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과 문화의 황금기이자 문제적 시대
누구에겐 자유와 노스탤지어로
누군가에겐 좌절과 위기로 기억되는 1990년대,
시대의 사유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성찰할 것인가?
1990년대는 문제적 시대다. 1980년대 말~1990년대 초 베를린장벽이 무너지고 사회주의 체제가 종언을 고함으로써, 1980년대 한국의 사회변혁운동도 함께 막을 내린다. 마르크스주의 등 진보 이론이 다양한 포스트주의 이론으로 대체되었으며, 음악ㆍ영화ㆍ대중문화가 꽃을 피우고, 10대가 대중문화를 향유하는 주류로 올라서기도 했다. 문학, 사상, 문화, 지식계에 1980년대와는 확연히 다른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에 일어난 변화는 2000년대를 지나 2020년대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90년대는 누구에겐 자유와 노스탤지어로 누군가에겐 좌절과 위기로 기억된다.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는 이전 시대와 확연히 다른 변화의 시기이자 현재의 한국사회를 주조한 1990년대의 정신적 행방을 좇음으로써 지금 시대의 의미와 향방을 가늠하고자 한다.
이 책은 1990년대 문학, 사상, 문화 분야에서 제기된 다양한 목소리를 추적하고, 세대론과 페미니즘, 생태주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시대적 상황을 돌아본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이 가져온 문명사적 전환, 새로운 지식인의 모습, 국가주의와 민족주의, IMF 이후 한국사회를 정의하는 ‘위기’라는 시대적 징후, 양면적 성격을 띤 ‘대중’의 정체를 탐색한다.
Contents
1. 프롤로그
지금 시대와 지난 시대
1990년대, 여전히 살아 움직이는
1990년대로 진입하는 방법
과거의 고민을 현재로 잇기
2. 문제적 시대로서의 1990년대
1990년대란 무엇인가
1990년대는 언제부터인가
1990년대 잡지계의 진용
1990년대와 1980년대
1990년대와 2000년대
3. 문학, 전장에서 시장으로
시련 이후 문학장의 형성
문학주의의 도래와 ‘문학의 위기’
문학 비평의 속사정
문학도 권력일 수 있는가
문언유착과 문단정치학
문학권력논쟁이 남긴 것들
4. 사상, 중심을 잃은 행방
혁명의 시대, 초월의 사상
사상지가 선언한 것들
현실사회주의권 붕괴 이후
포스트모더니즘 등장 이후
지적 주체성과 탈식민화
분기하는 사상계
5. 문화, 대중성과 실험정신 사이에서
문화의 시대인가
범람하는 대중문화지
새로운 문화적 영토
문학을 넘어서야 할 이유들
대중문화가 싸움터다
주류 문화관 바깥에서
6. 세대, 혼란의 범주
신세대 논쟁의 등장
자유와 일탈 사이
보라, 신세대를
세대론들의 시작
단명한 신세대론, 장기집권하는 386세대론
7. 디지털, 가능해진 것과 가려진 것
정보화의 빛과 어둠
디지털 글쓰기와 통신문학
‘새로운 문학’은 도래하는가
사이버문학론이 멈춘 자리
인터넷 신문 그리고 포털의 시작
8. 지식인, 흔들리고 갈라지는
적이 사라진 시대의 지식인
지식인상은 왜 변화했는가
시장경쟁력과 신지식인
전통적 지식인의 출현
지식 기반 사회에서 지식인의 운명
지식인의 죽음인가
9. 진보, 재장전과 분열
진보와 혁명
진보와 개혁
중산층 이데올로기
진보의 재장전
안티조선과 적 앞의 분열
빼앗기는 진보의 말들
10. 국가, 억압하고 또 욕망되는
세계화, 일류국가화 그리고 종속화
박정희 신드롬이 뜻하는 것
욕망하는 민족주의
이주노동제도, 한국판 노예제
한국사회 속 미국과 일본
북한 인식의 이면
11. 통제, 사상에서 일상으로
병영국가와 병역 거부
여전한 반공주의와 국가보안법
‘음란성’으로 규율하다
청소년을 보호하라
우리 안의 파시즘 논쟁
일상이 파시즘의 전선인가
12. 여/성, 가장 첨예한 정치 영토
제1차 페미니즘 붐
여성주의 잡지가 제기한 물음들
여성적 글쓰기와 페미니즘 문학
커밍아웃의 정치학
노골적인 젠더 갈등이 시작되던 장면
페미니즘, 평등과 공정 사이에서
13. 생태, 그때 이미 사고했던 것들
생활세계 오염에 대한 각성
페놀 방류와 리우회의
개발주의 정부와 국토의 부동산화
쓰고 버리는 사회
생태 문제, 각론에서 총론으로
순환적 세계는 어떻게 가능한가
14. 위기, 지금 시대가 서 있는 토대
‘유연화’ 시대의 도래
개인이 무장해야 하는 사회
여성에게 요구된 것들
정신세계의 퇴락에 맞서
어떤 1990년대의 종언
15. 대중, 그들은 다음 시대를 열어냈는가
월드컵 논쟁
분출하는 하위문화활동
촛불시위의 등장
노풍과 탄핵 그리고 ‘오로지 경제’의 시대로
흐름으로서의 대중
국가, 자본, 시민사회와 대중
16. 에필로그
사라지는 잡지들
인터넷 시대 잡지의 운명
1990년대를 떠나며
사회적 사유와 시대적 사유를 위하여
미주
찾아보기
Author
윤여일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사회과학원 방문학자로 베이징에서, 도시샤대학 객원연구원으로 교토에서 체류했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로 제주에서 지내고 있다. 『물음을 위한 물음』, 『광장이 되는 시간』, 『사상의 원점』, 『사상의 번역』, 『동아시아 담론』, 『지식의 윤리성에 관한 다섯 편의 에세이』, 『상황적 사고』, 『여행의 사고』(전3권)를 쓰고, 대담집 『사상을 잇다』를 펴냈으며,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전2권), 『다케우치 요시미라는 물음』, 『다케우치 요시미―어느 방법의 전기』, 『루쉰 잡기』, 『사상이 살아가는 법』, 『일본 이데올로기』, 『조선과 일본에 살다』, 『재일의 틈새에서』, 『사상으로서의 3·11』, 『사회를 넘어선 사회학』을 옮겼다. 지키는 연구를 하고 싶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사회과학원 방문학자로 베이징에서, 도시샤대학 객원연구원으로 교토에서 체류했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로 제주에서 지내고 있다. 『물음을 위한 물음』, 『광장이 되는 시간』, 『사상의 원점』, 『사상의 번역』, 『동아시아 담론』, 『지식의 윤리성에 관한 다섯 편의 에세이』, 『상황적 사고』, 『여행의 사고』(전3권)를 쓰고, 대담집 『사상을 잇다』를 펴냈으며,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전2권), 『다케우치 요시미라는 물음』, 『다케우치 요시미―어느 방법의 전기』, 『루쉰 잡기』, 『사상이 살아가는 법』, 『일본 이데올로기』, 『조선과 일본에 살다』, 『재일의 틈새에서』, 『사상으로서의 3·11』, 『사회를 넘어선 사회학』을 옮겼다. 지키는 연구를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