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중자 2/2

$16.10
SKU
978894970896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1/0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08966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대제국 건설 사상적 밑받침

《문중자》는 달리 《중설》로 불리기도 한다. 물론 왕통 자신이 기록한 것은 아니다. 《논어》와 똑 같이 문인들이 기록한 것과 뒷사람이 추가한 것을 기초로 정리한 것이다. 편집 체제나 서술 방법은 《논어》와 판박이처럼 같다. 다만 《논어》가 20편임에 비해 10편으로 줄였으며 각 편의 제목도 첫 구절 어휘를 추출하여 두 글자로 삼되 거기에 의미를 더하여 층위(層位)를 달리 했을 뿐이다. 아울러 현존 《논어》가 499장(朱子集註本)의 분량인 것에 비해 본 《문중자》 역시 대략 475장(譯註者 분류)으로 어느 정도 비슷하다. 심지어 《문중자》 책의 기록 방법도 《논어》를 그대로 본뜬 편집이며 문체 또한 1천 년 전 공자시대와 같고 말투도 변하지 않았다.

변혁기나 왕조 교체기에 어떤 인물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제자들을 가르치며 다음에 세대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하는가는 아주 중요한 일이다. 그러한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왕통의 이 책과 사상은 다시금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아울러 《논어》를 읽은 사람이라면 이 책을 꼭 한번 훑어보기를 권한다.
Contents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132 문중자1/2



卷一 왕도편(王道篇)

001(1-1) 우리 집안과 나의 저술

002(1-2) 원경(元經), 속시(續詩), 속서(續書)

003(1-3) 삼사(三史)

004(1-4) 사마천(司馬遷)과 반고(班固) 이후

005(1-5) 강도(江都)의 변란

006(1-6) 도와 시대

007(1-7) 삼재(三才)와 오상(五常)

008(1-8) 한(漢)나라

009(1-9) 육대(六代)와 속시(續詩)

010(1-10) 원경(元經)의 포폄

011(1-11) 주공(周公)과 공자(孔子)의 도

012(1-12) 천명(天命)

013(1-13) 장안(長安)에서

014(1-14) 인(仁)의 실천

015(1-15) 환영(桓榮)의 명(命)

016(1-16) 북제록(北齊錄)

017(1-17) 식경(食經)

018(1-18) 소인(小人)

019(1-19) 치욕

020(1-20) 음악

021(1-21) 봉선(封禪)

022(1-22) 즐거움과 슬픔

023(1-23) 사면(赦免)

024(1-24) 첨렴과 탐욕

025(1-25) 두여회(杜如晦)

026(1-26) 순(舜)임금의 오악(五嶽) 순수

027(1-27) 서리(黍離)

028(1-28) 오행(五行)과 사령(四靈)

029(1-29) 공자묘(孔子廟)

030(1-30) 무언의 교화

031(1-31) 양호(羊祜)와 육손(陸遜)

032(1-32) 삼강(三綱)과 오상(五常)

033(1-33) 소찬(素餐)

034(1-34) 칠대(七代)의 군주들

035(1-035) 동상(董常)이 죽자

036(1-36) 위개(衛?)와 완적(阮籍)

037(1-037) 능경(凌敬)

038(1-038) 강개(剛介)

039(1-39) 지덕(至德)과 요도(要道)

040(1-40) 역(易)

041(1-41) 의(義)와 이(利)

042(1-42) 우묘(禹廟)의 비석

043(1-43) 유효표(劉孝標)의 글

044(1-044) 제갈량(諸葛亮)

045(1-45) 악의론(樂毅論)과 무귀론(無鬼論)



卷二 천지편(天地篇)

046(2-1) 원방(圓方)

047(2-2) 지자(智者)와 인자(仁者)

048(2-3) 제자들에 대한 품평

049(2-4) 안회와 같은 동상(董常)

050(2-5) 산도(山濤)

051(2-6) 이밀(李密)

052(2-7) 위진(魏晉) 시대의 시(詩)

053(2-8) 학(學)과 문(文)

054(2-9) 설도형(薛道衡)

055(2-10) 사(士)

056(2-11) 위징(魏徵)과 왕응(王凝)

057(2-12) 왕응(王凝)

058(2-13) 임지(任智)

059(2-14) 중장자광(仲長子光)

060(2-15) 군자의 서(恕)

061(2-16) 군자와 소인

062(2-17) 초공(楚公)의 난

063(2-18) 왕도(王道)와 패도(?道)

064(2-19) 동복(童僕)

065(2-20) 지명(知命)

066(2-21) 유도자(有道者)

067(2-22) 궁경(躬耕)

068(2-23) 예서(藝黍)

069(2-24) 장례

070(2-25) 귀신을 섬기는 도리

071(2-26) 왕맹(王猛)

072(2-27) 소작(蘇綽)

073(2-28) 출처(出處)

074(2-29) 돌아가리로다!

075(2-30) 육경(六經)

076(2-31) 모명(慕名)

077(2-32) 수나라의 망징(亡徵)

078(2-33) 칠제(七制)

079(2-34) 잡박(雜駁)해진 왕도(王都)

080(2-35) 당우(唐虞)와 하상(夏商)

081(2-36) 주공(周公)과 중니(仲尼)

082(2-37) 좌망(坐忘)

083(2-38) 이정(李靖)과 위징(魏徵)

084(2-39) 설수(薛收)의 감탄

085(2-40) 정원(程元)과 동상(董常)

086(2-41) 동상(董常)

087(2-42) 설수(薛收)

088(2-43) 왕은(王隱)

089(2-44) 역대 사학가(史學家)

090(2-45) 구사(九師)와 삼전(三傳)

091(2-46) 칠대(七代)의 손익

092(2-47) 속시(續詩)

093(2-48) 선생님의 말솜씨

094(2-49) 양웅(揚雄)과 장형(張衡)

095(2-50) 허물

096(2-51) 비방

097(2-52) 관인법(觀人法)

098(2-53) 위(魏)나라 효문제(孝文帝)

099(2-54) 동천부인(銅川夫人)과 예성부군(芮城府君)

100(2-55) 설지인(薛知仁)

101(2-56) 내난(內難)

102(2-57) 나에게 있어서의 천하



卷三 사군편(事君篇)

103(3-1) 방현령(房玄齡)의 질문

104(3-2) 양소(楊素)

105(3-3) 군현(郡縣)의 다스림

106(3-4) 벼슬하지 않는 이유

107(3-5) 덕과 형벌

108(3-6) 벼슬하는 자

109(3-7) 북제(北齊) 문선제(文宣帝)

110(3-8) 두위(竇威)

111(3-9) 북산장인(北山丈人)

112(3-10) 고집

113(3-11) 곽광(?光)

114(3-12) 하상장인(河上丈人)

115(3-13) 너무 잦은 교체(交替)

116(3-14) 하약필(賀若弼)

117(3-15) 순열(荀悅)과 육기(陸機)

118(3-16) 문사(文士)의 행동

119(3-17) 효작(孝綽) 형제와 상동왕(湘東王) 형제

120(3-18) 안연지(顔延之), 왕검(王儉), 임방(任昉)

121(3-19) 엄군평(嚴君平)과 양웅(揚雄)

122(3-20) 말솜씨 뛰어난 자

123(3-21) 산도(山濤)

124(3-22) 왕융(王戎)

125(3-23) 진사왕(陳思王)

126(3-24) 조식(曹植)의 문장

127(3-25) 역사

128(3-26) 속시(續詩)

129(3-27) 춘추(春秋)와 원경(元經)

130(3-28) 화(化)와 정(政)

131(3-29) 열국(列國)의 풍(風)

132(3-30) 열국(列國)의 변풍(風變)

133(3-31) 변풍(變風)과 변아(變雅)

134(3-32) 온언박(溫彦博)과 위징(魏徵)

135(3-33) 살신성인(殺身成仁)

136(3-34) 진숙달(陳叔達)

137(3-35) 육형(肉刑)

138(3-36) 임금 섬기기

139(3-37) 찬역(讚易)

140(3-38) 한거(閒居)

141(3-39) 문중자의 복장

142(3-40) 천도(天道)와 지도(地道)

143(3-41) 향인(鄕人)

144(3-42) 상을 당한 향인

145(3-43) 문중자의 음성

146(3-44) 다툼이 없는 마을

147(3-45) 대천(大川)

148(3-46) 마을의 부역

149(3-47) 동천부군(銅川府君)의 상

150(3-48) 남의 집 숙소

151(3-49) 만춘향사(萬春鄕社)

152(3-50) 예성부군(芮城府君)

153(3-51) 혼례(婚禮)

154(3-52) 악의박식(惡衣薄食)

155(3-53) 고금의 벼슬살이

156(3-54) 옛날의 관리

157(3-55) 주공(周公) 단(旦)

158(3-56) 오두선생전(五斗先生傳)



卷四 주공편(周公篇)

159(4-1) 주공(周公)의 도

160(4-2) 성인과 천도

161(4-3) 혜강(?康)과 완적(阮籍), 그리고 유령(劉靈)

162(4-4) 진숙달(陳叔達)

163(4-5) 전주(田疇)

164(4-6) 무덕무(武德舞)와 소덕무(昭德舞)

165(4-7) 사마담(司馬談)

166(4-8) 변화에 통달하면

167(4-9) 원기지사(圓機之士)와 황극지주(皇極之主)

168(4-10) 최호(崔浩)

169(4-11) 빈풍(?風)

170(4-12) 관중(管仲)과 왕맹(王猛)

171(4-13) 부견(?堅)과 왕맹(王猛)

172(4-14) 효문제(孝文帝)

173(4-15) 온자승(溫子昇)

174(4-16) 왕언(王彦)

175(4-17) 가묘(家廟)

176(4-18)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

177(4-19) 쟁리기의(爭利棄義)

178(4-20) 가경(賈瓊), 왕효일(王孝逸), 능경(凌敬)

179(4-21) 관도현(館陶縣)

180(4-22) 위징(魏徵)의 육경 공부

181(4-23) 유현(劉炫)

182(4-24) 능경(凌敬)

183(4-25) 대풍가(大風歌)와 추풍사(秋風辭)

184(4-26) 현학(玄學)과 석가(釋迦)

185(4-27) 불교

186(4-28) 우문검(宇文儉)

187(4-29) 용주오경(龍舟五更)

188(4-30) 요의(姚義)

189(4-31) 순욱(荀彧)과 순유(荀攸)

190(4-32) 성(誠)과 정(靜)

191(4-33) 선왕(先王)의 복장

192(4-34) 패풍(?風)의 백주(柏舟) 시

193(4-35) 비공(?公)과 골동품

194(4-36) 산림(山林)

195(4-37) 지인(至人)

196(4-38) 간(簡)과 광(廣)

197(4-39) 조조(晁?)

198(4-40) 속서(續書)

199(4-41) 제왕의 제도

200(4-42) 역(易)

201(4-43) 간모(干?)

202(4-44) 방현령(房玄齡)

203(4-45) 인물평

204(4-46) 천물귀아(賤物貴我)

205(4-47) 설굉(薛宏)

206(4-48) 재치(載馳)

207(4-49) 정화(鄭和)와 월공(越公)

208(4-50) 하약필(賀若弼)

209(4-51) 영웅(英雄)

210(4-52) 문중자를 알아주지 않는 천하

211(4-53) 육경(六經)

212(4-54) 양현감(楊玄感)



卷五 문역편(問易篇)

213(5-1) 유현(劉炫)이 질문한 역(易)

214(5-2) 성인의 걱정

215(5-3) 지(志)와 조(詔)

216(5-4) 책(策)

217(5-5) 명(命)

218(5-6) 사(事)

219(5-7) 문(問)과 대(對)

220(5-8) 찬(贊)

221(5-9) 의(議)

222(5-10) 계(誡)

223(5-11) 간(諫)

224(5-12) 진(晉)과 양한(兩漢)의 군주들

225(5-13) 태화(太和)의 정치

226(5-14) 삼교(三敎)

227(5-15) 홍범당의(洪範?議)

228(5-16) 질운(??)의 사건

229(5-17) 사(事)와 지(志)

230(5-18) 제(制)와 명(命)

231(5-19) 빈천과 부귀

232(5-20) 애명상리(愛名尙利)

233(5-21) 군자의 도

234(5-22) 최질(??)을 입고

235(5-23) 초공(楚公)

236(5-24) 일상생활

237(5-25) 이단자(異端者)

238(5-26) 길흉(吉凶)과 곡절(曲折)

239(5-27) 원명(元命)

240(5-28) 제(制)와 지(志)

241(5-29) 제제(帝制)와 왕도(王道)

242(5-30) 이정(李靖)과 정원(程元)

243(5-31) 동상(董常)

244(5-32) 비방과 원망

245(5-33) 제갈량(諸葛亮)과 왕맹(王猛)

246(5-34) 고구려 원정의 실패

247(5-35) 호동자(好動者)

248(5-36) 승시(乘時)

249(5-37) 독행(獨行)

250(5-38) 원형리정(元亨利正)

251(5-39) 아첨

252(5-40) 동상(董常)이 죽자

253(5-41) 찬역(讚易) 작업

254(5-42) 태평시대

255(5-43) 의(義)와 이(利)

256(5-44) 여러 유형의 나라

257(5-45) 다언(多言)과 다사(多事)

258(5-46) 악(惡)과 사(邪)

259(5-47) 위효관(韋孝寬)과 양음(楊?)

260(5-48) 천도(天道)와 인사(人事)

261(5-49) 전별(餞別)

262(5-50) 원경(元經)의 정명(正名)

263(5-51) 연호(年號)

264(5-52) 지의(志意)와 도의(道義)

265(5-53) 끊어진 제제(帝制)

266(5-54) 춘추(春秋)와 원경(元經)

267(5-55) 시(詩)의 기록





133 문중자2/2



卷六 예악편(禮樂篇)

268(6-1) 예악(禮樂)과 제작(制作)

269(6-2) 부모, 형제, 붕우

270(6-3) 통혼(通婚)

271(6-4) 실질은 사라지고 이름만 남아

272(6-5) 사안(謝安), 왕도(王導), 온교(溫嶠), 환온(桓溫)

273(6-6) 함께 사는 방법

274(6-7) 번사현(繁師玄)의 질문

275(6-8) 거근식원(居近識遠)

276(6-9) 공칙물복(恭則物服)

277(6-10) 예(禮)의 쓸모

278(6-11) 칠제(七制)

279(6-12) 의(議)

280(6-13) 계(誡)

281(6-14) 간(諫)

282(6-15) 한(漢) 무제(武帝)와 효무제(孝武帝)

283(6-16) 예악(禮樂)

284(6-17) 경방(京房)과 곽박(郭璞)

285(6-18) 관혼상제(冠昏喪祭)

286(6-19) 세 사람의 정치에 대한 질문

287(6-20) 춘추(春秋)와 원경(元經)

288(6-21) 이륜(彛倫)

289(6-22) 포관(蒲關)의 육봉(陸逢)

290(6-23) 가도(家道)

291(6-24) 인의와 예악

292(6-25) 황극(皇極)의 문

293(6-26) 군자불기(君子不器)

294(6-27) 북주(北周)와 북제(北齊)

295(6-28) 육경(六經)의 극치(極致)

296(6-29) 성(聖)과 명(明)

297(6-30) 두 가지 유형

298(6-31) 보이면서 존재하는 것

299(6-32) 유혹할 수 없는 것

300(6-33) 세력으로 사귀는 자

301(6-34) 설수(薛收)

302(6-35) 분정조(汾亭操)

303(6-36) 독선(獨善)

304(6-37) 기도(祈禱)

305(6-38) 다섯 제자의 장점

306(6-39) 배우지 않고 이루는 것은 없다

307(6-40) 장생술(長生術)과 신선술(神仙術)

308(6-41) 피은(避隱)

309(6-42) 소아(小雅)와 소화(小化)

310(6-43) 진수(陳守)

311(6-44) 가경(賈瓊)

312(6-45) 지언(知言)

313(6-46) 명예와 덕

314(6-47) 편안히 여기는 것

315(6-48) 이름과 자(字)

316(6-49) 왕정(王靜)의 자 보명(保名)



卷七 술사편(述史篇)

317(7-1) 태희(太熙) 이후의 역사 기술

318(7-2) 초공(楚公)의 난(難)

319(7-3) 온언박(溫彦博)의 지(知)에 대한 질문

320(7-4) 시(詩)의 작자

321(7-5) 계찰(季札)

322(7-6) 태화(太和)의 군주

323(7-7) 봉록(俸祿)

324(7-8) 오(吳)와 촉(蜀)

325(7-9) 중원(中原)의 위대함

326(7-10) 원위(元魏)

327(7-11) 목공(穆公)과 왕숙(王肅)

328(7-12) 지공(至公)

329(7-13) 망한 진(陳)나라

330(7-14) 중원의 예악

331(7-15) 원경(元經)을 쓴 이유

332(7-16) 한위(漢魏)의 예악

333(7-17) 인(仁)과 오상(五常)

334(7-18) 삼재(三才)와 오상(五常)

335(7-19) 봉황(鳳凰)

336(7-20) 사람의 수명

337(7-21) 천유(穿?)

338(7-22) 씨성(氏姓)과 명자(名字)

339(7-23) 설공(薛公)의 문장

340(7-24) 나를 알지도 못하는 자들

341(7-25) 하약필(賀若弼)

342(7-26) 고생 없이 성공한 자

343(7-27) 정가지도(正家之道)

344(7-28) 유세(遊說)

345(7-29) 획린(獲麟)

346(7-30) 이제(二帝), 삼왕(三王)

347(7-31) 군자가 아니면

348(7-32) 찬역(讚易)

349(7-33) 괘(卦)와 효(爻)

350(7-34) 배움의 대상

351(7-35) 면지(沔池)의 가시밭

352(7-36) 인사(人事)를 끊고자

353(7-37) 가의(賈誼)

354(7-38) 겸손

355(7-39) 십이책(十二策)

356(7-40) 천하에 도가 있으면

357(7-41) 모든 것을 비워둔 채

358(7-42) 칠제(七制)의 군주

359(7-43) 초원왕(楚元王)

360(7-44) 부인의 간여



卷八 위상편(魏相篇)

361(8-1) 위상(魏相)

362(8-2) 믿을 수 없는 일들

363(8-3) 눈 밝으면서도 보지 못하는 자

364(8-4) 마협(馬頰)과 우수(牛首)

365(8-5) 잠은(潛隱)

366(8-6) 오경(五經)과 원경(元經)

367(8-7) 철인(喆人)

368(8-8) 효자 오흠(吳欽)

369(8-9) 배하(裴嘉)와 설방사(薛方士)

370(8-10) 원경(元經)과 황극(皇極)

371(8-11) 신기(神器)가 귀착하는 곳

372(8-12) 황권(皇權)

373(8-13) 어하(御河)의 공사

374(8-14) 주례(周禮)

375(8-15) 천명(天命)에 따라

376(8-16) 장현소(張玄素)의 예(禮)에 대한 질문

377(8-17) 군자의 달변

378(8-18) 참언과 아첨

379(8-19) 남의 어려움을 들으면

380(8-20) 부지런한 자

381(8-21) 풍년이 들지 않고

382(8-22) 황공(黃公)과 후생(侯生)

383(8-23) 소하(蕭何)와 장량(張良)도

384(8-24) 강도(江都)의 변고

385(8-25)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

386(8-26) 십이책(十二策)

387(8-27) 우세기(虞世基)

388(8-28) 잡학(雜學)

389(8-29) 지(智), 인(仁), 의(義)

390(8-30) 원경(元經)의 전단(專斷)

391(8-31) 살아 가면서의 예(禮)

392(8-32) 혼례(婚禮)에 대한 글

393(8-33) 찬역(贊易)의 관괘(觀卦)

394(8-34) 진현(進賢)

395(8-35) 설원(說苑)

396(8-36) 용문관(龍門關)에서

397(8-37) 구장(仇璋)

398(8-38) 관생(關生)과 곽생(?生)

399(8-39) 위선일지라도

400(8-40) 벽옥(璧玉)으로 맞이한다 해도

401(8-41) 삼유(三有)와 칠무(七無)

402(8-42) 군자와 소인

403(8-43) 실천하기 쉬운 말

404(8-44) 군자의 다툼

405(8-45) 성인과 천지

406(8-46) 하늘과 땅 사이

407(8-47) 본성을 잃은 자

408(8-48) 엄자릉(嚴子陵)과 이주영(爾朱榮)

409(8-49) 불꽃과 물길

410(8-50) 박괘(剝卦)

411(8-51) 설원(說苑)

412(8-52) 군자는 도를 즐기고

413(8-53) 도란 실천하기 어려운 것

414(8-54) 곧게 살아라

415(8-55) 아랫사람의 입장

416(8-56) 낙연후소(樂然後笑)

417(8-57)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



卷九 입명편(立命篇)

418(9-1) 복은 구하면 얻을 수 있는 것

419(9-2) 옥을 찬 사람

420(9-3) 역자이교(易子而敎)

421(9-4) 구신(具臣)

422(9-5) 안자(顔子)

423(9-6) 동상(董常)의 어짊

424(9-7) 공정(孔庭)의 법

425(9-8) 시(詩)와 예(禮)의 선후

426(9-9) 덕경어재(德輕於才)

427(9-10) 치란(治亂)과 길흉(吉凶)

428(9-11) 고구려 정벌

429(9-12) 오교삼흔(五交三?)

430(9-13) 충성과 양보

431(9-14) 두여회(杜如晦)의 정치에 대해 질문

432(9-15) 각 시기의 특징

433(9-16) 부이교지(富而敎之)

434(9-17) 본성과 감정

435(9-18) 역(易)에서의 성(性)

436(9-19) 도연명(陶淵明)

437(9-20) 원한과 즐거움

438(9-21) 삼재(三才)

439(9-22) 천신(天神)과 인귀(人鬼)

440(9-23) 활쏘기

441(9-24) 기덕배의(棄德背義)

442(9-25) 복종

443(9-26) 정화(政化)

444(9-27) 계시(繼時)



卷十 관랑편(關朗篇)

445(10-1) 관랑(關朗)

446(10-2) 중원(中原)과 사이(四夷)

447(10-3) 사라진 시(詩)

448(10-4) 가난에 시달린 요의(姚義)

449(10-5) 이언(邇言)

450(10-6) 왕규(王珪)

451(10-7) 의사(議事)

452(10-8) 진(陳)나라 평정

453(10-9) 속서(續書)와 원경(元經)

454(10-10) 동정(動靜)

455(10-11) 네 가지 재앙

456(10-12) 관례(冠禮)를 치른 다음에야

457(10-13) 중장자광(仲長子光)의 정치관

458(10-14) 도를 알지 못하면

459(10-15) 정전제(井田制)

460(10-16) 집기중(執其中)

461(10-17) 진(秦)나라가 망한 이유

462(10-18) 은거(隱居)의 참뜻

463(10-19) 중고(中古) 시대

464(10-20) 도(道)의 요지(要旨)

465(10-21) 양한(兩漢)의 제도

466(10-22) 김매고 북돋우면 풍년이 오겠지

467(10-23) 인(仁)을 주창한 이유

468(10-24) 위영(魏永)

469(10-25) 학문의 전수

470(10-26) 왕응(王凝)의 자술

471(10-27) 태원부군(太原府君)의 유훈

472(10-28) 태원부군(太原府君)의 걱정

473(10-29) 문중자의 유훈

474(10-30) 보탬이 되지 않을 수 없으리

475(10-31) 명철한 자를 기다리며



附錄

1. <文中子≪中說≫序> ……………… 阮逸

2. <敍篇>

3. <文中子世家> ……………………… 杜淹

4. <錄唐太宗與房·魏論禮樂事> ……… 王福?

5. <東皐子答陳尙書書> ……………… 王福?

6. <錄關子明事> ……………………… 王績·陳叔達

7. <王氏家書雜錄> …………………… 王福?

8. <刻六子書跋> ……………………… 顧春

9. <四庫全書總目提要> ……………… 紀?(等)

10. ≪元經≫原序 ……………………… 薛收

11. <東?子集序> ……………………… 呂才

12. <東?子集序> ……………………… 陸淳

13. ≪三才圖會≫ ……………………… 王圻

14. ≪舊唐書≫(192) 王績傳

15. ≪新唐書≫(196) 隱逸傳(王績)

16. ≪舊唐書≫(190) 王勃傳

17. ≪舊唐書≫(163) 王質傳

18. ≪舊唐書≫ 經籍志(下)

19. ≪新唐書≫ 藝文志(3)

20. ≪宋史≫ 藝文志(4)

21. ≪金史≫(8) 本紀 世宗(下)

22. ≪金史≫(22) 列傳(趙秉文)

Author
왕통,임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