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학은 우리 민족이 오랜 역사 속에서 자신들이 몸담고 살아온 자연 조건과 사회 상황에서의 경험들을 추상화하고 체계화해 낸 것이다. 우리 선조들은 오랜 기간 동안 자신들이 살고 있는 삶과 세계에 대한 문제들을 고민하면서 해답을 찾으려 노력했고, 이 과정에서 독자적인 사유 체계를 만들거나 외래 사상을 받아들여 자신들의 사상으로 다듬어 갔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국 민족이 만들어 낸 보편적 사유 체계가 바로 한국의 철학 사상이다.
『한국철학 스케치』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한국 철학의 핵심 사상이 형성되고 발전해 온 과정을 통사적으로 그려내며 한국 철학을 알기 위한 살아있는 나침반과 지도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우선 ‘우리 문화 모든 것의 싹’인 단군 신화를 우리의 주체의식과 역사의식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이어서 유교, 불교, 도교가 삼국 시대를 거쳐 고려와 조선, 근대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생성되고 성장한 과정을 차례로 보여 준다. 이 방대한 내용을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여덟 명의 필자들은 수차례에 걸친 토론과 세미나를 통해 전문성과 통일성을 살리면서도 우리 사상을 균형적이고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Contents
《한국 철학 스케치》를 펴내며
도표로 보는 한국 철학의 흐름
한국 철학 여행의 길잡이
1부_원시 시대와 고대의 철학 이야기
우리 철학의 시작 | 시간의 흐름과 인간의 역할
고대사상의 발자취 | 중국에서 들어온 새로운 사상
2부_불교 철학의 한국적 전통
불교는 언제 어떻게 들어왔을까 | 한국 불교의 으뜸 - 원효
고려 시대의 불교 | 조계종을 다시 일으킨 지눌 | 어둠의 시절 - 조선의 불교
3부_성리학의 수용과 전개
성리학의 등장 배경 | 개혁 세력이 성리학을 받아들이다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 과정 | 조선 초기 성리학의 전개
4부_성리학을 꽃피운 철학자들
송도의 자랑 - 화담 서경덕 | 성리학을 뿌리 내린 철학자 - 회재 이언적
도덕 이상주의 철학자 - 퇴계 이황 | 현실 참여의 철학자 - 율곡 이이
5부_성리학의 한계와 그에 대한 도전
시대의 변화와 새로운 철학 사상의 대두 | 조식과 정인홍의 실천적 철학 사상
예학 논쟁 | 양명학 이야기 | 성리학을 반대한 철학자와 옹호한 철학자의 싸움
인간과 인간 아닌 것들의 본성은 같은가 다른가
Author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자기 성찰과 실천적 모색을 통해 철학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철학 연구자들의 모임으로 1989년에 창립했다. ‘이념’과 ‘세대’를 아우르는 진보적 철학의 문제를 고민하며, 좁은 아카데미즘에 빠지지 않고 현실과 결합된 의미 있는 문제들을 통해 철학의 대중화에 앞장서고자 한다. 펴낸 책으로 『아주 오래된 질문들』 『처음 읽는 한국 현대철학』 『망각과 기억의 변증법』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다시 쓰는 서양 근대철학사』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사』 『철학자의 서재』 『청춘의 고전』 『철학, 문화를 읽다』 『철학, 삶을 묻다』 『철학 대사전』 등 다수가 있으며, 매년 네 차례에 걸쳐 학술지 『시대와 철학』을 발간하며 대중 웹진인 《ⓔ시대와 철학》을 운영하고 있다.
자기 성찰과 실천적 모색을 통해 철학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철학 연구자들의 모임으로 1989년에 창립했다. ‘이념’과 ‘세대’를 아우르는 진보적 철학의 문제를 고민하며, 좁은 아카데미즘에 빠지지 않고 현실과 결합된 의미 있는 문제들을 통해 철학의 대중화에 앞장서고자 한다. 펴낸 책으로 『아주 오래된 질문들』 『처음 읽는 한국 현대철학』 『망각과 기억의 변증법』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다시 쓰는 서양 근대철학사』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사』 『철학자의 서재』 『청춘의 고전』 『철학, 문화를 읽다』 『철학, 삶을 묻다』 『철학 대사전』 등 다수가 있으며, 매년 네 차례에 걸쳐 학술지 『시대와 철학』을 발간하며 대중 웹진인 《ⓔ시대와 철학》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