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을 이룬 중국공산당의 구호, “화해”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중국 안팎에서 자유를 외치는 인민들의 저항은 끝나지 않는다
역사학자 송재윤 교수의 “슬픈 중국” 시리즈 마침내 완간!
제1권의 출간 이후 「조선일보」에서 연재되며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송재윤 교수의 “슬픈 중국” 시리즈가 드디어 완간을 맞이했다. 현대 중국의 어두운 역사를 조명하는 “슬픈 중국” 3부작의 제3권 『대륙의 자유인들 1976-현재』는 마오쩌둥 사후 경제성장을 이루고 인민들에게 “화해”를 외치는 오늘날의 중국이 은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에 대항하여 정치적 자유를 외치는 인민들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밝힌다.
마오쩌둥이 사망한 1976년 이후 중국공산당은 절대적인 권력자를 잃은 채 정치적 자유와 경제성장의 요구에 직면했다. 덩샤오핑을 비롯한 중공의 지도자들은 개혁개방의 시대를 열며 일정 정도의 정치적 자유를 허락했지만, 이내 마오쩌둥과 중공을 비판하고 서구식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탄압하기 시작했다. 이렇듯 공산당 일당독재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절충한 중국식 개혁개방은 세계 제2위 규모의 경제대국이자 전체주의 국가라는 양가적인 현대 중국을 낳았다. 3년간 지속된 제로-코로나 정책 이후 중국은 새로운 저항에 부딪히고 있다. 각계 분야의 지식인과 예술가, 결집하는 인민들을 통해서 현대 중국의 초상화를 그리는 이 책에서 독자들은 오늘날 중국이 맞이한 현실과, 이에 대한 인민과 지도부의 대응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제1부 머나먼 개혁개방
제1장 화궈펑의 패, 사인방 분쇄작전
제2장 예젠잉의 촉, 최후의 배수진
제3장 후야오방의 담(膽), “실천이 진실의 기준”
제4장 원로들의 난, 마오쩌둥을 향한 비판
제5장 민초들의 얼, 개혁개방을 이끌다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다. 고려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마치고,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테네시 주립대학교를 거쳐서 2009년 이후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 맥마스터 대학교에서 중국 근현대사와 정치 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11세기 중국의 국가개혁과 유가경학사의 관계를 조명한 학술서 Traces of Grand Peace: Classics and State Activism in Imperial China(Harvard University, 2015)와 국적과 개인의 정체성을 탐구한 영문소설 Yoshiko’s Flags(Quattro Books, 2018) 등이 있다. “슬픈 중국” 3부작을 완결하고, 현재 캐나다에서 과거 중화제국의 정치 담론과 현대 중국의 헌정 논쟁에 관한 학술서를 집필하고 있다.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다. 고려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마치고,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테네시 주립대학교를 거쳐서 2009년 이후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 맥마스터 대학교에서 중국 근현대사와 정치 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11세기 중국의 국가개혁과 유가경학사의 관계를 조명한 학술서 Traces of Grand Peace: Classics and State Activism in Imperial China(Harvard University, 2015)와 국적과 개인의 정체성을 탐구한 영문소설 Yoshiko’s Flags(Quattro Books, 2018) 등이 있다. “슬픈 중국” 3부작을 완결하고, 현재 캐나다에서 과거 중화제국의 정치 담론과 현대 중국의 헌정 논쟁에 관한 학술서를 집필하고 있다.