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서구 선진국에 비해 매우 늦게 ‘복지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합류는 늦었지만, 추격은 맹렬했다. 이제는 “복지에 혈안이 되어 있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정당, 정치인의 공약에 복지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적인 논의 없이 단순히 평면적인 복지 공약을 관습적으로 발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복지국가 건설을 위한 철학적 기반이 약한 데다 실제 정책으로 시행하기 위한 사회적·경제적 여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없고, 공약이 담고 있는 주요 이슈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은 오랜 시간 주요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회정책 이슈를 연구해 온 사회정책연구회가 내놓는 ‘복지국가 쟁점 시리즈’의 두 번째 성과물이다. 『복지국가 쟁점 1』이 일과 기술, 보편적 복지국가, 소득주도성장, 기본소득의 성격과 이에 수반하는 여러 이슈를 거시적으로 분석했다면, 『복지국가 쟁점 2』에서는 시각을 좁혀 사회보장 분야별 이슈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이 책은 2020년 세계를 휩쓴 팬데믹 상황을 염두에 두고 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복지는 더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 보장을 큰 축으로 복지국가의 과제를 점검하는 이 책이 팬데믹 이후 복지정책에 기여하기 희망한다.
Contents
제1장 사회적경제와 사회정책(임상헌)
제2장 디지털 경제 발전과 사회 양극화 시대: 증대되는 정부의 역할과 혁신적 변화를 요하는 사회보호체계(안종순)
제3장 정책 도구로서 최저임금제에 대한 고찰: OECD 복지국가의 경험을 중심으로(홍이진)
제4장 1인가구 특성 및 사회복지정책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김윤영)
제5장 커뮤니티 케어 도입으로 노인 돌봄 연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의료·보건·복지 서비스의 이용과 연계(전용호)
제6장 문화복지 쟁점에서 본 문화적 취약계층과 경제적 취약계층(손동기)
제7장 이민자정책 패러다임의 수렴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웨덴, 프랑스, 캐나다를 중심으로(심창학)
제8장 한국 보육정책에서의 쟁점 연구: 근로자와 사용자 개념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이윤진)
제9장 최소자녀양육비 보상 수준과 기본권: 한국과 독일 비교(이신용·이미화)
Author
사회정책연구회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복지국가 쟁점 2』(공저), 『시민사회 파트너십과 공공성』(공저), “Look Up Rather Than Down: Karl Polanyi’s Fascism and Radical Right-Wing ‘Populism’”, “Policy Entrepreneurship withi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공저)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복지국가 쟁점 2』(공저), 『시민사회 파트너십과 공공성』(공저), “Look Up Rather Than Down: Karl Polanyi’s Fascism and Radical Right-Wing ‘Populism’”, “Policy Entrepreneurship withi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