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 최현배의 문학·논술·논문 전집 2

논술 편, 하나: 우리말과 글에 대하여
$40.25
SKU
979118609695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3/19
Pages/Weight/Size 152*225*24mm
ISBN 9791186096956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국어를 지켜 독립의 초석을 세운
외솔의 논술 모음집, 첫 번째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의 문학·논술·논문 모음집 제2권.

외솔 최현배는 우리말·글 연구에 업적을 남긴 큰 학자이자 나라와 겨레 사랑에 평생을 바친 애국자이다. 그러나 지나간 세월만큼, 우리는 외솔의 가르침과 정신을 잊고 산다. 그래서 외솔회는 우리말과 글의 소중함을 다시금 되새기고자 외솔의 글을 모아 책으로 펴내었다. 제2권은 논술 가운데 ‘우리말 우리글’에 대해 다룬 글을 모아 담았다. 글쓴 이의 생각과 가르침에 흠집이 되지 않도록, 가급적 원래 실려 있던 신문이나 잡지, 책 등에 있던 글의 원래 모습을 살려 옮겼다. 이번 전집의 펴냄을 계기로 하여, 많은 사람들이 외솔에 대하여 알게 되고, 나라와 겨레와 우리말·글에 대해서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외솔 최현배의 ‘문학·논술·논문 전집’을 내면서

갈바씨기의 세움
글월과 월점
나의 주장하는 우리말의 말본의 기준
되살리는 말
바른 말 고운 말 쓰기
세종대왕의 이상과 한글
순 우리말 말본 용어의 발달의 경위
영어의 “She”는 “그미”로
우리 글을 바로잡아 씨자
우리 한글의 世界(세계) 文子上(문자상) 地位(지위)
우리말과 글에 對(대)하야
인사하는 말
인사 말씨를 다듬자
전신타자기와 한글 풀어쓰기
조선 문자사
조선 문학과 조선어
조선말과 흐린소리(濁音(탁음))
조선말본 강의
조선문자(朝鮮文字) ‘정음’(正音) 또는 ‘언문’(諺文)
조선사람은 조선말을 얼마나 아는가?
주 시경의 한글 학설
중등 조선 말본 길잡이(1)
중등 조선 말본 길잡이(2)
중등 조선 말본 길잡이(3)
중등 조선 말본 길잡이(4)
중등 조선 말본 길잡이(5)
중등 조선 말본 길잡이(6)
중등 조선 말본 길잡이(7)
‘텔레타이프’ 풀어쓰기 문제
토씨(助詞(조사))의 品詞的(품사적) 單位性(단위성)에 對(대)하야
토씨(助詞(조사))의 品詞的(품사적) 單位性(단위성)에 對(대)하야 (二(이))
풀이씨(用言)의 줄기잡기(語幹決定)에 관한 문제
한글 難解(난해)의 心理分析(심리분석)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해설
한글 맞춤법은 과연 어려운가
한글 풀어씨기의 뜻과 글자
한글의 차례잡기에 관하여
홀소리 고룸(母音調和)
홀소리(母音)와 닿소리(子音)의 뜻
훈민 정음의 홀소리 체계
訓民正音(훈민정음)의 글자의 모양과 벌림에 對(대)하여

붙이는 자료_ 외솔의 해적이와 주요 저서
Author
최현배,외솔회
1894년 10월 19일 경남 울산군 하상면 동리에서 태어나 관립 한성고등학교에 재학 중 스승 주시경의 조선어 강습원에서 한글과 말본을 배우며 우리말·글 연구에 평생을 매진하는 계기를 갖는다. 졸업 후에는 일본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에서 공부하고 경남 사립 동래고등보통학교의 교원으로 있다가 다시 유학을 결심한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교토 제국대학 철학과에서 공부하고, 졸업한 그해 동 대학원에서 연구를 계속한다.
귀국 후, 연희전문학교와 이화여자전문학교의 교수를 겸직하다가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연희전문학교에서 강제로 쫓겨나는데 오히려 이 시기 학문에 더욱 정진하여 우리말·글 연구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다. 1941년 연희전문학교에 복직했으나 도서관 일을 맡는다.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검거되어 해방될 때까지 옥고를 치른다. 해방 후에는 조선어학회 상무이사,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국장, 한글학회 이사장을 지내고 이후에도 연희대학교 문과대학장과 부총장, 한글 기계화 연구소 소장,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등을 역임한다.
이렇게 우리말·글 연구와 교육활동에 평생을 다 바친 최현배는 1970년 3월 23일 생을 마감한다. 정부는 이런 최현배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서훈하고 1970년 서거 이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민족갱생의 도”, “우리말본”, “한글갈”, “글자의 혁명”, “우리말 존중의 근본 뜻”, “민주주의와 국민도덕”, “한글의 투쟁”, “고등말본”, “중등말본” Ⅰ~Ⅲ, “나라사랑의 길”, “고친 한글갈”, “나라 건지는 교육”, “한글 가로글씨 독본”, “한글만 쓰기의 주장”(유고) 등이 있다.
1894년 10월 19일 경남 울산군 하상면 동리에서 태어나 관립 한성고등학교에 재학 중 스승 주시경의 조선어 강습원에서 한글과 말본을 배우며 우리말·글 연구에 평생을 매진하는 계기를 갖는다. 졸업 후에는 일본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에서 공부하고 경남 사립 동래고등보통학교의 교원으로 있다가 다시 유학을 결심한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교토 제국대학 철학과에서 공부하고, 졸업한 그해 동 대학원에서 연구를 계속한다.
귀국 후, 연희전문학교와 이화여자전문학교의 교수를 겸직하다가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연희전문학교에서 강제로 쫓겨나는데 오히려 이 시기 학문에 더욱 정진하여 우리말·글 연구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다. 1941년 연희전문학교에 복직했으나 도서관 일을 맡는다.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검거되어 해방될 때까지 옥고를 치른다. 해방 후에는 조선어학회 상무이사,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국장, 한글학회 이사장을 지내고 이후에도 연희대학교 문과대학장과 부총장, 한글 기계화 연구소 소장,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등을 역임한다.
이렇게 우리말·글 연구와 교육활동에 평생을 다 바친 최현배는 1970년 3월 23일 생을 마감한다. 정부는 이런 최현배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서훈하고 1970년 서거 이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민족갱생의 도”, “우리말본”, “한글갈”, “글자의 혁명”, “우리말 존중의 근본 뜻”, “민주주의와 국민도덕”, “한글의 투쟁”, “고등말본”, “중등말본” Ⅰ~Ⅲ, “나라사랑의 길”, “고친 한글갈”, “나라 건지는 교육”, “한글 가로글씨 독본”, “한글만 쓰기의 주장”(유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