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2

앎과 삶의 공간
$27.00
SKU
978897199234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6/03/31
Pages/Weight/Size 192*240*30mm
ISBN 978897199234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는 1999년 건축 잡지 『이상건축』에서 초간되었던 『한국건축의 재발견』 전3권의 개정증보판이다. 이 시리즈는 출간 직후부터 학계와 언론, 독서계의 주목과 호평을 받으며 한국 전통건축 전반을 새롭고 충실하게 다룬 최초이자 유일의 교양입문서로서, 고전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잡지의 폐간 등 출간사의 사정으로 절판된 지 2년여가 지난 지금, 이를 아쉬워하는 독자들과 연구자들의 절실한 요구, 그리고 이 명저의 재출간에 뜻을 모은 필자와 출판사의 바람으로 2006년 오늘의 시점에서 다시 엮어내게 되었다.

그간의 명성과 가치 그대로, 오늘에 맞는 내용으로 수정·보완하여 짜임새 있게 편집하였으며, 읽기 편하게 감각적으로 디자인하고, 사진을 올컬러로 교체하였다. 또한 건축의 초년생과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유용한 도움 글과 용어설명을 곁들여, 첫 글이 씌어진 지(1995년~1997년 3년간 월간 『이상건축』에 연재) 10년 만에 새로운 세대의 독자들에게 새롭게 선보이게 되었다.

2권 ‘앎과 삶의 공간’의 주제는 한국건축의 다양한 전통들이다. 개인주택에서 마을까지, 석굴사원에서 정원까지, 10세기 초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한국건축의 다양한 정신과 기능을 다루고 있다. 이 다양한 앎과 삶의 건축들을 통해 한국건축의 풍부한 변용력과 끈질긴 생명력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개정판 서문 ㅣ 참회와 사랑의 고백
초판 서문 ㅣ 깨달음과 변화의 영원함

1. 폐허 속의 상상력, 미륵대원
상상력의 원천, 건축적 폐허|하늘재 밑의 석굴사원|자연에 대한 순응과 인공적 변형|상상적 복원|주변의 폐허들

2. 소리와 그늘과 시의 정원, 소쇄원
창평들과 별뫼의 원림들|소쇄원 경영의 뜻|3개의 레벨과 건물|구성 요소, 담장과 물길|맑고 시원함이 오는 곳|소쇄원 사람들의 보존 노력|인근의 정자들

3. 은둔을 위한 미로들, 독락당과 옥산서원
회재 이언적의 사상과 건축|적극적인 은둔의 조건|은둔을 위한 미로의 구성|독락당, 홀로 즐거운 집|옥산서원의 건축사|정통주의의 재현|안강 세 골짜기의 건축

4. 중층건축의 지역성, 양진당과 대산루
낙동강 서쪽의 이상한 집들|상주 양진당|양진당과 관련된 건축들|상주 대산루|우산동천의 건축들|상주의 건축이 갈망했던 것|상주의 이층집들

5. 예학자의 이상향, 윤증고택
윤증과 중세의 이상|향촌에 공개된 장원|안채와 안마당|사랑채와 행랑채|절제와 여유|윤증 가의 다른 건축들

6. 중세적 장원의 흔적, 선교장
강릉, 변방의 중심|장원으로서의 선교장|두 집의 집합체|집합의 데이텀들

7. 공동체 마을과 건축, 방촌마을
전통 마을에서 배우는 것|숨겨진 광맥, 방촌마을|마을과 땅의 생김새|공동체의 장소|마을 길의 구성|살림집들의 모습|개별 주택의 발견|생활 속의 디자인 능력|주변의 공동체 건물

8. 설화로 이룬 천상의 세계, 광한루원
지상에서 천상으로|남원부의 센트럴 파크|누각이란 무엇인가|누대와 누원의 사상과 설화 체계|설화와 문학이 빚은 정원 누각

9. 최후와 최고, 선암사
선암사가 최고인 이유|조계산의 두 사찰 이야기|산 속의 자족 도시|살아 있는 수도원 집단

[부록] 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도면 목록|찾아보기
[발문] 옥시모론, 조선집의 아름다운 비밀 ㅣ 황지우(시인·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Author
김봉렬,이인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AA graduate school에서 수학했다.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한국역사학회, ICOMOS 한국위원회 등 관련 단체 활동 및 비평과 강연 활동도 겸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2, 3』, 『서원건축』,『불교건축』,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등이 있다. 20대에 집필한 최초의 저서 『한국의 건축』은 일본에서 일어판으로 출간되었고, 『The Secret Spirits of Korean Architecture』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한국의 책 100권’으로 선정되어 영국에서 영어판으로 출간되었다. 실무활동도 겸하여 ‘개포동교회’, ‘사계절출판사’, ‘현대중공업 영빈관’, ‘프랑크푸르트 한국정원’ 등을 설계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AA graduate school에서 수학했다.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한국역사학회, ICOMOS 한국위원회 등 관련 단체 활동 및 비평과 강연 활동도 겸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2, 3』, 『서원건축』,『불교건축』,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등이 있다. 20대에 집필한 최초의 저서 『한국의 건축』은 일본에서 일어판으로 출간되었고, 『The Secret Spirits of Korean Architecture』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한국의 책 100권’으로 선정되어 영국에서 영어판으로 출간되었다. 실무활동도 겸하여 ‘개포동교회’, ‘사계절출판사’, ‘현대중공업 영빈관’, ‘프랑크푸르트 한국정원’ 등을 설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