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 이론가로서 레닌에 비견되고,
군사 전략가로서 트로츠키를 넘어서며,
권력 기술자로서 스탈린을 능가하는 혁명가의 또 다른 이념형
대장정이 시작된 지 2개월이 채 못 된 1934년 11월 말, 중국 남부를 흐르는 샹강에서 오합지졸 홍군은 국민당군에 완패했다. 8만 6천의 병력 중 3분의 2를 한순간에 잃은 뒤 붉은 전사들은 뚜렷한 목적지도, 원대한 계획도 없이 중국 내륙으로 허겁지겁 쫓겨 들어갔다. 엄청난 재앙을 만나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진 중국공산당에게는 이제 마지막 선택지만이 남아 있었다. ‘고집불통 마오쩌둥을 따를 것인가 말 것인가.’ 마오는 절멸의 위기 속에서 권력을 움켜쥐었다. 그리고 죽을 때까지 놓지 않았다.
마오쩌둥은 다면적인 ‘혁명가’이다. 그는 마르크스주의를 중국의 당대 상황과 실정에 맞춰 변화시킨 ‘혁명 이론가’이자, 유격전과 기동전을 적재적소에 활용함으로써 수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월등한 적을 패퇴시킨 탁월한 ‘군사 전략가’였으며, 권력을 잡은 뒤에는 스스로 진정한 영웅이라 자부하고 진시황의 계승자라 자임한 무소불위의 ‘절대 권력자’였다.
혁명가 마오는 뛰어난 현실 감각과 투철한 이상 추구 사이에서 스스로 모순이 되었다. 그는 계급 없는 유토피아를 꿈꾸는 붉은 황제가 되었다. 그 결과 인류의 4분의 1은 단숨에 중세적 노예에서 근대적 주체로 일어섰지만, 다시 역사상 최악의 기근으로 내몰렸고, 급진적 문화혁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려들었다. 20세기의 정치 지형을 뒤흔든 지도자, 혁명에 몸을 던진 투사이자 혁명의 이상에 갇힌 수인, 마오쩌둥은 바로 현재 중국의 역사이다.
Contents
11장 옌안의 붉은 별 1937년~1946년
“전쟁에서 결정적 요소는 무기가 아니라 사람이다.”
12장 새로운 중국의 탄생 1946년 여름~1953년 가을
“우리의 하늘은 중국의 인민대중이다.”
13장 백화운동와 대약진운동 1953년~1960년
“백 가지 꽃이 피어나고 백 가지 생각이 서로 다투게 하라.”
14장 불멸의 혁명을 위하여 1961년~1964년
“농민은 자유를 원하지만 우리는 사회주의를 원한다.”
15장 ‘문화 없는’ 문화대혁명 1965년~1968년
“조반유리, 모든 반란에는 이유가 있다.”
16장 물러선 거인 1969년~1976년
“새 중국 건설과 문화혁명, 이것이 내가 한 두 가지 일이다.”
에필로그
마오의 유산
개정판 후기
1 _ 현대 중국 정치와 마오쩌둥 딜레마
2 _ 서방 연구자들의 마오쩌둥 평가
주석
주요 인물
마오쩌둥 연보
찾아보기
Author
필립 쇼트,양현수
영국의 저널리스트, 작가. 1945년 영국의 브리스틀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 퀸스칼리지에서 수학했으며, 30년 동안 BBC의 특파원으로서 워싱턴, 모스크바, 파리, 도쿄, 베이징에서 일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중국에서 거주하며 일했고,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중국을 방문하며 대작『마오쩌둥』을 집필했다. 이 책의 초판(1999)은 평단으로부터 마오쩌둥 전기의 ‘결정판’이라는 호평을 받았지만, 쇼트는 더욱더 완벽을 기하기 위해 새롭게 입수한 자료들을 참고하고 기존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여, 20년 만에 전면개정판을 완성했다. 쇼트의 탁월한 필력이 돋보이는 또 다른 전기로는, 프랑스 전직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을 다룬『미테랑: 모호성의 전형』(2013)과 캄보디아 공산주의 지도자 폴 포트의 삶을 해부한『폴 포트: 악몽의 역사』(2004)가 있다.
영국의 저널리스트, 작가. 1945년 영국의 브리스틀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 퀸스칼리지에서 수학했으며, 30년 동안 BBC의 특파원으로서 워싱턴, 모스크바, 파리, 도쿄, 베이징에서 일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중국에서 거주하며 일했고,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중국을 방문하며 대작『마오쩌둥』을 집필했다. 이 책의 초판(1999)은 평단으로부터 마오쩌둥 전기의 ‘결정판’이라는 호평을 받았지만, 쇼트는 더욱더 완벽을 기하기 위해 새롭게 입수한 자료들을 참고하고 기존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여, 20년 만에 전면개정판을 완성했다. 쇼트의 탁월한 필력이 돋보이는 또 다른 전기로는, 프랑스 전직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을 다룬『미테랑: 모호성의 전형』(2013)과 캄보디아 공산주의 지도자 폴 포트의 삶을 해부한『폴 포트: 악몽의 역사』(2004)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