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 했더라면”이라는 식의 논리 전개는 역사학을 공부하는 학자들로서는 수없이 부딪치는 가설이면서도 때로는 무의미하고 허망한 자문(自問)으로 그치는 경우가 흔히 있다. 특히 한국의 해방정국사를 공부하다 보면, 하필이면 그 여러 가지의 선택적 수순 가운데 유독 불행한 쪽으로만 흘러간 사실을 읽으면서 아쉬움, 회한, 그리고 끝내는 분노로 붓을 놓고 망연자실할 때도 있다.
예컨대, “분할선이 39°선이나 40°선이었더라면……,” “미국이 소련의 대일전 참전을 요구하지 않았더라면……,” “차라리 신탁통치를 수락했더라면……,”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지 않았더라면……,” “한국전쟁 당시 북위 40°에서 북진을 멈췄더라면……,” 등등의 가정이 그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가정들은 한낱 지난날의 아쉬움일 뿐, 역사는 어떤 면에서는 이미 그렇게 갈 수밖에 없도록 운명지워진 냉혹함이 있었다. 이 책에 실린 미국의 정책 보고서들은 위에서 제시된 역사적 가정에 대한 대답을 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문서는 주로 미국연방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된 한국 관계 문서 가운데 미군정 기에 미국이 실시한 대한 정책의 성격을 구명하는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1. 개요
2. 연대기
3. 보고서
[부록 1-1] 연합군 사령부 지시 공문 1호
[부록 1-2] 육·해군 일반명령 제1호
제2장 소련의 대일 참전 보고서(1955)- 미국 국방성 작성
1. 진주만 기습 이후
2. 1942년
3. 1943년
4. 테헤란에서 얄타까지(1944년)
1) 대일전의 개념에 대한 재언명
2) 미·소 공동 계획의 문제점
3) 소련 참전의 재고
5. 얄타에서 포츠담까지(1945년)
1) 얄타회담
2) 태평양 전략의 재검토
3) 포츠담 회담을 위한 준비
4) 포츠담회담과 일본의 항복
제3장 신탁통치에 관한 보고서(1947) - 한국에 관한 성간(省間)위원회 작성
1. 국제적 배경
2. 모스코바회의 이전의 반발
3. 위기
4. 쟁점의 노출
5. 미국인 대 러시아인의 대결
[부록 3-1] 한국신탁통치협정(안)
제4장 한국의 독립 능력에 관한 보고서(1945) - 토인비(A. J. Toynbee) 작성
1. 역사적 배경
2. 해외 한국인의 정치 활동
3. 독립에 대한 한국인의 요구
4. 결론
제5장 미소공동위원회에 관한 보고서(1947) - 미소공동위원회 미국 대표단 작성
1. 개요
2. 제1차 회기(1946년)
3. 휴회 중의 의사 교환
4. 회의 재개(1947년)
5. 결과와 결론
제6장 한국의 정치·군사 상황에 관한 보고서(1947) - A. C. 웨드마이어 작성
웨드마이어 중장에게 보내는 지시 공문
복명서
사절 단원 명단
대통령에게 보내는 보고서 : 중국 - 한국
1. 개요
2. 한국
3. 결론
4. 권고
[부록 6-1] 정치적 측면 : 한국에 대한 미국 정책의 요약
[부록 6-2] 경제적 측면
[부록 6-3] 사회·문화적 측면
[부록 6-4] 한국의 군사적 상황과 군사 원조 계획
제7장 한국의 군정에 관한 잠정 지침(1947) - 민정합동위원회 작성
작성자 노트
한국에 관한 성간(省間) 특별위원회 보고서
1. 개요
2. 한국의 상황
3. 미국에 대한 한국의 중요성
4. 가능한 조치
5. 권고
제8장 주한 미군정(USAMGIK)의 구조(1948) - 후랭켈(Ernst Fraenkel) 작성
주한미군 24군단 사령관 귀하
주한 미군정의 구조
1. 서론
2. 한국은 주권이 없는 국가
3. 군정의 상륙과 탈(脫)일본화 정책
4. 한국의 경제 상황
5. 주한미군사령부(관)의 지위
6. 주한미군정청의 위치
7. 군정법령의 제정
8. 행정 업무
9. 사법부
10. 귀속 재산의 처리
제9장 미국의 대한 정책(1948) - 4성조정위원회 작성
작성자들의 노트
1. 문제점
2. 문제의 실상
3. 논의
4. 결론
5. 권고
제10장 아시아의 위기 : 미국 대외 정책의 시험(1950) - 애치슨의 National Press Club 연설문
1. 정책의 기조
2. 독립 국가의 출현
3. 최근 중국의 발전
4. 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태도
5. 공산주의의 요소
6. 소비에트의 태도
7. 미국 정책의 두 가지 원칙
8. 태평양에서의 군사 안보
9. 침투의 민감성
10. 미국 원조의 한계
11. 아세아의 새로운 시대
제11장 북한군 노획 문서(1950) - UN군 사령부 작성
UN 주재 미국 대사 오스틴(W. R. Austin)의 공한
1951년 5월 2일자 UN군 총사령관이 제출한 공한
1. 북한 인민군 정찰 명령 제1호: 북한 인민군이 각 예하 부대 참모장에게 내린 명령(mimeo) 1950년 6월 18일
2. 북한 인민군 제4사단 사령관 이건무의 손으로 쓴 작전 명령 제1호, 1950년 6월 22일
3. 노획 문서의 감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