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학」21호(1988)부터 40호(2004)까지 실린 논문들과 「한국민속학보」3호(1994)부터 11호(2000, 폐간)까지 발표된 논문들 중 편집 위원회가 주제별로 구분하여 엮어 총 9권으로 기획한 『한국민속학학술총서』 중 6권으로 전북 해안지역 동제의 활용방안, 한국 개신교의 특이 현상들과 민간 신앙과의 상관성, 어부심과 여성 등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수록하고 있다.
서남해의 갯제와 용왕신앙 / 이경엽
1. 서론
2. 갯제의 두 양상
3. 갯제 전승과 어로 활동의 관련성
4. 갯제의 수행 방식과 용왕신앙
5. 결론
한국 개신교의 특이 현상들과 민간신앙과의 상관성 / 이복규
1. 서론
2. 한국 개신교의 특이현상들과 민간신앙과의 상관성
3. 결론
분단 이후 북한의 민간신앙과 현대판 속담의 일단 - 최근의 탈북자들이 구술한 자료를 중심으로 - / 이복규
1. 서론
2. 북한의 민간신앙
3. 북한의 현대판 속담
4. 북한 민간신앙과 현대판 속담의 존재 의의
5. 결론
어부심과 여성 / 이성희
1. 문제제기
2. 어부심의 양상
3. 여성과 어부심
4. 결론
마을제(祭)에 나타난 한국인의 사유(思惟) / 임동권
1. 마을제와 제신(祭神)
2. 마을제의 구성과 제의
3. 마을제와 전통
풍수지리설의 생태학적 이해와 한국인의 자연관 / 임재해
1. 풍수지리설을 보는 생태학적 눈
2. 풍수지리설의 자연관과 과학성 문제
3. 풍수지리설에서 주목하는 자연
4. 간륭법에 드러난 유기체적 자연인식
5. 형국론의 소응과 자연의 생명인식
6. 자연물의 생명 인식과 인간의 자연화
7. 땅의 생명성과 지기, 그리고 불가사의
8. 풍수설의 생태학적 자연인식과 과학적 이해
9. 풍수설의 신앙적 성격과 인문학적 자각
10. 풍수지리설을 공부하며 깨달은 사람들
성기(性器) 신앙(信仰)의 형태와 성격 / 장장식
1. 서론
2. 성기 신앙의 신앙 형태
3. 성기 신앙의 사적 전개
4. 성기 신앙의 제 신앙적 성격
5. 성기 신앙의 본질적 의미
6. 결론
구비담론으로 본 군자봉 성황제 - 군자봉 성황당신화를 중심으로 - / 장장식
1. 구비담론을 주목하는 까닭
2. 구비담론의 한 층위 : 좌정을 둘러싼 내력담의 혼란
3. 구비담론의 또다른 층위 : 신격의 위엄과 영험담의 보편성
4. 군자봉 성황제를 지키는 사람들
5. 지역사 복원을 위한 엄밀한 자료 확보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