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중국을 움직인 상(相) 2

$10.58
SKU
9788960400375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9/25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60400375
Description
『조선을 움직이는 相』의 후속편이다. 1편과 마찬가지로 관상학에 대한 책인데, 본서는 중국의 사례를 다룬다. 관상학은 사람의 외모로 길흉을 판단하는, 일종의 점법이다. 다른말로 인상학(人相學)이라고도 하며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중국에서는 남북조 시대에 활약한 달마의 『달마상법』과 송나라가 일어나기 직전에 마의도사가 창안한 『마의상법』이 유명하다. 이 책은 상기 두 권의 저서 이외에도 『풍감원리』,『서경집』등 다양한 이야기를 소개한다.
Contents
여는 글

첫장을 열면서

천하를 호령할 관상
귓발이 입으로 향한 명주출해형
사랑만 찾아다닌 비둘기 눈
재주있는 사람의 손바닥에 보훈문
불행을 몰고 다니는 물고기 눈
용의 눈에 활같이 휘어진 청수미
누에가 잠을 자는 듯한 와잠미
태양처럼 분명하고 가지런한 서봉안
턱이 둥글고 이마가 좁으면 조심하라
죽어서도 형역을 당하는 돼지의 상
외롭고 피로한 칼날 코
목줄에 뼈가 맺힌 외고집 상
배상문은 크고 귀하다
활처럼 뛰놀듯한 맑은 눈썹
이지러진 오악은 죽음을 부른다
월식에 태어나면 눈에 정기가 없다
눈이 둥글고 관골이 솟이 화를 내면 붉어진다
복숭아 눈은 음탕하다
부귀를 누리는 쇠귀
스스로 이름을 날리고 힘을 쓰는 손금
사람의 골을 쪼아먹는 간악한 성품
재물을 모으지만 뒤가 불행한 호양비
관록궁이 매끄러우면 난세엔 간웅
조천문은 길흉이 상반한다
대나무 대롱을 쪼갠듯한 콧대는 재물이 풍성하다
골격이 깎이고 편벽되면 교만하다
옛스럽고 괴상한 얼굴은 장수한다
얼굴 가득 자화가 피면 큰일을 한다
양쪽 턱에 광택이 있고 풍성하다
성격이 포악하고 흉한 돼지 눈
귀한 자리에 오르는 통갈비
일월각이 솟으면 문무겸존의 상
음탕하고 난잡한 원앙안
긴 팔 원숭이 눈은 음모가 얕다
제비 턱에 호랑이 이마는 장군의 상이다
의리가 박약하고 탐욕스런 노루코
잔인한 뱀눈
노루 머리에 쥐의 눈은 간교하다
호랑이 걸음에 용의 행동은 장군의 기질
관상술에 능한 내시감
붕어의 입은 천하에 다시 없는 술꾼
위엄이 서린 호안은 큰일을 이룬다
콧구멍이 검게 마르면 가난하다
불만스러운 백안
양발 사마귀도 선덕을 쌓아야 생기가 일어난다
손이 무릎까지 내려가면 영웅호걸
명궁이 밝으면 학문에 통달한다
금궤와 갑궤가 풍부하면 집안을 일으킨다
인당에 누런 꽃이 점 조각처럼 피다
용의 뇌에 봉황의 눈은 총명하고 치밀하다
음란한 눈 꼬리의 검은 사마귀
곡도의 털이 어지러우면 비명횡사한다
권위와 위엄이 있는 선라미
이리 눈은 포악하고 탐욕스럽다
중책을 맡을 수 있는 손바닥의 옥정문
아나 전기의 교훈
학문을 크게 이루는 필진문
명궁에 주름살이 있는 말의 눈
기둥의 코가 기울면 간교하고 탐욕이 많다
맑고 광채가 나는 눈이 준두와 응하다
흉악한 사람의 표본은 양안
상모궁에 삼정이 갖춰지면 현달한다
혼이 부족한 귀아과 한가한 묘안
귀인의 발이 두터우면 한가한 즐거움이 있다
귀뿌리의 검고 작은 사마귀는 길옆에서 죽을 운수
Author
여설하
아호는 여해, 한문학자이자 소설가, 역사탐험가이다. 일제 허만련 선생에게 한학을 사사했다. 강절, 소옹을 사숙하여 『주역』과 『육임』, 『황극책수』에 심취하였다. 소설가협회 회원, 논픽션협회 회원, 불교문인협회 회원, 추리작가협회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 중국문학동호문인회 사무국장, 동양고전문학회 상임연구위원, 『여해한문서당』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 『역사의 커튼』으로 제2회 탐미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번역서로는 『논어상해』, 『사서집주』, 『역해삼국유사』, 『그림으로 보는 고사 명언』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우리가 꼭 알아야할 365일 고사성어 대백과』, 『신잉기 중국사(전 3권)』, 『소설 내시』, 『소설 궁합』, 『소설 풍수비기』, 『소설 황제내경』, 『소설 무당』, 『소설 처용무』, 『마앙생전』, 『신점』, 『소설 서녀경』등이 있다.
아호는 여해, 한문학자이자 소설가, 역사탐험가이다. 일제 허만련 선생에게 한학을 사사했다. 강절, 소옹을 사숙하여 『주역』과 『육임』, 『황극책수』에 심취하였다. 소설가협회 회원, 논픽션협회 회원, 불교문인협회 회원, 추리작가협회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 중국문학동호문인회 사무국장, 동양고전문학회 상임연구위원, 『여해한문서당』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 『역사의 커튼』으로 제2회 탐미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번역서로는 『논어상해』, 『사서집주』, 『역해삼국유사』, 『그림으로 보는 고사 명언』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우리가 꼭 알아야할 365일 고사성어 대백과』, 『신잉기 중국사(전 3권)』, 『소설 내시』, 『소설 궁합』, 『소설 풍수비기』, 『소설 황제내경』, 『소설 무당』, 『소설 처용무』, 『마앙생전』, 『신점』, 『소설 서녀경』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