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이후 발표된 원고들을 모아 출간된 후속편이다. 전작에서 저자는 작업환경, 신기술, 안전보건에 대한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노동자 건강이 보건의료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 투쟁의 결과임을 보였다.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2』에서 저자는 노동자 건강문제가 정치뿐만 아니라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번 권에서 저자는 미국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을 넘어서,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노동자 건강 문제, 환경 문제, 성 문제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Contents
제1부 세계화와 개발
제1장 세계 경제와 노동자 건강: 노동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교훈
제2장 생산의 새로운 현장: 아시아의 가내노동과 제화 산업
제3장 버스 강도: 브라질 사우바도르의 대중교통에서 발생하는 작업장 폭력과 (불)안전
옮긴이: 보론 세계화와 노동자 건강
제2부 환경과의 상호작용
제4장 농약 알라의 사용 금지 사례: 정치적인 대립과 예기치 못한 결과들
제5장 안전보건 조직하기: 석유화학원자력 국제노조의 노동자 대 노동자 안전보건 훈련 프로그램
제6장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열매: 독성물질 사용 감소 정책의 사회적 가치와 기업의 결정권
제7장 직업성 및 환경성 오염에 대한 통합 예방 전략: 1차 예방 모델
옮긴이: 보론 후쿠시마, 녹색운동, 그리고 노동자
제3부 젠더
제8장 성적 괴롭힘: 다른 수단에 의한 노사 관계
제9장 젠더와 청정생산: 전략 개발과 대안 설계에서 젠더 분석을 포함한 틀 짜기
제10장 보스턴 지역 ‘건설 여성 노동자 안전보건’ 연구 서클: 특수한 작업 환경 묘사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참여방법
옮긴이: 보론 한국 사회에서 직업안전보건과 젠더 이슈
제4부 윤리적 문제
제11장 민간 영역의 지원을 받는 직업안전보건 연구를 위한 올바른 연구 가이드라인
옮긴이 보론: ‘노동자 건강 정책·연구’에서의 법적·윤리적 고려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