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성리학사론 2

$41.04
SKU
97889948447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0/30
Pages/Weight/Size 160*235*36mm
ISBN 9788994844701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국성리학사론』은 ‘韓國性理學史論’이라는 제목이 말해주듯이, 이 책의 목적은 주요 성리학자들을 중심으로 한국 성리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그들의 성리설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것이다. 먼저 분명히 밝혀둘 것은, 이 책은 韓國 儒學의 전개과정을 전반적으로 고찰하는 ‘通史’가 아니라는 점이요, 韓國 性理學의 형이상학적 이론에 초점을 맞추는 ‘觀念史’라는 것이다.
Contents
韓國性理學史論 1, 2(目次)

序 論
1. 先行 硏究의 검토
2. 韓國 性理學을 조망하는 관점
3. 이 책의 목적과 구성

제1부 先秦儒學과 宋學의 유산
제1장 先秦儒學의 전통
1. 『周易』의 太極陰陽論과 道器論
2. 『書經』의 天命思想
3. 『詩經』의 ‘有物有則’과 ‘好是懿德’
4. 『書經』의 人心道心論과 有欲恒性論
5. 『禮記』의 天理人欲論과 七情十義論
6. 『大學』의 ‘明明德’과 ‘止於至善’
7. 『中庸』의 ‘天命之謂性’과 未發已發論
8. 『論語』의 ‘克己復禮’와 ‘從心所欲不踰矩’
9. 『中庸』의 知行論과 氣質變化論
10. 『孟子』의 性善說과 『荀子』의 性惡說
제2장 宋代 性理學의 기본 구도
1. 繼天立極論과 先後本末論
2. ‘本’인 理와 ‘具’인 氣
3. 理·氣의 不離와 不雜
4. 理一分殊
5. 性卽理, 心是氣, 身是氣
6. 心統性情
7. 本然之性과 氣質之性
8. 人心과 道心
9. 治心과 窮理
10. 心과 理의 合一
제3장 宋代 性理學의 주요 爭端들
1. 理·氣의 動·靜과 理生氣 문제
2. 氣의 生生과 聚散 문제
3. 性卽理와 心卽理 문제
4. 氣質之性의 의미 문제
5. 明德은 心인가, 性인가?
6. ‘본능적 욕망’도 本性에 포함되는가?
7. 七情의 근원은 五常인가, 形氣인가?
8. 人性과 物性의 同·異 문제
9. 未發의 두 차원 문제
10. 未發之中과 天下之大本 문제
11. 心統性情論의 두 맥락 문제
12. 善·惡의 기원 문제

제2부 한국 성리학의 전개 과정
제1장 고려 말-조선 전기의 주요 성리학자들
1. 圃隱 鄭夢周의 성리학과 老·佛 비판
2. 三峯 鄭道傳의 ?心氣理篇?과 老·佛 비판
3. 陽村 權近의 『入學圖說』
4. 眞一齋 柳崇祖의 『性理淵源撮要』
5. 花潭 徐敬德의 一氣遍滿長存論
6. 晦齋 李彦迪의 太極論
제2장 退溪와 栗谷의 성리학
1. 퇴계 성리학의 개관
1) 퇴계 성리설의 양면성
2) 〈非理氣爲一物辯證〉
3) 心에 대한 이해
4) 理氣互發說의 취지와 함의
5) 理·氣의 勝負와 敬
2. 율곡 성리학의 개관
1) 理氣之妙와 理主氣資
2) 理一分殊과 理通氣局
3) 氣發理乘一途論
4) 氣質變化論과 誠
제3장 退·栗 시대의 성리학자들
1. ?齋 盧守愼의 人心道心體用論
2. 高峰 奇大升의 四端七情論
3. 牛溪 成渾의 四端七情論
4. 龜峯 宋翼弼의 ?太極問?
제4장 영남성리학의 전개
1. 旅軒 張顯光의 理氣經緯說
2. 活齋 李?의 理氣二物說
3. 葛庵 李玄逸의 理能發論과 理氣分開論
4. 愚潭 丁時翰의 〈四七辨證〉
5. 克齋 申益愰의 性理說과 旅軒說의 영향
6. 淸臺 權相一의 理生氣論
7. 星湖 李瀷의 理發氣隨一路說
8. 河濱 愼後聃의 『四七同異辨』과 二性二氣論
9. 大山 李象靖의 理主氣資論
10. 立齋 鄭宗魯의 理强氣弱論과 公七情理發論
11. 定齋 柳致明의 〈理動靜說〉과 一性二情論
12. 茶山 丁若鏞의 退?栗에 대한 인식과 性理學의 해체
13. 영남성리학의 주요 論題들
제5장 기호성리학의 전개
1. 尤庵 宋時烈의 理主氣資論과 四端七情一物說
2. 明齋 尹拯의 ‘以心使心’에 대한 해석
3. 遂庵 權尙夏의 〈四七互發辨〉과 〈論性說〉
4. 農巖 金昌協의 退·栗 折衷論
5. 巍巖 李柬의 理氣同實論과 ‘懸空說理’ 비판
6. 南塘 韓元震의 未發氣質有善惡論과 ‘認氣爲大本’ 비판
7. 陶菴 李縡의 心合理氣說과 聖凡心同論
8. 屛溪 尹鳳九의 心卽氣論과 聖凡心異論
9. 鹿門 任聖周의 理氣同實論과 氣一分殊論
10. 老洲 吳熙常의 理氣相互主宰論과 心本善不可恃論
11. 梅山 洪直弼의 主理論과 心與氣質二物論
12. 기호학파의 退·栗 折衷論
13. 기호성리학의 論題들
제6장 조선 말기 성리학의 새로운 양상
1. 華西 李恒老의 主理論과 以理斷心
2. 蘆沙 奇正鎭의 主理論
3. 寒洲 李震相의 主理論과 心卽理說
4. 艮齋 田愚의 理氣相互主宰論과 性師心弟說

제3부 한국 성리학의 주요 論爭들
제1장 退溪-高峰의 四端七情 논변
1. 퇴계-고봉 논변의 개관
2. 퇴계와 고봉의 근본 입장
1) 고봉 : 理와 氣의 渾淪
2) 퇴계 : 理와 氣의 分開
3. 퇴계-고봉 논변의 근본 문제
1) 七情의 내용 문제 : 『禮記』의 七情과 『中庸』의 喜怒哀樂
2) ‘發’의 의미 문제 : 能發과 所發
3) 理·氣의 개념 문제 : ‘본성-본능’과 ‘본성-마음’
4) 마음의 구조 문제 : 一性一情論과 二性二情論
4. 小結
제2장 栗谷-牛溪의 人心道心 논변
1. 율곡-우계 논변의 개관
2. 율곡과 우계의 근본 입장
1) 우계 : 人心道心二本論
2) 율곡 : 人心道心一本論
3. 율곡 人心道心說의 근본 문제
1) 人心과 道心은 一本인가, 二本인가?
2) 氣質과 形氣는 하나인가, 둘인가?
4. 율곡 人心道心說의 수정 방향
5. 小結
제3장 湖洛論爭
1. 巍巖과 南塘의 근본 입장
1) 巍巖 李柬의 근본 입장
① 人物同具五常論
② 大本底未發과 不中底未發 및 未發純善論
③ 理氣同實과 心性一致
④ 心體와 氣質의 관계 : 異位異時
2) 南塘 韓元震의 근본 입장
① 人物性異論과 性三層說
② 未發氣質有善惡論
③ 本然之性과 氣質之性
④ 心體와 氣質의 관계 : 同位同時
2. 湖洛論爭의 전개 양상
1) 湖論의 전개 양상
2) 洛論의 전개 양상
3) 會通·折衷論의 등장
3. 湖洛論爭의 근본 문제
1) 五常의 개념 문제
2) 未發의 개념 문제
3) 心體와 氣質의 관계 문제
4) 氣質의 본질 문제 : 마음의 材質인가, 形氣인가?
4. 醒菴 李喆榮의 性三樣說
1) 五常의 帶氣와 不帶氣
2) 中底未發과 不中底未發의 同位異時
3) 性三樣說
5. 小結
제4장 華西學派-梅山學派의 明德論爭
1. 華西 李恒老와 그 門下의 明德主理論
1) 華西 李恒老의 명덕주리론
2) 重菴 金平?의 명덕주리론
3) 省齋 柳重敎의 명덕주리론
2. 梅山 洪直弼과 그 門下의 明德主氣論
1) 梅山 洪直弼의 명덕주기론
2) 鼓山 任憲晦의 명덕주기론
3) 艮齋 田愚의 명덕주기론
3. 論點의 정리와 평가
1) ‘理의 主宰’와 ‘心統性情’의 해석 문제
2) 問題意識의 同一性과 解法의 相異性
3) 論爭의 평가
4. 小結
제5장 華西學派 내부의 心說論爭
1. 華西의 主理論과 그 특징
1) 華西의 主理論에 대한 개관
2) 華西 心說의 특징
2. 省齋의 華西心說에 대한 調補
1) 華西心說에 대한 문제 제기
2) 華西心說에 대한 調補
3. 重菴-省齋의 心說 論爭
1) 논쟁의 전개 과정
2) 〈華西心說正案〉의 도출
4. 쟁점의 정리와 평가
1) 心物論(心合理氣論)과 以理斷心의 대립
2) 心性物則論(心性二物論)과 心性一理論(心性一物論)의 대립
3) 理主氣資論과 理善氣惡論의 대립
5. 小結
제6장 定齋學派-寒洲學派의 坪浦論爭
1. 평포논쟁의 배경
1) 寒洲의 문제의식과 해법
2) 定齋와 寒洲의 왕복 서한
3) 寒洲의 心卽理說과 明德說
2. 평포논쟁의 주요 쟁점
1) ‘心’에 대한 규정문제
2) ‘明德’에 대한 규정문제
3) ‘氣之精爽’에 대한 해석 문제
4) ‘虛靈’에 대한 해석 문제
5) ‘理生氣’와 ‘理의 능동성’ 문제
3. 論點의 정리와 평가
1) 心合理氣論과 心卽理論의 대립
2) 心性二物論과 心性一物論의 대립
3) 理主氣資論과 理善氣惡論의 대립
4) 논쟁의 평가
4. 小結
제7장 蘆沙의 〈猥筆〉과 기호학계의 논변
1. 〈猥筆〉의 주요 내용
2. 〈猥筆〉에 대한 艮齋의 비판
3. 艮齋에 대한 老柏軒의 비판
4. 비판적 논의
5. 小結

結 論
1. 韓國 性理學의 핵심 논제
1) 理氣互發論과 氣發理乘一途論의 문제
2) ‘五常과 未發의 개념’ 및 ‘心과 氣質의 관계’ 문제
3) ‘心統性情’에 대한 해석 문제
4) 본성·본능·마음의 관계 문제
5) 善·惡의 기원과 修養의 방법
2. 퇴계 互發論과 율곡 一途論의 지양 방향
1) 退·栗 성리설의 핵심 쟁점
2) 退·栗 성리설의 지양 방향
3. 性理學의 기본 노선과 理氣相互主宰論
4. 종합적 평가와 전망

〈補論〉
제1장 이른바 ‘六大家’에 대하여
제2장 性理學의 재구성인가, 해체인가?
─ 이승환의 『횡설과 수설』에 대한 비판적 논의
1. 서론
2. 『횡설과 수설』의 핵심 논지
3. 비판적 논의
1) ‘性’을 ‘성향’으로 해석하는 문제
2) ‘욕구 성향’을 인간의 ‘본성’에 포함시키는 문제
3) ‘氣質之性’에 대한 해석 문제
4) ‘氣의 이중성’을 표현하기 위한 용어 문제
5) ‘理弱氣强’의 해석 문제
6) ‘性理學’의 재구성인가, 해체인가?
4. 결론
제3장 현대 과학에 비추어 본 性理學
1. 현대 물리학과 性理學
2. 진화론과 性理學
3. 뇌과학과 性理學

〈부록〉 韓國性理學史論 年表
〈참고문헌〉
〈색인〉
Author
이상익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1995년 성균관대학교에서 “한말 절의학파와 개화파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유가 사회철학 연구』(2001), 『유교전통과 자유민주주의』(2004), 『주자학의 길』(2007), 『현대문명과 유교적 성찰』(2018), 『한국성리학사론』(2020) 등이 있다.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1995년 성균관대학교에서 “한말 절의학파와 개화파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유가 사회철학 연구』(2001), 『유교전통과 자유민주주의』(2004), 『주자학의 길』(2007), 『현대문명과 유교적 성찰』(2018), 『한국성리학사론』(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