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역사 지리 2

$41.04
SKU
97889624650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18
Pages/Weight/Size 150*220*35mm
ISBN 978896246502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식민통치를 위한 ‘창지개명(創地改名)’에 기본적인 자료가 된 『조선역사지리』

이 책은 일제강점기인 1913년 남만주철도회사 역사조사실에서 출간한 『조선역사지리』 2권 중 하권을 번역한 것이다. 이 조사팀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을 담당한 것은 이케우치 히로시(池?宏)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두 사람인데, 이케우치는 주로 조선시대를, 쓰다는 고려시대 이전을 분담했다. 고려시대 이전에 대한 부분은 『조선역사지리』 상권에서 다루고 있다.

1913년 만주역사조사부의 일본인들에 의해 간행된 『조선역사지리』를 새삼 번역하여 출판하는 목적은 하나이다. 그 내용이 사실상 근대 이후 한국사 연구의 출발점에 해당하고, 『조선역사지리』기 오늘날 한국 역사지리의 골격이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사를 ‘반도’ 안에 고착시킨 『조선역사지리』는 바로 일제강점기 조선사편수사업의 기초로 활용되었고 총독부의 식민통치를 위한 ‘창지개명(創地改名)’에 기본적인 자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역사조사부의 작업은 제국 일본의 확장기라는 상황과 대륙 경영을 위한 정치적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것이다. 만주역사조사부의 연구 사업은 1915년 도쿄제국대학으로 옮겨져서 『만선지리역사 연구보고』 16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러한 연구 결과가 오늘날까지 한국사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고, 나아가서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활용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이 책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15. 고려 서북경의 개척
16. 고려 동북경의 개척
17. 윤관 정략지역고
18. 원대 고려 서북경의 혼란
19. 원대 고려의 동북경
20. 고려말의 압록강 연안 영토
21. 고려말의 동북경 개척
22. 조선 초기의 두만강 방면 경략
23. 조선 초기 압록강 상류 지방의 영토
24. 부록 - 왜구 지도에 대하여

■ 부도
부도 7. 고려의 북경 개척
부도 8. 원대 고려 북경도
부도 9. 고려말의 동북경
부도 10. 조선초의 동북경
부도 11. 왜구 지도

해설 - 『조선역사지리』 해제
Author
쓰다 소키치,한세진,박지영,복기대
동경전문학교 방어정치과에서 공부하였고, 1907년부터 ‘만선지리역사조사실연구원’으로 본격적인 동북아시아 역사연구를 시작하였다. 1913년 그의 방식으로-구체적으로 비교하지 않고 편의에 따라 짜깁기하거나 문학적인 방식- 정리된 『朝鮮歷史地理』를 출판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한국역사지리의 기본이 되었다. 1918년에 와세다대학 교수로 부임한다. 한국 학자들 가운데는 이병도 교수가 그의 제자이다.
동경전문학교 방어정치과에서 공부하였고, 1907년부터 ‘만선지리역사조사실연구원’으로 본격적인 동북아시아 역사연구를 시작하였다. 1913년 그의 방식으로-구체적으로 비교하지 않고 편의에 따라 짜깁기하거나 문학적인 방식- 정리된 『朝鮮歷史地理』를 출판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한국역사지리의 기본이 되었다. 1918년에 와세다대학 교수로 부임한다. 한국 학자들 가운데는 이병도 교수가 그의 제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