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2

$13.80
SKU
978894970615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12/1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06153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소학』은 중국 송나라의 유자징劉子澄이 주희의 가르침을 받아 지은 초학자들의 수양서이다. 예법과 선행, 충신과 효자의 사적, 격언 등을 고금의 책에서 뽑아 편찬하였다. 이 『소학』에서 배우는 과목은 『맹자』에서 말한 오륜五倫이 그 기본이지만 그 외에도 뒤에 세분화되고 구체화되어 소위 삼사 즉, 육덕, 육행, 육예를 과정별로 가르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계몽의 가치를 넘어 가장 쉽게 성리학의 기본 개념에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 소년 필독서로 널리 활용되었다. 또한 서울의 사학과 지방의 향교 서원 서당 등 교육기관에서 기초과목으로 널리 읽혀왔다.
Contents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Ⅰ. 소학小學의 함의
1. 상고시대 교육제도로서의 소학
2. 문자학으로서의 소학
Ⅱ. 『소학小學』
1. 『소학小學』의 편집과 유청지劉淸之, 그리고 주희朱熹
2. 『소학』의 체제와 내용
3. 역대 『소학』의 주석서
Ⅲ. 조선시대 『소학』에 관한 열기와 언해 및 연구서

068 소학小學1/3

小學序題
Ⅰ. 『小學』書題宋, 朱熹
Ⅱ. 『小學』題辭宋, 朱熹
Ⅲ. 「御製小學序」朝鮮, 李德成

內篇

第一 입교立敎
◎ 立敎 小序
001(1-1) 태교
002(1-2) 나이에 따른 교육 내용
003(1-3) 어린아이 교육
004(1-4) 고대의 학교
005(1-5) 오륜
006(1-6) 순임금의 명령과 부탁
007(1-7) 대사도의 직책
008(1-8) 악정의 임무
009(1-9) 제자의 직책과 학칙
010(1-10) 제자 된 자의 임무
011(1-11) 시와 예악
012(1-12) 예악
013(1-13) 배우지 않았으나

第二 명륜明倫
◎ 明倫 小序
1. 명부자지친明父子之親
014(2-1-1) 부모 섬기는 방법
015(2-1-2) 첫닭이 울면
016(2-1-3) 아침의 부모 모심
017(2-1-4) 부모나 시부모에게 취할 예절
018(2-1-5) 혼정신성
019(2-1-6) 부드러운 얼굴로
020(2-1-7) 어버이가 살아 계실 때
021(2-1-8) 멀리 가지 말라
022(2-1-9) 친구를 위해 죽을 수 없다
023(2-1-10) 몸을 남에게 맡길 수 없다
024(2-1-11) 먼저 부모님부터
025(2-1-12) 사사로운 살림
026(2-1-13) 부르실 때의 대답
027(2-1-14) 사상견례
028(2-1-15) 효자가 지켜야 할 예절
029(2-1-16) 서손을 대할 때
030(2-1-17) 내쫓을 수 없는 아내
031(2-1-18) 부모님의 뜻이 우선
032(2-1-19) 총부의 임무와 권한
033(2-1-20) 종부의 임무와 권한
034(2-1-21) 부모님께 간언할 때
035(2-1-22) 부모님의 과실
036(2-1-23) 세 번 간언
037(2-1-24) 부모님이 병환 중일 때
038(2-1-25) 부모님께 드리는 약
039(2-1-26) 아버지의 도를 바꾸지 않아야
040(2-1-27) 부모님 생각을 먼저
041(2-1-28) 서리와 이슬이 내리면
042(2-1-29) 부부가 함께 제사를 받들어야
043(2-1-30) 제사는 직접 임해야
044(2-1-31) 제사에서 재계의 단계
045(2-1-32) 제기는 팔아먹지 않는다
046(2-1-33) 제기는 빌려 쓰지 않는다
047(2-1-34) 신체발부
048(2-1-35) 패덕과 패례
049(2-1-36) 삼생으로 봉양한다 해도
050(2-1-37) 다섯 가지 불효
051(2-1-38) 완수해야 할 다섯 가지 효도
052(2-1-39) 오형

2. 명군신지의明君臣之義
053(2-2-1) 임금을 뵙기 전의 준비
054(2-2-2) 임금의 심부름
055(2-2-3) 임금이 부르신 국빈
056(2-2-4) 궁궐에서의 예절
057(2-2-5) 임금이 하사한 수레나 말
058(2-2-6) 임금이 하사한 과일
059(2-2-7) 임금을 모시고 식사를 할 때
060(2-2-8) 임금이 내리신 음식과 날고기
061(2-2-9) 임금의 제례
062(2-2-10) 공자를 문병 온 임금
063(2-2-11) 임금이 부르실 때
064(2-2-12) 길월
065(2-2-13) 상하가 능히 친할 수 있도록
066(2-2-14) 임금과 신하
067(2-2-15) 대신
068(2-2-16) 임금 섬기는 일
069(2-2-17)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없는 자
070(2-2-18) 임금 섬기는 세 가지 표준
071(2-2-19) 관직이 맞지 않으면
072(2-2-20) 충신과 열녀

3. 명부부지별明夫婦之別
073(2-3-1) 아내는 동성을 취하지 않는다
074(2-3-2) 사혼례
075(2-3-3) 혼례의 의미
076(2-3-4) 사흘 음악을 울리지 않는 이유
077(2-3-5) 조심해야 할 부부 사이의 예절
078(2-3-6) 남자는 집안일을 거론하지 않는다
079(2-3-7) 삼종지도와 칠거지악
080(2-3-8) 과부의 아들

4. 명장유지서明長幼之序
081(2-4-1) 아무리 어린아이라 해도
082(2-4-2) 제와 부제
083(2-4-3) 아버지의 친구
084(2-4-4) 나이 차이에 따른 예절
085(2-4-5) 어른에게 질문을 드리러 갈 때
086(2-4-6) 선생님을 마주쳤을 때
087(2-4-7) 어른이 손을 잡아주면
088(2-4-8) 어른 앞에서 청소를 할 때
089(2-4-9) 수업 중의 태도와 예절
090(2-4-10) 수업을 받을 때의 예절
091(2-4-11) 개를 꾸짖지 않으며
092(2-4-12) 군자를 모시고 있을 때
093(2-4-13) 어떤 이가 군자를 찾아오면
094(2-4-14) 어른과 식사를 할 때의 예절
095(2-4-15) 어른이 하사하면
096(2-4-16) 어른과 함께하는 성찬
097(2-4-17) 질문할 때의 예절
098(2-4-18)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어른을 모실 때
099(2-4-19) 아버지 연배의 어른
100(2-4-20) 향인과 술을 마실 때

5. 명붕우지교明朋友之交
101(2-5-1) 이문회우
102(2-5-2) 친구와 형제
103(2-5-3) 친구의 도리
104(2-5-4) 벗에게 충고할 때의 한계
105(2-5-5) 어진 이를 섬겨야
106(2-5-6) 손익에 관계되는 세 가지 친구 유형
107(2-5-7) 친구를 사귈 때
108(2-5-8) 상대에게 끝까지 요구하지 말 것
109(2-5-9) 손님을 안으로 맞아들일 때
110(2-5-10) 대부와 사의 만남
111(2-5-11) 주인이 먼저 묻지 않으면

6. 통론通論
112(2-6-1) 안에서 성취한 행동
113(2-6-2) 간쟁할 수 있는 이유
114(2-6-3) 간언과 얼굴 표정
115(2-6-4) 세 가지 은덕
116(2-6-5) 예의 선물
117(2-6-6) 때를 놓치지 말라
118(2-6-7) 효도는 처자로 인해 시든다
119(2-6-8) 상서롭지 못한 세 가지
120(2-6-9) 쓸데없는 변론

第三 경신敬身
◎ 敬身 小序
1. 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121(3-1-1) 단서에 있는 경계
122(3-1-2) 공경히 해야 할 것들
123(3-1-3)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124(3-1-4) 문밖에 나서서
125(3-1-5) 이적의 땅에서도 버릴 수 없는 것
126(3-1-6) 만맥과 주리
127(3-1-7) 군자의 구사
128(3-1-8) 귀히 여길 바 세 가지
129(3-1-9) 선행
130(3-1-10) 백체로 하여금 정당함을 따르도록
131(3-1-11) 호학
132(3-1-12) 백성의 세 가지 등급

2. 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133(3-2-1) 예와 의
134(3-2-2) 금해야 할 행동들
135(3-2-3) 남의 집에 들어설 때
136(3-2-4) 군자의 용모
137(3-2-5) 앉을 때의 자세
138(3-2-6) 남의 은밀함을 엿보지 말라
139(3-2-7) 수레 안에서
140(3-2-8) 시선을 바르게
141(3-2-9) 공자의 훌륭한 태도
142(3-2-10) 식사와 잠자리
143(3-2-11) 올바른 화제
144(3-2-12) 자리가 바르지 않으면
145(3-2-13) 만나는 사람마다
146(3-2-14) 비바람과 우레
147(3-2-15) 시신처럼 눕지 않았다
148(3-2-16) 공자의 평소 모습
149(3-2-17) 남과 나란히 앉을 때
150(3-2-18) 나라의 도성으로 들어서서
151(3-2-19) 빈 방에 들어설 때
152(3-2-20) 군자가 옥을 차는 이유
153(3-2-21) 활쏘기의 의미


069 소학小學2/3

3. 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154(3-3-1) 관례의 순서와 내용
155(3-3-2) 부모님 생존 여부와 의관 색깔
156(3-3-3) 공자의 옷차림
157(3-3-4) 상기를 마친 후
158(3-3-5) 공자의 조문 복장
159(3-3-6) 어린아이의 복장
160(3-3-7) 도에 뜻을 둔 선비라면

4. 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161(3-4-1) 남의 집에서 식사를 할 때
162(3-4-2) 군자를 모시고 식사를 할 때
163(3-4-3) 공자의 식사 습관
164(3-4-4) 군자가 도살장을 멀리하는 이유
165(3-4-5) 술에 대한 예절
166(3-4-6) 음식을 탐내는 사람

第四 계고稽古
◎ 稽古 小序
1. 입교立敎
167(4-1-1) 태임의 태교
168(4-1-2) 맹모삼천
169(4-1-3) 공자의 아들 교육
170(4-1-4) 담을 마주하고 서 있는 형국

2. 명륜明倫
171(4-2-1) 순임금의 아버지
172(4-2-2) 순임금의 대효
173(4-2-3) 효자는 시간을 아낀다
174(4-2-4) 문왕이 세자였을 때
175(4-2-5) 무왕의 효성
176(4-2-6) 무왕과 주공의 효성
177(4-2-7) 주공의 효성
178(4-2-8) 증석과 증자, 그리고 증원
179(4-2-9) 민자건의 효성
180(4-2-10) 색동옷을 입고 효성을 다한 노래자
181(4-2-11) 악정자춘의 효성
182(4-2-12) 어머니의 기력을 슬퍼한 백유
183(4-2-13) 공명선과 증자
184(4-2-14) 소련과 대련
185(4-2-15) 고시의 읍혈
186(4-2-16) 안정의 상례
187(4-2-17) 살얼음 밟듯이
188(4-2-18) 기자와 비간
189(4-2-19) 백이와 숙제
190(4-2-20) 거백옥의 경건한 태도
191(4-2-21) 탄탄칠신의 예양
192(4-2-22) 왕손가의 충의
193(4-2-23) 구계가 추천한 기결
194(4-2-24) 공보문백의 어머니
195(4-2-25) 백주의 시
196(4-2-26) 채나라 사람의 아내
197(4-2-27) 만장의 질문
198(4-2-28) 고죽국의 왕자 백이와 숙제
199(4-2-29) 우나라와 예나라 군주
200(4-2-30) 계교를 부리지 말라
201(4-2-31) 안평중

3. 경신敬身
202(4-3-1) 백이의 태도
203(4-3-2) 자유와 담대멸명
204(4-3-3) 개구멍
205(4-3-4) 백규의 시
206(4-3-5) 응락한 일
207(4-3-6) 자유의 기개
208(4-3-7) 취휼관
209(4-3-8) 길쌈을 하고 있던 공보문백의 어머니
210(4-3-9) 가난한 안회

4. 통론通論
211(4-4-1) 의방으로 가르쳐야
212(4-4-2) 유강공과 성숙공
213(4-4-3) 북궁문자의 예견

外篇

第五 가언嘉言
◎ 嘉言 小序
1. 광입교廣立敎
214(5-1-1) 어린아이의 교육 방법
215(5-1-2) 양문공의 가훈
216(5-1-3) 경박한 자제를 가르치는 방법
217(5-1-4) 노래로써 가르쳐라
218(5-1-5) 인품에 맞는 교육과정
219(5-1-6) 호랑이를 그리려다 개를 그리면
220(5-1-7) 유비의 유언
221(5-1-8) 제갈량의 자식 훈계
222(5-1-9) 유빈의 자제 훈계
223(5-1-10) 승진부탁을 시로써 깨우쳐준 범질
224(5-1-11) 소옹이 자손들에게 경계한 말
225(5-1-12) 서적이 학자들에게 훈계한 글
226(5-1-13) 호안국의 자녀에게 주는 글
227(5-1-14) 선거령 진양

2. 광명륜廣明倫
228(5-2-1) 집안일 처리 방법
229(5-2-2) 부모의 명령은 장부에 기록하라
230(5-2-3) 순종이 곧 효도
231(5-2-4) 천하에 옳지 않은 부모는 없으니
232(5-2-5) 의사를 선택하라
233(5-2-6) 남에게 시킬 수 없는 일
234(5-2-7) 짐승도 보답을 알거늘
235(5-2-8) 관례 풍습을 쇠퇴
236(5-2-9) 상례 예절을 어긴 사례들
237(5-2-10) 예를 잃은 진수
238(5-2-11) 부모 상중의 외출
239(5-2-12) 불교 교리에 반대함
240(5-2-13) 미신을 믿지 말라
241(5-2-14) 돌아가신 부모님의 제삿날
242(5-2-15) 집안일을 넓혀 나랏일로
243(5-2-16) 주부와 현령의 알력
244(5-2-17) 일명의 조사
245(5-2-18) 자신부터 바르게
246(5-2-19) 대부를 비난하지 말라
247(5-2-20) 관직에서 지켜야 할 세 가지
248(5-2-21) 무축과 여승, 뚜쟁이를 멀리 하라
249(5-2-22) 부하에게 제압을 당하면
250(5-2-23) 화부터 내어서는 안 된다
251(5-2-24) 성심으로 하면 된다
252(5-2-25) 조혼 풍습의 폐단
253(5-2-26) 혼인에서 재물을 논하는 것은
254(5-2-27) 일부일처
255(5-2-28) 혼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법
256(5-2-29) 딸과 며느리의 차이
257(5-2-30) 과부에게 장가들 때
258(5-2-31) 부인의 집안일
259(5-2-32) 남북 부녀자들의 차이
260(5-2-33) 장가를 든 뒤의 가족 화목
261(5-2-34) 아버지의 훈계
262(5-2-35) 요즈음 세태
263(5-2-36) 형제라도 생각이 다를 수 있다
264(5-2-37) 공경을 위주로
265(5-2-38) 붕우사이에 지켜야 할 덕목
266(5-2-39) 대를 이어가야 할 돈독한 우정
267(5-2-40) 조상의 음덕
268(5-2-41) 가계는 여유를 남겨두어라


070 소학小學3/3

3. 광경신廣敬身
269(5-3-1) 이익을 도모하지 말라
270(5-3-2) 담은 크게 가질 것
271(5-3-3) 선을 좇는 것은 어렵지만
272(5-3-4) 종신토록 길을 양보한다 해도
273(5-3-5) 성인과 현인
274(5-3-6) 문장을 일삼는 일
275(5-3-7) 죽으면서도 깨닫지 못하고 있으니
276(5-3-8) 성현의 말이 그토록 많지만
277(5-3-9) 마음과 몸
278(5-3-10) 올곧고 엄숙하게
279(5-3-11) 군자의 장경함
280(5-3-12) 자신의 몸
281(5-3-13) 이천 선생의 네 가지 잠언
282(5-3-14) 세 가지 불행
283(5-3-15) 예와 의를 버린다면
284(5-3-16) 자신을 용서하는 데에는 너그러우나
285(5-3-17) 기상을 터득해야 한다
286(5-3-18) 자신의 악을 공격하라
287(5-3-19) 선배와 후배의 학문 태도
288(5-3-20) 좋은 사람은 얼마든지 있다
289(5-3-21) 장사숙의 좌우명
290(5-3-22) 담박한 세상맛
291(5-3-23) 범익겸의 좌우계
292(5-3-24) 벼슬길과 문예
293(5-3-25) 독서와 학문의 목적
294(5-3-26) 대학과 논어, 맹자
295(5-3-27) 논어와 맹자
296(5-3-28) 논어 읽는 방법
297(5-3-29) 중용 읽는 법
298(5-3-30) 육경
299(5-3-31) 경서와 자서, 그리고 사서까지
300(5-3-32) 날로 이치를 변별하면
301(5-3-33) 두려워해야 할 후배
302(5-3-34) 남에게 빌린 책
303(5-3-35) 가르침의 순서
304(5-3-36) 고금의 이단

第六 선행善行
1. 실입교實立敎
305(6-1-1) 형공 여희철
306(6-1-2) 여희철의 어머니
307(6-1-3) 태학생을 내쫓은 양성
308(6-1-4) 안정 선생 호원
309(6-1-5) 명도 선생의 교육에 대한 건의
310(6-1-6) 이천 선생의 학제에 대한 심의
311(6-1-7) 여씨향약
312(6-1-8) 명도 선생의 교육관

2. 실명륜實明倫
313(6-2-1) 효자 강혁
314(6-2-2) 설포의 효성
315(6-2-3) 하늘을 감동시킨 왕상의 효도
316(6-2-4) 왕부와 시경
317(6-2-5) 왕연의 효성
318(6-2-6) 효부 당부인
319(6-2-7) 유검루의 효성
320(6-2-8) 어머니 장례를 치르지 못한 하자평
321(6-2-9) 50년 만에 찾은 어머니
322(6-2-10) 불교 의식을 거부한 이천 선생
323(6-2-11) 곽광의 빈틈없는 행동
324(6-2-12) 강직한 급암
325(6-2-13) 정직함을 목숨과 바꾼 고윤
326(6-2-14) 먼저 국법부터 속인다면
327(6-2-15) 최원위의 어머니
328(6-2-16)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 충고
329(6-2-17) 위정에 무슨 어려움이
330(6-2-18) 여희철 부자
331(6-2-19) 진효부의 의리
332(6-2-20) 포선의 아내
333(6-2-21) 문숙의 아내
334(6-2-22) 정의종의 처
335(6-2-23) 봉천 두씨의 두 딸
336(6-2-24) 목융의 우애
337(6-2-25) 소경과 보명 형제
338(6-2-26) 왕상의 아우 왕람
339(6-2-27) 후사를 얻지 못한 등유
340(6-2-28) 유곤의 형제애
341(6-2-29) 양파의 집안의 엄격한 규율
342(6-2-30) 우홍의 너그러움
343(6-2-31) 누이를 극진히 모신 이적
344(6-2-32) 사마공과 그의 형
345(6-2-33) 조씨 집안의 가법
346(6-2-34) 백금 백 냥
347(6-2-35) 만석군 석분
348(6-2-36) 소광의 낙향 생활
349(6-2-37) 방공과 유표
350(6-2-38) 도연명
351(6-2-39) 최효분 형제
352(6-2-40) 왕응의 생활 태도
353(6-2-41) 참을 인(忍)자를 백 번
354(6-2-42) 한유의 동생행이라는 글
355(6-2-43) 유공작의 가법
356(6-2-44) 강주의 진씨 집안
357(6-2-45) 이방 집안의 공동생활

3. 실경신實敬身
358(6-3-1) 제오륜의 사심
359(6-3-2) 국물에 손을 데지 않았느냐
360(6-3-3) 삼보의 의?로 여겨진 장담
361(6-3-4) 양진과 왕밀의 사지
362(6-3-5) 모용과 곽림종
363(6-3-6) 도간의 체력단련
364(6-3-7) 초당사걸
365(6-3-8) 공감의 생활태도
366(6-3-9) 유공작과 그의 아들
367(6-3-10) 유중영의 가법
368(6-3-11) 칠십만 전의 비녀
369(6-3-12) 왕증의 평소 가지고 있던 뜻
370(6-3-13) 천하의 근심을 먼저하고
371(6-3-14) 말 못할 일이란 없었다
372(6-3-15) 관녕
373(6-3-16) 정헌공 여공저
374(6-3-17) 석고상 같은 정호
375(6-3-18) 글씨를 바르게 쓰는 이유
376(6-3-19) 종신토록 지녀할 덕목
377(6-3-20) 빈객을 만나서의 태도
378(6-3-21) 절효 선생 서적
379(6-3-22) 문중자 왕통
380(6-3-23) 유빈의 식사 반찬
381(6-3-24) 문정공 이항
382(6-3-25) 문절공 장지백
383(6-3-26) 아버지의 음주 모습
384(6-3-27) 내 성격이 그러할 뿐
385(6-3-28) 나물 뿌리를 씹는 맛으로

○ 부록 (序跋 및 관련자료)
1. 「御定小學序」(御製小學序)淸, 世宗 雍正皇帝(愛新覺羅胤 )
2. 「小學纂註原序」(高愈, 紫超)淸, 華泉
3. 「小學句讀序」明, 陳選
4. 「小學示蒙句解序」日, 平安仲欽敬甫
5. 「四庫全書提要」紀 , 陸費 (等)
6. 「四庫全書總目提要」淸, 阮元
7. 「小學諺解跋」朝鮮, 李山海
8. 「小學諺解凡例」 『小學諺解』
9. 「小學總論」 『小學集註』 및 漢文大系本
10. 「小學之書四卷」 『郡齋讀書志』(讀書附志) 宋, 晁公武
Author
주희,임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