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저자와 그의 팀이 지난 1996년부터 약 3년간에 걸쳐 조사한 북한 전통주거의 연구 성과를 대중화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해방 이후 북한지역의 전통주거에 대한 연구는 그 명맥이 끊어졌고,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개략으로 작성한 도면이나 해방 이후 북한학자들이 민속학적으로 소개한 2~3권 정도의 책이 인용, 재인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1996년도에 시작된 이 연구는 실향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옛집과 건설과정, 주생활 등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 북한지역 전통주거의 성격을 파악하려는 것이었다. 2권은 평안도의 옛집을 다룬다.
Contents
제1장 평안도 옛집 자료의 성격
1. 자료 수집방법과 과정
2. 기억의 재생과정
3. 자료제공자와 자료의 성격
제2장 평안도의 역사와 생태환경
1. 평안도의 지역사
2. 평안도의 지형과 기후
3. 평안도의 마을과 생업
제3장 평안도 옛집의 유형과 성격
1. 평안도 옛집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
2. 평안도 옛집의 여러 형식
3. 평안도 二자집의 구성과 성격
제4장 평안도 옛집의 지역적 차이
1. 광산촌과 어촌의 집
2. 도시의 집
3. 지붕형태와 재료의 지역성
제5장 평안도 옛집의 계층적 차이
1. 소농계층의 집
2. 중농계층의 집
3. 부농계층의 집
제6장 평안도 옛집의 시대적 변화
1. 툇마루의 발생
2. 도시화의 영향
3. 일본 주거양식의 영향
4. 근대적 재료의 사용
제7장 평안북도 예집의 사례들
제8장 평안도 옛집의 사례들
참고문헌
색인
Author
강영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공학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건축이론과 건축역사를 전공했다. 1983년부터 울산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건축 및 동아시아건축 분야를 주로 연구하여 많은 논문과 저서를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집의 사회사』(1992),『한국의 건축문화재』(1999),『한국 주거문화의 역사』(2002),『북한의 옛집』(2011)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공학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건축이론과 건축역사를 전공했다. 1983년부터 울산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건축 및 동아시아건축 분야를 주로 연구하여 많은 논문과 저서를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집의 사회사』(1992),『한국의 건축문화재』(1999),『한국 주거문화의 역사』(2002),『북한의 옛집』(201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