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방언의 사용이 한국어 사용에 대한 통찰뿐만 아니라
인간 정신 작동 방식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 고찰하다
이 책은 제주 방언의 통사 현상 중 접속 구문과 내포 구문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 설화 채록 자료들을 통해서 밝혀 놓은 책이다. UNESCO에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재되면서 마치 유구어가 일본어가 아닌 듯이, 제주 방언이 한국어가 아니라고 왜곡된 주장이 외국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지만, 이 방언의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하나하나 이 방언의 자료가 공통어와 긴밀하게 대응되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미 1980년대에 70대 전후의 토박이 화자들의 설화를 말해 준 자료를 중심으로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사례들을 모았고, 이를 위하여 저자 나름대로의 이론 구축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비단 절과 절을 이어주거나 절을 자기 안에 포함하고 있는 상위절이라 하더라도, 그 작용과 해석에서는 통사 영역을 넘어서서 화용 및 담화 전개 차원의 원리들이 긴밀히 작용하고 있음도 처음으로 밝혀냈다. 그리고 매우 간단해야 무의식적으로 쓸 수 있는 언어 사용 원리는, 밑바닥에서 여러 층위의 복합적으로 동시에 작동해야 하는 정신 작동 방식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함도 부각시키고 있다.
Contents
제6부 내포 구문의 두 부류: 발화·마음가짐의 표상 및 행동 목표·실현 모습의 표상
제1장 들머리
제2장 내포 구문의 정의 및 이 방언에서 관찰되는 형식
제3장 온전한 문장(완형 보문)으로 나오는 발화 인용의 내포 구문
제4장 온전한 문장으로 나오는 의도·추측의 내포 구문
제5장 동사의 어간과 결합하는 내포 구문의 어미: ‘-아, -게, -지, -고’
제6장 당위나 필수 조건을 표현하는 ‘-아사 {되다, 하다}’ 구문, 그리고 행위의 의도나 추측을 표현하는 ‘-을랴고 하다’ 구문
제7장 기능이 확정되어야 할 내포 어미와 접속 어미의 범주: 양태 범주
제8장 제6부에 대한 요약
제7부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에 대한 결론
제1장 각 부마다의 논의 요약
제2장 최종 마무리
부록
1. 접속 및 내포 구문의 어미 목록과 용례
접속 어미(그리고 접속 어미로부터 전성된 종결 어미)
내포 어미(그리고 내포 어미로부터 전성된 종결 어미)
2. 참고문헌
3.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