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대학의 실증주의적인 학풍을 만들어낸 장본인이자, 중국을 포함한 세계의 역학계를 대표하는 학자 주백곤의 책이다. 문화대혁명 기간을 포함하여 20여 년의 세월 동안 『역학철학사』 집필하는 데 몰두한 주백곤은 금세기 중국철학 연구의 금자탑으로 평가받는 190만자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연구 업적을 이룩하였다. 『역학철학사』 매 시기의 역학철학과 사상가의 관점을 사회배경, 시대정신, 사상연원과 사상교류의 시각에서 심도 있게 조망한다고 평가받는다. 역학과 시대정신, 역학과 철학, 역학과 경학과의 관계 속에서 역학의 시대성, 철학을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역학을 점서와 철학적 언어라는 두 가지 언어체계로 구성된다고 전제하는데, 이러한 전제 아래 역학철학발전의 내부논리를 체계화했고, 이를 풍부한 자료를 인용하여 논증했다. 이 책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역학이 독립된 학과임을 주장하는 부분이다. 주백곤은 『역학철학사』를 통해 “역학이 각 시대의 철학사상과 긴밀한 교섭을 통해 발전한다”고 말한다. "주역"은 우주론, 인성론, 경세론 등의 관점을 두루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선진·양한·위진·송명의 철학이 각자의 사유를 전개함에 있어 "주역"을 그들 사상의 전거로 삼고 있다. 한대의 금·고문역학, 위진의 현학파역학, 송명의 수학파역학, 리학파역학, 기학파역학, 심학파역학 등은 역학과 시대철학의 긴밀한 교섭을 잘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역학철학사』는 역학과 시대철학의 교섭을 논증하는 책이라도 말할 수 있다.
Contents
제4장_ 위진현학파의 역학철학
1. 왕필 ??주역주??와 ??주역약례??
1) ??주역??의 역 해석틀을 논하다
2) 역학 속의 현학관
2. 한강백의 ?계사주?
1) ??주역??의 성질을 논하다
2) 역학 중의 현학문제
3. 현학파와 상수파의 논쟁에 관하여
1) 위진시기의 역학철학적 문제에 관한 논의들
2) 남북조 시기 역학발전의 추세
제5장_ 당대 역학철학의 발전
1. 공영달의 ??주역정의??
1) ??주역?? 해석틀을 논함
2) ??주역??의 원리를 논함
2. 최경과 이정조의 역설
1) 최경의 ??주역탐현??
2) 이정조의 역학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