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계에서 널리 인정을 받고 있는 저자 안성재의 책으로, 일반 명리학과는 구별되는 관점에서 명리상담을 조명했으며 명리상담에 필요한 새로운 이론을 담고 있다. 일반적 명리학 이론은 격국 이론에 기초하면서 신강신약에 의한 억부용신법을 기본으로 하면서 조후용신, 병약용신, 전왕용신, 통관용신의 방법으로 용신을 정하고, 용신이라는 기준에 의해서 길흉판단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일반적인 명리학 이론을 포함하면서도 한 걸음 더 나아가 일반 명리학에서 다루지 못하고 있는 이론까지 제시하고 있다.
이 책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는, 명리학을 인체도에 상응시켜 설명하고 있다는 점, 고법 십성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12운성을 색다르게 적용하는 원리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12운성과 에너지를 상응시켜 놓았다는 점, 천중살의 이론을 제시하여 대운과 유년의 길흉화복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대운과 세운의 관계를 통해 1년 신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이론을 제시했다는 점, 십성 상호간의 관계로 보는 새로운 궁합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직업과 학과의 판단과 선택에 필요한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인생의 굴곡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기존의 구태의연한 명리서들과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책을 통해 누구나 명리상담에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2장 명리학의 기초원리
1. 천간론
1) 오행의 특성
2) 천간의 특성
3) 천간의 작용
2. 지지론
1) 12지지의 특성
2) 지지의 작용
3) 지지 합 해설
4) 지지 충 해설
5) 지지 형 해설
6) 지지 원진 해설
제3장 인체도와 명리학의 관계
1. 인체도 구성
2. 인체도 역할
3. 사주와 인체도
4. 지장간 원리 해설
1) 지장간 이론
2) 산명학 이론
3) 지장간을 알아야 하는 이유
5. 대운 구성법
1) 남자 대운 구성법
2) 여자 대운 구성법
3) 대운 구성 해설
4) 월두법 이해
제4장 상생·상극론 작용
1. 주성의 상생·상극론
1) 주성의 상생관계
2) 십성의 상생관계
3) 십성의 상생·상극관계
4) 오행의 다소 이론
2. 고법 십성론
1) 관색
2) 석문
3) 봉각
4) 조서
5) 녹존
6) 사록
7) 차기
8) 견우
9) 용고
10) 옥당
3. 주성의 역할
1) 주성의 기질
2) 주성의 특성
4. 주성이 원국에 많을 때
1) 비견·겁재가 많을 때
2) 식신·상관이 많을 때
3) 편재·정재가 많을 때
4) 편관·정관이 많을 때
5) 편인·정인이 많을 때
5. 주성이 원국에 약할 때
1) 비견·겁재의 작용
2) 식신·상관의 작용
3) 편재·정재의 작용
4) 편관·정관의 작용
5) 편인·정인의 작용
제5장 12운성론
1. 12운성론
1) 12운성 적용법
2) 12운성의 이해
3) 음간 구성법
2. 12운성과 에너지 관계
1) 12운성별 점수
3. 12운성 작용
1) 천귀성
2) 천황성
3) 천남성
4) 천록성
5) 천장성
6) 천당성
7) 천호성
8) 천극성
9) 천고성
10) 천치성
11) 천보성
12) 천인성
4. 12운성과 에너지 표기
1) 지지 에너지 작용
2) 대운의 에너지가 상승할 때
3) 대운의 에너지가 감소할 때
제6장 인체도의 작용
1. 인체도를 통한 특성
1) 사주와 인체도 관계
2) 인체도 구성
제7장 천중살
1. 천중살 구성
1) 천중살이란
2) 천중의 원리
3) 천중의 의미
4) 천중의 작용
5) 해당 육친이 천중일 때
6) 천중 방위 해설
7) 대운·세운 천중 작용
2. 대운 천중살 해설
3. 세운 천중살 해설
4. 년운과 월운이 천중살일 때
1) 세운 비견성이 천중살
2) 세운 천중살이 겁재성
3) 세운 천중살이 식신성
4) 세운 천중살이 상관성
5) 세운 천중살이 편재성
6) 세운 천중살이 정재성
7) 세운 천중살이 편관성
8) 세운 천중살이 정관성
9) 세운 천중살이 편인성
10) 세운 천중살이 정인성
제8장 격국 용신론
1. 격국론
2. 격국 분석론
1) 격국 판단법
2) 격국을 정하는 방법
3) 격국과 학과와의 상관관계
3. 용신 활용법
1) 용신은 누구에게 필요한가?
2) 용신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
제9장 세운·대운 해설
1. 세운 해설
1) 세운에 나타난 운세
2) 세운이 합이 될 때
3) 세운이 충이 될 때
4) 세운이 형이 될 때
5) 세운이 원진이 될 때
2. 대운 해설
1) 천간 해설
2) 지지 해설
제10장 궁합론
1. 궁합
2. 나와 상대의 가슴과의 관계
1) 나의 가슴이 비견성
2) 나의 가슴이 겁재성
3) 나의 가슴이 식신성
4) 나의 가슴이 상관성
5) 나의 가슴이 편재성
6) 나의 가슴이 정재성
7) 나의 가슴이 편관성
8) 나의 가슴이 정관성
9) 나의 가슴이 편인성
10) 나의 가슴이 정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