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읽는 열하일기 2

변화하는 시대를 읽은 자, 연암 박지원의 청나라 여행기
$16.68
SKU
97911908939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9/10
Pages/Weight/Size 153*225*14mm
ISBN 9791190893916
Categories 인문 > 독서/비평
Description
단번에 이해하고 끝까지 읽는다!
시대를 벗어난 내용의 과감한 생략,
한글세대를 위한 새로운 편집으로 만나는 『열하일기』


연암 박지원의 역작 『열하일기』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폭넓은 인문·역사·지리·과학 지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따로 떼어 각주로 붙이면 시선이 끊임없이 이동해 책의 본뜻에 집중하기 어렵다. 이에 『쉽게 읽는 열하일기』는 박지원 친필본의 실제를 가늠할 수 있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열하일기』(이가원 역주)를 바탕으로 하되, 무수한 배경지식을 바로 흡수하며 막힘없이 읽어 내려가도록 부가 설명을 모두 간주間註로 넣었다.

박지원이 체험한 청나라의 풍경과 문물, 그가 풀어내는 온갖 옛이야기, 유명 인물·주요 지역과 건물에 얽힌 내력에 대한 이해를 돕는 사진과 고전의 맛을 살리는 세밀화 230여 컷도 삽입했다. 오늘날 한글세대 독자가 꼭 알아 두지 않아도 될 법한 중국의 낯선 도시와 산물에 관한 한자와 세세한 이미지는 제외했다. 그리하여 우물 안 조선을 뒤흔든 날카로운 통찰과 웅대한 비전을 담은 박지원의 사상, 그리고 그가 이 책을 집필하던 시기의 조선과 동아시아를 이해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Contents
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막북행정록 서漠北行程錄序 │ 8월 5일 신해辛亥 │ 8월 6일 임자壬子 │ 8월 7일 계축癸丑 │ 8월 8일 갑인甲寅 │ 8월 9일 을묘乙卯

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
8월 9일 을묘乙卯 │ 8월 10일 병진丙辰 │ 8월 11일 정사丁巳 │ 8월 12일 무오戊午 │ 8월 13일 기미己未 │ 8월 14일 경신庚申

환연도중록還燕道中錄
8월 15일 신유辛酉 │ 8월 16일 임술壬戌 │ 8월 17일 계해癸亥 │ 8월 18일 갑자甲子 │ 8월 19일 을축乙丑 │ 8월 20일 병인丙寅 │ 옥갑야화玉匣夜話 │ 허생전許生傳 │ 허생 뒷이야기[許生後識] Ⅰ │ 허생 뒷이야기[許生後識] Ⅱ
Author
박지원,한국고전번역원,김흥식
호는 연암이며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다.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배우고 실천하려고 하였던 북학 운동의 선두 주자였으며 많은 문장을 후세에 남긴 작가이기도 하다. 서울에서 출생하여 자랐으며,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박필균(朴弼均)이고, 아버지는 박사유(朴師愈)이며, 어머니는 함평 이씨이다. 아버지가 벼슬 없는 선비로 지냈기 때문에 할아버지 박필균이 양육하였다. 1765년 처음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이후로는 과거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학문과 저술에만 전념하였다. 박제가(朴齊家), 이서구(李書九), 서상수(徐常修), 유득공(柳得恭), 유금(柳琴) 등과 학문적으로 깊은 교유를 가졌다. 홍대용(洪大容), 이덕무(李德懋), 정철조(鄭喆祚) 등과 ‘이용후생에 대해 자주 토론하였다. 생활이 어려워지고 파벌 싸움의 여파까지 겹쳐 황해도 금천의 연암협으로 은거하였다. 1780년(정조 4년) 친척인 박명원(朴明源)이 사신으로 북경에 가게 되자 수행원이 되어 6월부터 10월까지 북경과 열하를 여행하고 돌아왔다. 이때의 견문을 정리해 쓴 책이『열하일기(熱河日記)』이다. 저서로는『열하일기(熱河日記)』, 작품으로는「허생전(許生傳)」,「민옹전(閔翁傳)」,「광문자전(廣文者傳)」,「양반전(兩班傳)」,「역학대도전(易學大盜傳)」,「봉산학자전(鳳山學者傳)」등이 있다.
호는 연암이며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다.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배우고 실천하려고 하였던 북학 운동의 선두 주자였으며 많은 문장을 후세에 남긴 작가이기도 하다. 서울에서 출생하여 자랐으며,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박필균(朴弼均)이고, 아버지는 박사유(朴師愈)이며, 어머니는 함평 이씨이다. 아버지가 벼슬 없는 선비로 지냈기 때문에 할아버지 박필균이 양육하였다. 1765년 처음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이후로는 과거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학문과 저술에만 전념하였다. 박제가(朴齊家), 이서구(李書九), 서상수(徐常修), 유득공(柳得恭), 유금(柳琴) 등과 학문적으로 깊은 교유를 가졌다. 홍대용(洪大容), 이덕무(李德懋), 정철조(鄭喆祚) 등과 ‘이용후생에 대해 자주 토론하였다. 생활이 어려워지고 파벌 싸움의 여파까지 겹쳐 황해도 금천의 연암협으로 은거하였다. 1780년(정조 4년) 친척인 박명원(朴明源)이 사신으로 북경에 가게 되자 수행원이 되어 6월부터 10월까지 북경과 열하를 여행하고 돌아왔다. 이때의 견문을 정리해 쓴 책이『열하일기(熱河日記)』이다. 저서로는『열하일기(熱河日記)』, 작품으로는「허생전(許生傳)」,「민옹전(閔翁傳)」,「광문자전(廣文者傳)」,「양반전(兩班傳)」,「역학대도전(易學大盜傳)」,「봉산학자전(鳳山學者傳)」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