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공통문화 지각변동 속의 한국 2

$32.40
SKU
978899282575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11/18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88992825757
Categories 종교 > 천주교
Description
세계 속 ‘한국교회’의 위치와 역할을 예언자적 권위로 역설하다!

오래 전부터 정의채 몬시뇰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들숨의 형태로 들어온 교회가 날숨의 형태로 개도국으로 진출하여 진정한 사랑의 봉사, 즉 섬김으로 우리 젊은이들을 교회 품 안으로 끌어안아야 3천 년대 여명에 한국교회의 사명을 다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현 프란치스코 교황의 ‘섬김’의 정신과 맥을 같이 한다.

그동안의 강의와 학술 원고, 기고 등을 바탕으로 구성된 이 책은 총 3권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중 『인류 공통문화 지각 변동 속의 한국』2는 한국 교회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2권은 총 3부로 구성되었으며 1부에서는 한국 평신도의 중요성과 그 역할을, 2부에서는 교회와 젊은이 사목을 위한 명동 개발의 당위성을, 3부에서는 미래지향적 교회의 모습을 논하며 고령화 및 청년 이탈, 절충주의에 조락(凋落)의 길을 걷고 있는 한국 천주교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특히, 한국 천주교 200주년 기념사목회의 실무 총책임자로서 한국교회의 쇄신과 평신도를 전면으로 등장시켜 한국 교회를 교황청의 찬탄을 받는 교회로 부각시키며, 이를 통해 한국 천주교의 교세를 급격히 증가시킨 정의채 몬시뇰의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제시된 이 책의 실천과제들은 한국교회의 발전을 위해 탁월한 대안들이다.
Contents
발간에 부쳐
저자의 말
머리말
서문
제266대 프란치스코 새 교황을 맞으며
제18대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대주교를 맞으며
2천 년 맞이 성탄

1. 수원교구와 인천교구 신학생들에게
1) 수원교구 신학생들에게
① 시작 말씀 - 심상태 몬시뇰
② 정의채 몬시뇰 말씀
2) 인천교구 신학생들에게
① 인사 말씀-홍승모 (인천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장)
2. 정의채 몬시뇰의 특별 강연 준비 전문
1) 감사의 말씀
2) 국운영욕(榮辱)의 한국 관문 인천교구를 통해 한국교회는 세계로 뻗어간다
3) 인류문화 진행 중에서의 사목: 평창 동계 올림픽은 인류문화 전환점, 미래지향적 청년사목 문제
4) 신학생이 만나야 할 교회 사활의 사목 문제 조감
5) 신학교 피난 시기
6) 평신도와 함께하는 신학생의 열린 교육
7) 한국 천주교 2백 주년 기념 사목회의 평신도상 부상과 신학생 양성
① 사랑의 화신으로 신학생 양성
② 신학교의 지성 교육
③ 통일 대비 북한학 신설과 미래 대비 컴퓨터 교육
④ 영성 지도 신부단 강화와 기도 강조, “기도하며 일하라”
⑤ 바티칸 교황청 1990년 제8차 주교 대의원회의 발제문 요약본, “신학생 양성을 위하여”
⑥ 기도는 영혼의 호흡: 기도와 일상의 자발적 희생은 사제생활의 마지막 버팀목
⑦ 이교 지대인 한국에서 사제의 중요 임무는 민족 복음화
⑧ 일본의 성소 문제 자문과 해결
8) 진정한 사랑으로 떠난 젊은이들 되돌려 오기
9) 사목은 미래지향적이지 않고서는 성공할 수 없다
① 인류문화의 향방과 우리 교회가 나아가야 할 길
② 옛 스승의 미래 투시적 지혜
③ 하느님은 악에서도 선을 이끌어 내신다
10) 여타의 인류문화
① G20 서울정상회담에서의 개도국개발안 제안
② 3천 년대 인류 공통문화의 기저(基底) 개념은 ‘생명 사랑’과 ‘생명 풍요화’
③ G20의 성공은 G7과 경제 착취기구 IMF의 소멸과 ‘세계 개발은행’ 서울 창설에서
④ 로마 유학 중의 추억
⑤ 일본 문화계에서의 한국관 시정
⑥ 마지막 인사 말씀
11) 후기
① 최기산 인천교구장 주교와 정의채 몬시뇰의 이메일 서신
② 최인각 수원 가톨릭대학교 학생처장 신부의 글
③ 전헌호 대구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장 신부의 글
3. 한국 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주년 제36차 국제 학술회의 - 동아시아 교회의 복음화와 토착화 현실 그리고 미래 전망-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제1부 새 천 년대의 한국 평신도

제1장 한국천주교회 신자들의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사명과 역할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평신도상

1. 새 천 년 복음화 사도회
2. 하느님 백성인 평신도상
1) 그리스도 신비체로서의 평신도
2) 그리스도의 사제직, 예언직, 왕직에 참여하는 평신도
① 평신도의 사제직 참여
② 평신도의 예언직 참여
③ 평신도의 왕직 참여
3) 사도직
4) 교회의 현세관
① 일반적 성격
② 한국 사회의 현실
③ 한국 천주교와 아시아
④ 평신도 사도직의 특성과 실천
⑤ 평신도 사도직 영성적 원천
⑥ 평신도와 교계(목자)
5) 제3천 년대와 가톨릭 기업인상
① 새 천 년대와 가톨릭 기업인(경영인)
② 평신도의 그리스도의 사제직에의 참여
③ 평신도의 그리스도의 예언직에의 참여
④ 평신도의 그리스도의 왕직에의 참여

제2부 명동 성역

제1장 한국의 심장부 명동에서 사회와 교회를 생각하다

1. 교황 명예 고위성직자 감사
2. 명동 성역 개발
1) 이명박 서울시장과의 대담
2) 남산과 명동과 청계천
3) 광화문로, 시청 광장, 명동
4) 명동 젊은이 광장 개발 강의
5) 명동 개발안의 기원과 경과
6) 명동의 위상
7) 명동을 젊은이 종교, 사이버 문화의 터전으로
8) 전문대학원 설립 문제
9) 가톨릭 종합대학안 무산
10) 명동성당 주임되다
11) 명동성당 선교 1번지
12) 사제단의 일치
13) 맺음말
3. 어제와 오늘과 내일의 사회와 교회를 생각한다
1) 허두(虛頭)
2) 명동 개발 총론
① 명동 개발의 긴박성과 형태
② 정진석 추기경 추대 경위
3) 명동의 어제, 오늘, 내일과 사회
① 명동 개발 문제 상론
② 명동의 어제, 오늘, 내일과 사회
4) 맺음말
5) 명동 주차장에 젊은이 센터를!
① 명동 젊은이 센터
② 명동 젊은이 센터의 콘텐츠
③ 재정 문제
④ 명동 젊은이 센터 건축과 X기업 보충건
⑤ 질문과 답변
⑥ 그 후의 조치
6) 정진석 추기경께 중요 건의 보충
① 정진석 추기경과의 대화 및 건의
② 평양교구 80주년에 즈음하여(교구 망향 57년간)
Ⅰ. 북한 현지 교구 23년 간
Ⅱ. 남한에서 57년간

제3부 교회와 사회

1. 서울대교구 시노드 사제 평의회 연수
서론
Ⅰ. 시노드의 원칙과 핵심 내용
Ⅱ. 서울대교구 사제들의 공동체에 대한 애정과 일치의 모습 구현과 신자들의 바람
Ⅲ. 교구 시노드에 근거한 사제들의 미래지향적 사목 구상과 비전
ⅰ) 청소년 사목은 0순위다
ⅱ) 종교·문화·예술의 장
ⅲ) 종합대학 안에서의 신학생 양성
ⅳ) 신학교 개혁과 혜화동 개발안
Ⅳ. 부록: 평양교구
2. 복음 선포와 사회 현실
3. 사회 현실과 교회
4. 사회 현실과 교회의 역할
1) 매스미디어를 통한 직·간접 사회 복음화
2) 미래를 지향하는 오늘의 인류사상계 동향
3) 성모 성월입니다
4) 이병철 삼성 창업자의 인간 죽음 앞에서의 질문
5) 박경리(대데레사) 선생의 별세에 즈음하여
6) 서울대교구 압구정 1동 성당 공현 주일(2009년 1월 4일) 강론
7) 서울대교구 압구정 1동 성당 성모성월(2009년 5월 24일) 강론
8) 서울대교구 압구정 1동 성당 공현주일(2010년 1월 3일) 강론
9) 성 바오로 딸 수도회 강화: 2012년 신년 하례 미사 후
10) 제3차 순교자 시복 시성 수원 세미나
11) 성 베네딕토회 한국 진출 1백 주년
① 덕원 성 베네딕토회 말기의 경제 문제
② 성 베네딕토회 분도 지(誌) 인터뷰 - 한국 가톨릭교회 대표 원로 정의채 바오로 몬시뇰
12) 한국 천주교 선조 시성 시복 준비 출판기념회 축사
13) 심상태 몬시뇰의 “순교의 교의 신학적 고찰”에 대한 소감과 보충 시안
5. 런던 하계 올림픽(2012년)의 큰 성과와 한국 젊은이들의 세계 파견
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을 보며
7. 교황 베네딕토 16세 사임에 즈음하여

부록

1. 서평_ 〈평화신문〉 2013년 3월 3일
2. 관련기사
1) 월간 〈사목정보〉 특별대담: 정종휴 교수 & 차동엽 신부
2)〈가톨릭신문〉 2012년 12월 9일
3)〈평화신문〉 2013년 1월 13일
4)〈조선일보〉 2012년 10월 26일
5)〈조선일보〉 2013년 4월 15일
6)〈중앙일보〉 2013년 3월 28일
3. 정의채 몬시뇰의 삶_ 편집부 편
4. 정의채 몬시뇰 이력
Author
정의채
몬시뇰이란 '나의 주인'이라는 뜻의 프랑스어가 어원이다. 교황님이 공로가 큰 성직자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교황의 며예 전속사제와 교황 명예 고위성직자 두 가지가 있다. 후자는 추기경, 대주교, 주교 등 가톨릭 고위 성직자에 대한 총체적 경칭으로 정의채 몬시뇰이 이에 해당한다.
가톨릭대학을 졸업하고 로마 우르바노대학교 대학원과 그레고리안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하였으며 우르바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뉴욕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 뮌헨대학교와 S.J.철학대학에서 철학을 연구하였다. 가톨릭대학 교수 및 동 대학원장을 역임하고 서강대학교 교수,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창설 및 초대소장, 천주교 명동대성당 주임신부, 가톨릭대학 원장, 가톨릭대학 총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이사, '환경보전을 위한 국가 선언문'제정위원장, 서강대학교 부설 생명문화연구소 창설 및 초대소장, 한국 가톨릭철학회 초대회장, 4대 ·5대 아시아 가톨릭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가톨릭 교수협의회 특별고문 및 아시아 가톨릭철학회 명예회장으로 활동 중이다.1999-2003 동안 아시아 가톨릭 철학인회 회장을 2회 연임하였다. 규정상 2회 이상할 수 없어 새로운 규정을 만들어 아시아 가톨릭철학회 명예회장이 되었다. 한국 가톨릭철학회 명예회장이며 2005년에 교황 명예고위성직자로 서임되었다. 2009-2011에 대통령자문 국민원로회의 위원을 2회 역임하였다.
저서와 역서로는 『형이상학』,『존재와 근거 문제』,『철학의 위안』,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번역시리즈,『모든 것이 은혜였습니다』등 학계에서 새로운 지평을 여는 무게 있는 저서 등이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학술 발표문, 시론, 대담 등을 발표하여 국내와 국제 사회에서 3천 년대 인류의 삶은 인류공통문화 형성과 방향 지시에 대한 공헌을 했다.
몬시뇰이란 '나의 주인'이라는 뜻의 프랑스어가 어원이다. 교황님이 공로가 큰 성직자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교황의 며예 전속사제와 교황 명예 고위성직자 두 가지가 있다. 후자는 추기경, 대주교, 주교 등 가톨릭 고위 성직자에 대한 총체적 경칭으로 정의채 몬시뇰이 이에 해당한다.
가톨릭대학을 졸업하고 로마 우르바노대학교 대학원과 그레고리안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하였으며 우르바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뉴욕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 뮌헨대학교와 S.J.철학대학에서 철학을 연구하였다. 가톨릭대학 교수 및 동 대학원장을 역임하고 서강대학교 교수,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창설 및 초대소장, 천주교 명동대성당 주임신부, 가톨릭대학 원장, 가톨릭대학 총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이사, '환경보전을 위한 국가 선언문'제정위원장, 서강대학교 부설 생명문화연구소 창설 및 초대소장, 한국 가톨릭철학회 초대회장, 4대 ·5대 아시아 가톨릭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가톨릭 교수협의회 특별고문 및 아시아 가톨릭철학회 명예회장으로 활동 중이다.1999-2003 동안 아시아 가톨릭 철학인회 회장을 2회 연임하였다. 규정상 2회 이상할 수 없어 새로운 규정을 만들어 아시아 가톨릭철학회 명예회장이 되었다. 한국 가톨릭철학회 명예회장이며 2005년에 교황 명예고위성직자로 서임되었다. 2009-2011에 대통령자문 국민원로회의 위원을 2회 역임하였다.
저서와 역서로는 『형이상학』,『존재와 근거 문제』,『철학의 위안』,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번역시리즈,『모든 것이 은혜였습니다』등 학계에서 새로운 지평을 여는 무게 있는 저서 등이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학술 발표문, 시론, 대담 등을 발표하여 국내와 국제 사회에서 3천 년대 인류의 삶은 인류공통문화 형성과 방향 지시에 대한 공헌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