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이명박 정부의 외교안보 비전과 '포괄적 실리외교'
01 이명박 정부의 외교안보 비전
02 '포괄적 실리외교'의 목표와 내용
가. '포괄적 실리외교'의 성립 배경
나. '포괄적 실리외교'의 목표
다. '포괄적 실리외교'의 추진 내용
03 '포괄적 실리외교'의 추진상황
가. 외교 의제의 다변화
나. 외교대상 지역의 확대
제3장 에너지 협력외교의 현황과 평가
01 현황
가. 개요
나. 에너지ㆍ자원 외교의 개념과 역사
다. 이명박 정부의 에너지ㆍ자원 외교정책
라. 에너지 협력 외교 현황
마. 지역별 에너지 외교 현황
02 평가
가. 에너지 다원화 정책의 효과
나. 한국형 자원개발 및 진출 확대
다. 정치적 상황에의 유연 대응 필요성
03 향후 과제
가. 에너지 수입원의 다변화
나. 해외 에너지ㆍ자원 개발
다. 패키지형 에너지외교 확대
라. 대체에너지 개발
제4장 FTA 체결 현황과 평가
01 현황
가. 추진 배경
나. 기 체결 FTA 주요내용 및 의의
02 평가
가. 상이한 FTA 특혜관세 활용율
나. 교역 확대와 신규 수출기업 증가
03 향후 과제
제5장 기여외교 현황과 평가
01 현황
가. 기여외교의 개념과 환경
나. ODA 현황
다. PKO 현황
02 평가
가. 목표의 모호성과 불일치
나. 범분야 이슈 주류화 실적에 대한 저평가 가능성
다. 규모와 질적 수준의 한계
라. 법ㆍ제도적 기반 구축 및 확장 필요성
03 향후 과제
가. 목표의 명료화를 통한 구조적 불안정성 극복
나. 국제사회의 다차원적 요구 실행 구조 및 역량 구축
다. 한국형 기여외교의 창출과 대외적 확산
라. 대국민 이해와 지지 확보를 통한 지속적 추진력 확보
마. 단기ㆍ중장기 계획 수립과 상호 연계
바. 대내외 정책 간 접촉면 확장을 통한 효율화
사. 규모 확대와 질적 수준 제고의 조화
제6장 재외동포 지원외교 현황과 평가
01 현황
가. 재외동포의 개념
나. 재외동포의 기원과 변천
다. 재외동포 지원외교 현황
02 평가
가. 남북대결 구도 속에서 모국 중심의 재외동포정책
나. '기민정책'에서 '활용정책'으로
다. 재외동포 지원정책 추진체계
03 향후 과제: 한국 중심에서 '수평적 네트워크'로
제7장 '포괄적 실리외교' 강화방안
01 기본방향
02 세부 실천방안
가. 단기
나. 중기
다. 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