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보단 워라밸, 소명 의식보단 노동을 말하는 ‘요즘 교사’가 온다. 1990년대생 교사들이 직접 그들의 학교생활, 교육관, 인간관계를 이야기한다. 동시에 기성세대 교사의 눈에 비친 요즘 교사의 모습도 담았다. 1990년대생 요즘 교사가 교직 사회와 문화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이들의 요구에 맞춘 교원 정책은 어떤 방향이어야 하는지 살펴본다.
Contents
추천사
서문
들어가며: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
01 1990년대생 교사는 누구인가
세대 개념
세대 구분
1990년대생의 특징
교직 문화와 1990년대생 교사
교사1990년대생 교사 연구하기
02 1990년대생이 교사가 된 이유
우리가 만난 1990년대생 교사
교직 적성 인식 및 교직 선택 동기
공교육과 학교 역할 인식: 공교육과 사교육의 공존
교사 역할 및 교직 인식: 보람 있는 직업
03 1990년대생 교사의 현재와 미래
학교생활: 근무 시간과 개인 생활의 명확한 구분
교수·학습(수업): 후배 교사에게 배우는 선배 교사
학급 경영·생활 지도: 개별 학급의 특성 중시
행정 업무: 명확한 업무 경계 설정
경력 개발: 워라밸과 자기 개발 추구
04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생 및 동료 교사
학생과의 관계: 친근하지만 경계가 있는 관계
동료 교사와의 관계: 동등하고 독립적인 관계
05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부모
학부모와의 관계: 불편하지만 피할 수 없는 관계
학부모와 소통하는 방식: 대면보다 비대면
학부모에 대한 기대: 서로 존중하는 최소한의 관계
06 1990년대생 교사 특징: 세대 차이와 개인 차이
세대 차이: 아날로그 대 디지털
개인 차이: 승진 대 워라밸
1990년대생 교사의 특성
07 1990년대생 교사와 교직 문화의 변화
긍정적 측면: 기성세대 변화 자극
부정적 측면: 소통과 협력적 문제 해결 약화
08 사회 변화와 교직 문화의 변화
학교 특성과 교직 문화의 차이
교직 문화의 변화와 도전
부록
미주
참고 문헌
Author
박상완,박소영
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수,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전문위원
전 부산교육대학교 기획처장, 교무부처장,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지방분권과 교육』, 『학교장론』, 『한국의 지방교육자치』, 『미국과 한국의 교직 사회-교직과 교사의 삶』 외 다수
(논문) 신뢰의 개념 구조 및 교육행정 연구에의 적용,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개념과 개발 방안,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에서 교직의 전문성 외 다수
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수,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전문위원
전 부산교육대학교 기획처장, 교무부처장,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지방분권과 교육』, 『학교장론』, 『한국의 지방교육자치』, 『미국과 한국의 교직 사회-교직과 교사의 삶』 외 다수
(논문) 신뢰의 개념 구조 및 교육행정 연구에의 적용,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개념과 개발 방안,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에서 교직의 전문성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