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2

노작과 『백조』 문학 연구
$31.05
SKU
979119208568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31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92085685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나는 왕이로소이다」의 시인이자, 시·소설·희곡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한국 근대 낭만주의 문학을 이끌었던 노작 홍사용(1900~1947)의 “정본” 전집(전2권) 마침내 출간!

제1권은 홍사용의 전 작품을 집대성한 작품집으로, 시 36편, 소설 6편, 산문 13편, 희곡 4편, 평론 2편, 기타 3편 등 64편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생애 연보 및 화보, 작품 연보, 노작 문학 해설, 노작에 대한 근현대 비평/기사/연구 목록 등에 이르기까지, 총 760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다. 무엇보다 국내 최초로 그의 육필 시조집인 『청구가곡』 완역본을 수록한 것은 그야말로 ‘정본’이라는 이름에 값하는 귀한 성취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제2권은 이제까지의 홍사용 문학 연구를 한 권으로 정리한 연구서로서, 초기의 노작 연구부터 현재까지의 학술적 성과를 망라한 ‘홍사용 연구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다. ‘낭만과 저항’으로 상징되는 그의 문학을 재조명하고 그 다층적 성격과 문화정치의 면면을 살펴보며, 나아가 1920년대 한국근대문학장의 형성과 『백조』 문학 연구까지 아우른다. 노작 홍사용의 문학을 그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작품들의 갈래 및 문학장의 양상과 함께 살펴본 것이다.

(※공교롭게도 한국 근대문학의 요람이었던 문예동인지 『백조』의 창간 100주년을 맞은 시기에 발간되어 그 의미가 더욱 남다르다.)
Contents
서문: 노작과 한국문학 100년 _박수연

제1부 노작 연구의 시작

01 홍사용 문학과 주체의 각성 _최원식
02 『청구가곡』과 홍사용 _임기중

제2부 낭만과 저항: 노작 문학 재조명

03 홍사용의 매체 운용과 문학 기획으로서 시 _정우택
04 홍사용 시의 ‘눈물’과 시적 실천으로서의 민요시 _송현지
05 홍사용 소설의 낭만적 정치성: 시(극)적 전략 _허희
06 내면의 발견과 배경으로서의 고향: 『백조』 시기 홍사용 문학에 나타난 고향을 중심으로 _윤지영

제3부 노작 문학의 다층적 성격과 문화정치

07 노래의 기억과 영원의 귀향 _박수연
08 홍사용과 구술문화 전통의 의미 _구인모
09 노작 홍사용의 연극 세계 _윤진현
10 시인 홍사용 희곡의 메나리적 요소 _손필영

제4부 1920년대 한국근대문학장의 형성과 『백조』의 위치

11 『백조』의 양면성: 근대문학의 건축/탈건축 _최원식
12 3·1운동과 동인지 세대 _권보드래
13 『백조』, 왕복 승차권 _최가은
14 키워드를 통해 보는 근대 잡지의 문예사조적 특성: 『백조』와 낭만주의를 중심으로 _도재학
15 동인지 『문우(文友)』와 다점적 혼종의 문학 _이경돈
Author
최원식,박수연,최원식,박수연,노지영,허민,노작홍사용문학관
1949년 인천에서 출생. 197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 인천문화재단 대표이사,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역임하고 현재 인하대 명예교수로 있다. 평론집 『민족문학의 논리』 『생산적 대화를 위하여』 『문학의 귀환』 『문학과 진보』, 연구서 『한국근대소설사론』 『제국 이후의 동아시아』 『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 『문학』 등이 있다.
1949년 인천에서 출생. 197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 인천문화재단 대표이사,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역임하고 현재 인하대 명예교수로 있다. 평론집 『민족문학의 논리』 『생산적 대화를 위하여』 『문학의 귀환』 『문학과 진보』, 연구서 『한국근대소설사론』 『제국 이후의 동아시아』 『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 『문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