳에서 헤겔의 순수 이성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졸업 후 조지 실버스터 모리스의 도움으로 미시건 대학교의 교수진으로 임용되었다.

1894년 시카고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자신의 지식에 대한 경험주의적 신념과 학교 제도에 대한 실용주의적 주장을 펼쳤으며 시카고 대학에 재직하는 동안 존 듀이는 네개의 주요한 저작을 발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시카고 실험 학교를 창립하여 자신의 주장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장을 만들었다. 이 기간에 발표된 그의 주요 저작은 1903년 『논리이론에 대한 연구(Studies in Logical Theory)』라는 제목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이후 콜럼비아 대학교로 이직하였으며 이 후 평생동안 이 대학의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운동가로서 기능심리학을 주창하였으며 미국의 학교 제도에 막대한 영향을 준 진보주의를 이끈 대표적 인물이다. 존 듀이는 미국 버몬트 주 버링톤에서 태어났으며 1879년 버몬트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철학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1884년 그곳에서 헤겔의 순수 이성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졸업 후 조지 실버스터 모리스의 도움으로 미시건 대학교의 교수진으로 임용되었다.

1894년 시카고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자신의 지식에 대한 경험주의적 신념과 학교 제도에 대한 실용주의적 주장을 펼쳤으며 시카고 대학에 재직하는 동안 존 듀이는 네개의 주요한 저작을 발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시카고 실험 학교를 창립하여 자신의 주장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장을 만들었다. 이 기간에 발표된 그의 주요 저작은 1903년 『논리이론에 대한 연구(Studies in Logical Theory)』라는 제목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이후 콜럼비아 대학교로 이직하였으며 이 후 평생동안 이 대학의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